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 쟁점]원지동 추모공원 어떻게

  • 입력 2003년 3월 19일 21시 00분


코멘트
서울시가 추모공원 터로 정한 서초구 원지동 청계산 개나리골. -동아일보 자료사진
서울시가 추모공원 터로 정한 서초구 원지동 청계산 개나리골. -동아일보 자료사진
《‘장묘 대란’을 막기 위해 서울 서초구 원지동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 해제지역에 대규모 추모공원(화장장·납골당·장례식장)을 짓겠다는 서울시의 숙원이 올해는 풀릴까. 시의 계획에 반발해 서초구와 주민들이 제기한 행정소송 변론일(21일)이 다가옴에 따라 양쪽에 긴장감이 돌고 있다.》

▽판결까지 가나=추모공원 계획에 반대하는 주민들은 건설교통부의 그린벨트 해제와 서울시의 도시계획시설(공원, 화장장, 도로) 결정이 부당하다며 서울행정법원에 이를 취소해 달라는 소송을 냈다.

법정 공방이 끝나 지난달 7일 판결이 내려질 예정이었으나 시와 서초구는 합의 하에 공판을 연기했다. 그 사이 재판부가 바뀌는 바람에 법원은 21일 한 차례 변론을 들은 뒤 다시 선고일을 정할 예정.

시와 서초구는 법원 판결이 나기 전에 합의를 끌어내 소송을 취하한다는 데 뜻을 모으고 물밑 협상을 벌이고 있다.

▽규모는 축소=서울시는 당초 5만여평의 부지에 화장로 20기, 납골당 5만위, 장례식장 12실을 지을 계획이었으나 서초구와 주민들이 반발하자 규모를 신축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고 후퇴했다.

이봉화(李鳳和) 시 복지여성국장은 “종합병원 부속시설로 화장장을 설치하고 납골당도 각 자치구에 나눠 짓겠다는 게 시의 방침”이라며 “원지동의 화장로와 납골당은 각각 11기, 1만5000위 정도로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조남호(趙南浩) 서초구청장은 ‘2010년까지 장묘대란은 일어나지 않는다’는 한국행정학회의 연구결과를 제시하며 “화장로 3, 4기 정도만 건설하는 것이 옳다”고 주장했다. 원지동 주민 모임인 ‘청계산 지키기 시민운동본부’는 “규모를 줄인다면 서초구 내 다른 그린벨트 지역에 짓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추모공원 계획을 백지화하라고 요구했다.

▽어떻게 될까=서울시는 서초구와 추모공원 규모 등을 합의한 후 주민 설득작업과 토지보상 등 절차를 밟아 연내에 착공할 계획이다.현재 강남구 삼성동에 있는 시립 강남병원을 현대식으로 재단장해 원지동으로 옮기고 청소년수련관 등 편의시설을 지어주겠다는 카드를 ‘당근’으로 제시했다. 화장장 등은 병원 부속시설로 자연스럽게 붙이겠다는 것. 시는 강북지역 자치구들을 대상으로 “화장로 2, 3기를 건설하면 시립병원 이전 후보지로 우선 검토하겠다”며 서초구를 압박하고 있다.

이에 대해 서초구는 “시립병원을 유치하더라도 두자릿수의 화장로를 짓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면서도 “빨리 협상을 마무리짓겠다”고 밝혔다.

정경준기자 news91@donga.com

이재명기자 egija@donga.com

추모공원 관련 서울시와 서초구 입장
서울시구분서초구
5만평부지 규모1만평
20기→11기화장로3, 4기
5만위→1만5000위납골당-
12실장례식장기존 병원의 장례식장 활용
지원도로 건설로 교통난 해소교통대책추모공원 건립시 정체 불가피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