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권희의 월가리포트]戰後 불확실성에 숨죽인 뉴욕증시

  • 입력 2003년 4월 9일 17시 43분


코멘트
“전쟁 끝.”

월가가 가장 먼저 전쟁 종료를 ‘선언’했다. 하늘에선 여전히 폭탄이 떨어지고 총구는 불을 뿜고 있다. 매스컴은 ‘백댓(바그다드)’을 입에 달고 살지만 투자가들은 전쟁이 끝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백악관의 그 누구도, 기자나 군인 가운데 누구도 소리내서 말하지 못한 것을 시장이 먼저 평가를 내렸다.

시장의 판단은 8일 오전(뉴욕 시간) 미국이 사담 후세인 이라크 대통령을 겨냥해 재차 공격을 가한 뒤 더욱 뚜렷해졌다. 이라크 전황은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됐다. 후세인 대통령의 생사 여부가 시장에서는 중요하지 않게 된 것이다. 그러면 무엇이 중요하다는 건가. 월가의 한 이코노미스트는 이렇게 진단한다.

“초점은 앞으로 어떻게 하느냐에 달려 있다. 사람들은 이라크 전쟁의 진전 상황만 보는 것이 아니라 그 다음에 어떤 일이 일어날지를 생각하기 시작했다.”

이들이 궁금해하는 것은 전후의 이라크가 조지 W 부시 미 행정부가 말하듯 민주주의로 나갈지, 심각한 분열상을 빚을지, 유엔에서 이 문제를 두고 논란이 벌어질지, 미 정부의 복안은 무엇인지 등 수없이 많다. 이런 상황에선 시장은 좀 쉬었다 가는 형국이 될 것이라고 월가 사람들은 진단한다. 게다가 미국의 전쟁에 큰 불만을 품고 있는 나머지 아랍국가들의 태도나 이번 전쟁에 따라 테러 위협이 되레 커졌을 가능성 등도 전후 불확실성의 이유로 지적한다.

월가에서 중요하게 보는 것이 또 하나 있다. 바로 미국 경제의 펀더멘털이다. 전쟁 안개가 걷혀가면서 다음주부터 발표될 기업들의 1·4분기(1∼3월) 실적이 투자자들의 관심사다. 일단은 지독하게 나쁜 성적표가 나올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대 기업의 경우 이익이 8.4%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언뜻 보면 높은 것 같지만 에너지 회사의 이익이 무려 172% 증가한 것을 제외하면 나머지는 평균 1.8% 증가에 그친다. 인플레율도 따라잡지 못한 셈이다. 2·4분기 6.9%, 3·4분기 13.1%, 4·4분기 22.0%의 이익증가 전망도 미국 경제의 회복을 전제로 한 것이다. 미국 재무부도 전후 미국 경제가 빠른 회복을 보이지 못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런 분위기를 반영해 7일 큰 폭으로 올랐던 뉴욕주가는 8일 보합세에 머물렀다.

홍권희기자 konihong@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