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짜선택
  • [동아광장/김용하]혼돈의 가상통화, 정부가 길 열어야

    [동아광장/김용하]혼돈의 가상통화, 정부가 길 열어야

    1월 15일 세계표준시간 기준 0시 현재 2698개의 가상통화, 1만4982개의 마켓, 166개 거래소에서 최근 24시간 총거래량 165만5992비트코인. 가상통화의 실시간 거래 상황을 알려주는 글로벌 정보업체 코인힐의 정보다. 거대해지고 있는 세계 가상통화 시장에서 한국이 차지하…

    • 2018-01-16
    • 좋아요
    • 코멘트
  • [동아광장/박일호]‘너’와 ‘나’를 가르는 신화적 사고의 위험

    [동아광장/박일호]‘너’와 ‘나’를 가르는 신화적 사고의 위험

    “인간은 상징적 동물이다.” 독일 철학자 에른스트 카시러(1874∼1945)의 말로 인간은 상징을 만들고 사용할 줄 아는 동물이며, 상징을 통해서 세계를 바라보고 이해한다는 것이다. 우리가 세계를 직접 다루고 이해하지 않으며, 우리가 만들어낸 문화적 산물인 신화, 언어, 과학 등 상징…

    • 2018-01-13
    • 좋아요
    • 코멘트
  • [동아광장/안세영]2018년 우리나라 통상정책의 2대 과제

    [동아광장/안세영]2018년 우리나라 통상정책의 2대 과제

    올해에도 세계 경제가 3% 성장에는 못 미치지만 나름대로 순항을 하여 수출 등 우리 경제의 대외 여건이 좋은 것 같다. 문제는 미국 워싱턴과 중국 베이징에서 몰아치는 거센 통상 돌풍이다. 취임 1년을 맞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당초 우려했던 것보다 더 강도 높은 ‘미국 우선주의…

    • 2018-01-06
    • 좋아요
    • 코멘트
  • [동아광장/최재경]모든 짐을 법원·검찰이 떠안을 수 있겠나

    [동아광장/최재경]모든 짐을 법원·검찰이 떠안을 수 있겠나

    어떤 완벽한 제도를 갖춘 국가도 불완전한 인간이 살아가는 한 의혹과 분쟁의 발생을 피할 수 없다. 문제가 생기면 전말을 조사해 실체적 진실을 밝히고, 그것을 토대로 책임을 가리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문제가 생겼는데 진상이 제대로 규명되지 않거나 공정한 문책이 이뤄지지 않고 의혹이 확산…

    • 2018-01-05
    • 좋아요
    • 코멘트
  • [동아광장/김진현]통일 ‘내가 맘먹을 탓입니다’

    [동아광장/김진현]통일 ‘내가 맘먹을 탓입니다’

    통일시기 언제쯤? “그건 내가 맘먹을 탓입니다. 적절한 시기라고 말할 수 있지요. 이런 표현은 높은 직위에 있는 사람들만이 쓸 수 있는 말입니다.” 2000년 8월 12일 세 시간 반에 걸친 당시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관저인 목란관에서 나눈 대화를 기록한 비망록의 한 구절이다.…

    • 2018-01-04
    • 좋아요
    • 코멘트
  • [동아광장/이종수]집을 튼튼하게 지읍시다

    [동아광장/이종수]집을 튼튼하게 지읍시다

    며칠 전 일본인 교수를 만나 집 짓는 이야기를 나눴다. 그 전에 미국인 교수와 같은 이야기를 나눈 적이 있었기 때문에 내 머릿속에서는 자연히 집 짓는 이야기로 한국, 일본, 미국 사회의 비교가 이뤄졌다. 나와 미국인 교수는 지난해에 집을 지었고, 일본인 교수는 몇 년 전 집을 지은 적…

    • 2018-01-02
    • 좋아요
    • 코멘트
  • [동아광장/최강]사즉생의 결기만이 위기를 막는다

    [동아광장/최강]사즉생의 결기만이 위기를 막는다

    매년 이맘때면 한 해를 되돌아보고, 다가오는 한 해를 전망해보곤 했다. 새해가 지난해보다 나아 보인 경우는 드물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런데 올해는 더욱 암울한 기분이 든다. 출범 이후 문재인 정부는 북핵문제 해결을 비롯한 한반도 상황의 안정화와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들과의 관계 개선 …

