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취업자 늘었다지만…2030 줄고 일자리 질 좋지 않아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4월 18일 22시 09분


코멘트
전체 여성 취업자 수는 늘었지만, 30대 이하 여성의 수는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5년 기준 여성 취업자 수(838만2000명)는 2010년에 비해 85만 명 늘었다. 하지만 연령별로 보면 50대 이상은 98만 명 증가한 반면, 30대 이하는 3만4000명 감소했다. 청년 여성 세대(29세 이하)의 취업난과 결혼 및 출산, 육아 등으로 인한 30대 여성의 경력단절이 심각함을 방증한다고 볼 수 있다.

이 같은 내용은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개원 33주년을 맞아 20일 개최하는 ‘여성·청년의 일과 삶, 한국의 미래’ 세미나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세미나에서는 노동시장과 가족구조의 변화로 인해 일자리·주거·복지 면에서 이전 세대와는 다른 형태의 어려움을 겪는 청년과 여성의 현황과 대책을 논의한다.

20일 발표자로 나서는 김태홍 여성고용·인재연구실장은 “여성 취업자 수는 늘었지만 연령별로 보면 20, 30대 청년 여성이 감소한데다가 일자리의 질도 좋지 않다는 점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2015년 기준 여성 전체 일자리의 40.2%가 비정규직으로 남성 26.6%에 비해 월등히 높다. 김 실장은 “경기가 나쁘면 여성은 먼저 해고되지만, 신규 채용은 안 되는 상황”이라며 “청년 여성의 취업률을 높이려면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청년고용대책을 세울 때 청년 여성의 특수성을 반영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 다른 발표자인 홍승아 가족·평등사회연구실장은 청년 세대의 가족에 대한 의식이 개인 중심으로 변화했음을 지적했다. 특히 지금과 같은 추세로 가족구조가 변화한다면 2035년엔 1인 가구가 34%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부부로만 구성된 가구가 그 다음을, 부부와 자녀로 구성된 가구는 세 번째에 머무를 것이라고 설명했다. 홍 실장은 “배우자 및 배우자 부모와의 관계에 대한 여성의 만족도가 떨어진다”며 “이는 가부장적 가족관계에 대한 변화의 요구로 해석해야 한다”고 밝혔다.

장미혜 여성권익·안전연구실장은 청년층의 주거 문제에 대해 발표한다. 장 실장은 “기존의 주거지원정책이 주로 저소득층·기혼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어 다수의 청년층이 사실상 배제돼 있다”며 “청년 주거문제를 저가 임대주택 등 공급 위주의 전략으로만 접근하면 청년층이 결혼·출산을 피하는 근본원인을 개선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그는 “가족친화적 지역사회를 조성해 육아와 가족 부양을 함께 할 수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지은 기자 smiley@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