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fe]사설탐정 자격증 학원 과정 많지만 국내선 공인 안돼

  • 입력 2007년 12월 28일 02시 57분


코멘트
디지털 탐정은 진짜 탐정이 될 수 있을까?

추리에 대한 열기는 온라인뿐 아니라 오프라인에서도 존재한다. 탐정학원부터 탐정협회, 심지어 탐정 자격증까지…. 아직 국내에서 탐정이란 직업 자체가 법적으로 허용되지 않음을 감안한다면 놀라지 않을 수 없다. 현재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탐정의 명칭은 ‘민간조사원(PI·Private Investigator)’이다.

온라인 학원 ‘모모고시’에서는 민간조사원 자격증 코스를 만들어 경찰학과 교수 4명을 초빙해 범죄학, 법학개론, 민간조사 관련 법 등을 가르친다. 1차 시험(3과목)과 2차 시험(2과목)을 통과하면 민간조사원 자격증이 나온다.

현재 이를 취득하기 위해 50명 정도가 학원 수강증을 끊은 상태다. 모모고시 황성복 과장은 “앞으로 공인화될 것을 염두에 두고 미리 따놓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말했다.

각종 민간조사원 관련 단체에서도 자격증을 발급하고 있다. 한국민간특수행정학회는 광운대 정보복지대학원에서 민간조사원 자격 취득 과정을 시행하고 있다. 하금석 회장은 “2000년부터 현재까지 800명 정도가 자격증을 땄다”며 “최근에는 탐정을 하나의 새로운 문화로 여기는 젊은 층 응시자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런 자격증들은 공인되지 않았다. 2년 전 한나라당 이상배 의원이 ‘민간조사업법안’을 내놓았지만 현재까지 통과되지 않고 있는 상황. 여기에 ‘떼인 돈 받기’ 전문인 심부름센터나 흥신소 등이 난립하고 있어 ‘민간조사=뒷조사’ 이미지가 강하다. 국가정보원 최재근 공보관은 “신용조사를 비롯한 개인정보 조사는 허가받은 기관에서만 할 수 있으며 개인적인 행위는 불법”이라고 못 박았다.

대한민간조사연합회의 정진근 운영이사는 “법적 테두리 안에서 활동할 수는 없지만 경찰에서 해결해 주지 못하는 개인사를 민간조사원에게 의뢰하는 사람이 많다”고 말했다.

김범석 기자 bsism@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