    • 2017-12-30
    • 좋아요
    • 코멘트
  • [동아광장/이정동]혁신의 첫 단추, ‘逆설계’의 비밀

    [동아광장/이정동]혁신의 첫 단추, ‘逆설계’의 비밀

    ‘캄브리아기 폭발’이라는 개념은 5억4000만 년 전 캄브리아기에 다양한 생물종의 화석이 갑작스럽게 출현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하필 이 시기에 기다렸다는 듯이 다양한 생물종이 탄생한 이유가 무엇인지 아직까지 논쟁이 한창이다. 좀 엉뚱한 비유인지 모르지만 한국의 산업기술 발전 과정을…

    • 2017-12-29
    • 좋아요
    • 코멘트
  • [동아광장/신세돈]일자리 정책, 로드맵인가 로드킬인가

    [동아광장/신세돈]일자리 정책, 로드맵인가 로드킬인가

    2017년 5월 10일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첫 행정명령으로 일자리위원회를 구성했다. 20여 일 뒤 이용섭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이 발표한 ‘일자리 100일 계획’의 핵심 목표는 국정운영의 패러다임을 일자리 중심으로 전환하고 신성장동력 창출과 경제체질 개선을 통해 고용창출력을 제고하며 …

    • 2017-12-28
    • 좋아요
    • 코멘트
  • [동아광장/하준경]‘혁신 차단’ 행위를 차단하는 법

    [동아광장/하준경]‘혁신 차단’ 행위를 차단하는 법

    한국 경제에 혁신이 필요하다는 데는 대체로 이견이 없다. 그러나 대통령이 혁신성장의 속도감을 주문한 데서 알 수 있듯 실제 혁신은 지지부진하다. 무엇보다 혁신 과정의 핵심인 ‘창조적 파괴’가 기득권자들의 이익을 침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역사적으로 많은 이들이 혁신을 막는 데 전…

    • 2017-12-26
    • 좋아요
    • 코멘트
  • [동아광장/김용하]분배, 복지, 성장의 딜레마

    [동아광장/김용하]분배, 복지, 성장의 딜레마

    최근 발표된 2017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가처분소득 기준 2016년의 지니계수, 소득 5분위 배율, 상대적 빈곤율 지표가 전년에 비해 모두 악화되었다. 지니계수는 0.357로 0.003이, 소득 5분위 배율은 7.06배로 0.05가, 상대적 빈곤율은 17.9%로 0.1%포인트…

    • 2017-12-23
    • 좋아요
    • 코멘트
  • [동아광장/이우영]‘불변응만변’을 생각하며

    [동아광장/이우영]‘불변응만변’을 생각하며

    격랑의 시대, 처세는 몇 가지가 있으리라. 항상 우리 청년들과 마주하며 강단에 서다 보니 종강 때면 지나간 시간을 돌아보며 함께 새기는 정언(定言)이 있다. 하나는 ‘이 또한 지나가리라(This, too, shall pass away)’요, 또 하나는 ‘∼에도 불구하고’이다. ‘촛…

    • 2017-12-22
    • 좋아요
    • 코멘트
  • [동아광장/박일호]오죽하면 대학을 구경할까

    [동아광장/박일호]오죽하면 대학을 구경할까

    이화여대는 사시사철 중국인 관광객들이 찾는다. 정문 옆에 장식된 배꽃 조형물이나 건물을 배경으로 사진을 찍는 사람도 있고, 학교 안으로 들어와 곳곳을 배회하는 사람들도 있다. 어떤 때는 학교가 마치 관광지가 된 것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도대체 왜 이렇게 됐을까? 배꽃을 뜻하는 …

    • 2017-12-19
    • 좋아요
    • 코멘트
  • [동아광장/최진석]‘독립’을 생각한다

    [동아광장/최진석]‘독립’을 생각한다

    나라는 배타적인 경계 안에서 공통의 가치와 이익을 함께 누리는 사람들끼리 모여 살기 위해 만든 제도다. 여기서 ‘배타적’이라는 말은 나라의 근본 토대를 표현한다. 배타적으로 확보되는 존재성이 바로 ‘독립’이므로, 독립은 나라의 존엄을 가리키는 가장 선명한 명제다. 정상적인 나라라면 자…

    • 2017-12-16
    • 좋아요
    • 코멘트
  • [동아광장/최재경]장발장과 지장보살

    [동아광장/최재경]장발장과 지장보살

    겨울 한파가 매섭다. 구세군 자선냄비가 등장했지만 경기 침체로 사랑의 온도가 낮다고 걱정한다. 은행은 돈을 빌려준 뒤 이자를 받아 돈을 버는 금융기관이다. 그런데 이상한 은행이 있다. 스스로 ‘돈 없는 은행’을 표방하고, 대출금에 이자도 받지 않는다. 6개월 후 1년간 원금을 나눠…

    • 2017-12-15
    • 좋아요
    • 코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