코로나 종식 대신 ‘피해 최소화’…방역당국은 왜 이런 선택을 했나?

  • 뉴스1
  • 입력 2020년 6월 23일 09시 20분


코멘트
뉴스1 © News1
뉴스1 © News1
방역당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쉽게 종식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히며 장기전에 들어갈 것을 공식화했다. 방역 전략도 종식 대신 전파 최소화로 선회하는 모습이다.

23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전날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일일 신규 확진자는 17명이다. 27일 만에 10명대로 떨어진 수치이긴 하지만 최근 2주간 추세로 봤을 땐 일평균 확진자 수가 44.6명으로 여전히 높다.

아울러 현재 역학 조사보다 전파 속도가 현저히 빠른데다 최근 확진자 수도 증감을 반복하는 상황이라 이날 일일 신규 확진자 수가 다시 치솟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실제로 최근 일일 신규 확진자 수의 패턴을 살펴보면, 지난 6월5일부터 6월22일까지 ‘39→51→57→38→38→50→45→56→49→34→37→34→43→59→49→67→48→17명으로 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방역당국도 이같은 경향이 반복될 것이라고 설명하며 사실상 장기전에 들어갈 것임을 밝혔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 본부장은 전날 정례브리핑에서 “이런 유행이 반복하면서 진행될 것으로 예측한다”며 “그래서 장기전에 대비해야 하고, 환경이 나빠지는 가을철, 겨울철에는 유행 크기가 좀 더 커질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최근 방역당국에서 내놓은 대책들을 살펴봐도 장기전에 대비하기 위한 기조를 읽을 수 있다. 늦은 감이 없지 않지만 방역당국은 곧 7000건의 항체검사를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항체검사는 체내에서 바이러스와 싸운 후 생기는 항체를 이용해 감염 여부를 알아내는 검사다. 항체검사를 활용하면 무증상 확진자 혹은 자연적으로 완치된 사람을 찾아낼 수 있어 전체적인 감염규모를 예측할 수 있다.

확진자 비율이 늘어날 수는 있지만 현 상황을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향후 재유행에 대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지속적으로 항체검사 실시를 언급해왔다.

최재욱 고려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지역사회 감염이 근본적으로 사라지기 전에는 지금과 같은 상황이 반복될 수밖에 없다”며 “항원 항체 검사를 도입해서 지역사회 감염 규모를 파악하고 지속적인 스크린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방역당국의 이같은 발표 하루 전인 지난 21일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가 코로나19 환자에 대한 격리해제 기준을 완화하고 입원기간도 3분의 1로 단축하는 내용의 권고안을 발표한 것도 장기전을 대비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하는 것이 맞다.

가울·겨울 대유행을 대비해 병상 확보는 물론, 의료진의 피로도도 경감시켜줄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방역당국의 방역 전략도 점차 피해 최소화 전략으로 이동하고 있다. 정 본부장도 “우리의 목표는 백신 등 근본적인 해결방안이 마련되기 전까지 의료체계, 방역체계, 사회시스템이 감당 가능한 수준으로 발생규모와 속도를 억제하고 통제하면서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같은 전략은 최근 유행 상황을 포함해 전문가들의 의견을 포괄적으로 종합한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중앙임상위가 해외사례를 언급하며 코로나19 무증상자가 확진자보다 10배 많다는 분석을 그대로 적용하면 우리나라 코로나19 감염자는 무려 12만 명에 달한다. 당분간 종식은 어렵다는 의미다.

방역당국이 최근 수도권의 상황을 2차 유행으로, 비수도권은 이제 유행이 시작된 것으로 규정지은 것도 같은 맥락이다. 최근 대전 확진자 발생과 수도권간의 전파 연결고리를 찾지 못한 방역당국은 무증상 감염자가 많다고 보고 비수도권 대유행을 대비하고 있다.

강화된 방역수칙을 당부하고 있는 것도 이같은 대유행과 장기전을 위함으로 해석 가능하다.

중앙임상위원장인 오명돈 서울대 의대 교수는 “방역대책의 최종 목표는 코로나19 종식이 아니라 유행과 확산 속도를 늦춰 우리 의료시스템이 감당할 수 있는 수준에서 환자가 발생토록 하는 것”이라며 “인명피해를 최소화한다는 현실적인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