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K방역’ 과신하다 백신대응 뒷북친 정부

  • 동아일보
  • 입력 2020년 12월 21일 00시 00분


코멘트
정세균 국무총리가 이미 공급 계약을 마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외에 화이자 얀센 모더나의 백신은 내년 1분기(3월)까지 국내 접종이 어렵다고 어제 밝혔다. 속속 백신 접종에 들어간 해외와 비교해 국내 접종이 늦어진다는 지적에 “백신TF를 7월에 만들었는데 당시 확진자 수가 100명대여서 백신 의존도를 높일 생각을 안 했던 측면이 있다”며 정부 대응이 안이했음을 솔직히 인정했다.

정부당국은 8일 “내년 가을 전까지 4400만 명분을 들여올 계약을 맺었거나 맺는 중”이라며 그 내역으로 아스트라제네카 1000만 명분, 화이자와 모더나 각 1000만 명분, 백신 공동구매 국제 프로젝트인 코백스 퍼실리티 1000만 명분과 얀센 400만 명분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 중 현재 계약이 완료된 것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뿐으로 정 총리에 따르면 “이르면 2월 늦어도 3월”에 국내 접종이 시작된다고 한다. 다만 이 백신도 정부가 제약사 측과 맺은 구매계약서에 구체적인 도입 시기가 명시되지 않아 자칫 지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그간 정부가 장담해온 “2, 3월 도입”이 지난달 박능후 복지부 장관이 아스트라제네카 최고경영진으로부터 받은 구두 약속에만 근거했다는 것이다.

우리 정부의 백신 확보 전략은 8일 첫 발표 때만 해도 “다른 나라의 부작용을 살핀 뒤 여유 있게 접종하겠다”였으나 여론의 비판이 쏟아진 뒤인 18일 “신속 추진”으로 바뀌었다. 문제는 선진국들이 백신 확보 경쟁에 나서면서 우리가 백신을 확보할 여지가 급격히 줄었다는 점이다. 백신을 사전에 충분히 확보해야 한다는 전문가 지적에도 정부가 안이하게 대응했다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다.

백신은 인류를 괴롭히는 코로나19를 잡을 궁극적인 해결책으로 여겨지고 있다. 지금이라도 민관의 역량을 총동원해 백신 확보에 나서는 동시에, 백신이 도입된 뒤의 조치도 미리미리 준비해야 한다. 백신을 유통하고 접종 우선순위를 정하고 안전성을 검증하고 혹시 모를 부작용에 대비하는 과정이 모두 맞물려 돌아가야 한다. 정부가 그토록 자랑해온 ‘K방역’의 성공은 국민의 자발적 동참에 힘입은 바 크다. 코로나에 지친 국민 불안을 조금이라도 덜기 위해서도 전문가 의견에 귀 기울이고 앞으로 닥칠 상황에 선제적으로 대비하는 정부 자세가 필요하다.
#백신#대응#정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