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신도 성향도 ‘깜깜’… 민주 全大 ‘무서운 50만명’

  • 동아일보
  • 입력 2012년 1월 6일 03시 00분


코멘트

■ 시민선거인단 50만명 넘을듯

판세도 구도도 보이지 않는다. 한마디로 안갯속이다.

민주통합당 전당대회 시민선거인단이 4일 오후 9시 현재 36만5700명을 넘어서면서 선거전이 예측불허로 치닫고 있다. 대의원 조직 동원, 후보 간 합종연횡 등 기존 당내 경선 공식이 사라지고 있기 때문이다. 민주당은 시민선거인단 등록 마감인 7일까지 5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보고 있다. 이는 기존 민주당 당원(12만 명)의 4배를 넘는다.

선거인단 규모가 커지면서 민주당 출신 후보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이름과 얼굴이 많이 알려진 배우 출신의 문성근 후보나 12만 명의 회원을 가진 YMCA 출신 이학영 후보가 유리해질 것이라는 전망 때문이다. 이번에 후보를 내지는 않았지만 90만 명의 조합원을 가진 한국노총이 선거 판세를 좌우할 것이란 분석도 있다. 민주당 출신의 한 후보는 “총선, 대선을 이끌며 당의 운명을 책임질 지도부를 뽑는 선거가 탤런트 인기투표처럼 변질됐다”고 볼멘소리를 냈다.

과거 당 지도부 경선은 조직과 돈의 싸움이었다. 대의원들을 확보하기 위해 줄 세우기, 돈 거래가 횡행했다. 시민참여 경선과 모바일 투표의 도입으로 이런 폐습은 줄었지만 그만큼 정당정치가 빠르게 무너지고 있다는 지적도 많다.

민주당이 도입한 모바일 투표는 콜센터에 전화하거나 인터넷 홈페이지에 접속해 이름, 주민등록번호, 주소, 휴대전화 번호만 입력하면 된다. 한나라당이나 통합진보당 지지자를 걸러낼 방법이 없어 조직적인 역선택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가족이나 친지의 휴대전화를 이용한 대리투표를 걸러낼 방법도 없다. 당원 조직이 무력화될 수도 있다. 한 의원은 “앞으로 누가 매달 당비를 내고 당 행사 때마다 자원봉사자로 궂은일을 도맡는 당원을 하겠느냐”라며 혀를 찼다.

민주당은 4월 총선과 12월 대선에서도 후보선출 과정에 모바일 투표를 도입하기로 했다. 총선을 준비 중인 한 386 전직 의원은 “이런 식이라면 BBK 사건으로 구속된 정봉주 전 의원이 대선 후보로 선출될 수도 있을 것”이라며 “보완책이 마련되지 않으면 대중영합주의자(포퓰리스트)만 유리해질 것”이라고 꼬집었다.

조수진 기자 jin0619@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