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전북]충청 82만명 늘때… 호남 인구비중 40년새 ‘반토막’

  • 동아일보
  • 입력 2014년 4월 4일 03시 00분


코멘트
1970년 호남(광주 전남 전북)의 인구는 565만2000명으로 전국의 20.4%를 차지했다. 당시 충청권(대전 충남 충북) 440만1000명보다 약 125만 명이 많았다. 40년이 지난 2010년 호남의 인구는 506만 명으로 줄어 충청권(510만8000명)에 추월당했다. 충청권 인구가 호남을 추월하면서 대전 충청지역 정치권에서는 국회의원 의석수를 조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호남지역 3개 광역자치단체도 뒤늦게 손을 잡고 인구 늘리기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 호남권 인구 유출 가장 심각

광주와 전남, 전북발전연구원은 2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호남권 인구 유입 촉진 방안’을 주제로 순회 세미나를 개최했다. 발표자로 나선 광주발전연구원 김재철 선임연구위원은 호남권 인구 감소의 가장 큰 원인은 젊은층이 교육과 대학 진학 및 취업을 이유로 빠져나갔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10대는 좋은 교육환경을 찾아, 20대는 대학 진학을 위해, 30대는 일자리를 찾아 수도권과 충청지역으로 떠난다는 것이다.

1970년 3224만 명이던 전체 인구는 2012년 5000만 명을 돌파했다. 그러나 호남권 인구는 565만 명에서 506만 명으로 줄었고 차지하는 비율도 20.4%에서 10.2%로 감소했다.

충청권도 전체에서 차지하는 인구 비중은 13.8%에서 10.4%로 줄었으나 인구수는 440만 명에서 522만 명으로 늘었다. 같은 기간 수도권의 인구는 1834만 명에서 2470만 명으로 늘어 전체의 절반(49.4%)에 육박하고 있다.

충청권 인구가 늘어난 건 수도권 개발의 파급 효과가 확산되면서 수도권 가까운 지역에 대학과 기업이 늘고 전철 등 교통망이 확충됐기 때문이다. 행정수도인 세종시 건설도 영향을 미쳤다. 충청권 인구 증가에는 호남을 떠난 사람들도 한몫했다.

호남은 교육과 대학 진학, 취업을 위해 수도권으로 전출하는 인구가 크게 늘어 지역민이 잔류할 수 있는 근본 대책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인구 통계에 따르면 2003년 호남의 전출 인구는 54만 명, 전입 인구는 5만 명이다. 이 가운데 10대가 4만 명, 20대 39만 명, 30대 5만 명이 전출했다. 호남권은 2010년 이후 인구 감소가 멈췄는데 이는 이미 많은 젊은층이 지역을 떠났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호남 인구의 고령화도 가속화되고 있다. 전남의 65세 이상 노인 인구 비율은 2005년 17.3%에서 2012년 20.9%로 이미 초고령사회로 진입했다. 같은 기간 전북도 13.9%에서 17%로 노인 인구 비율이 높아졌다.

인구 감소는 호남에 대한 정부의 예산 지원과 지역사업 축소, 국회의원 의석수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젊은층이 줄면서 교육여건과 생활 편의시설이 악화되고 기업이 투자하지 않아 새로운 일자리가 없기 때문에 사람이 떠나는 악순환이 계속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 호남 엑소더스 막아야

광주시와 전남도, 전북도 등 호남지역 3개 광역자치단체가 손잡고 인구 늘리기에 나섰다. 충청권 인구가 호남을 추월하자 기초지자체에만 인구정책을 맡겨둘 수 없다고 판단한 것이다. 광주발전연구원과 전남발전연구원, 전북발전연구원은 1월 ‘호남권 인구 유입 방안’을 주제로 회의를 열어 공동 인구 유입 대책을 마련하고 대책팀을 구성하기로 했다. 3개 기관은 6월까지 청년층 역외유출 감소와 저출산 대책, 기업 유치와 일자리 확대 방안 등을 마련하기로 했다. 광주시는 올 상반기에 ‘지역 문화와 문화산업’을 바탕으로 한 인구 끌어오기 대책을, 전남도는 시행 중인 3개 광역지자체 인구 유입 시책을 점검하고 보완책을 각각 내놓기로 했다. 전북도는 전북과 전남 혁신도시에 입주하는 공기업의 일자리 확보를 위한 지역 대학의 맞춤형 교육 모델을 제시할 방침이다. 지역 정치권도 ‘인구 늘리기’에 힘을 보태기로 했다. 충청지역 정치인들의 인구수에 따른 국회 의석수 조정 주장에 맞대응 논리도 내놓고 있다. 김재무 전 전남도의회 의장은 “인구가 줄면 정부 예산 지원 감소에 따라 각종 사업이 축소되는 것은 물론이고 지역의 정치적 대표성이 약화되고 지역 성장의 교두보 확보에도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며 “광역자치단체와 정치권이 젊은층의 ‘호남 엑소더스’를 막기 위한 상생 네트워크를 구축해 교육과 일자리 여건 개선, 젊은층을 유입할 정책 발굴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김 연구위원은 산업, 문화관광, 고등교육, 의료, 서비스 등 중추 기능이 강화된 거점도시를 육성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우리나라는 모든 기회가 수도권에 집중돼 있다”며 “경쟁이 심화될수록 호남에 있으면 손해 보는 느낌, 즉 공정한 기회로부터 차별받는다는 인식이 강하게 돼 이를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상주인구가 아니라도 유동인구를 늘려 ‘강소지역’을 만드는 전략도 필요하다”며 “아시아문화전당 개관 및 국제 행사 유치, 관광 연계는 물론이고 KTX 호남고속철 개통을 계기로 수도권 기능을 호남으로 분산시킬 전략을 강구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김광오 kokim@donga.com·정승호 기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