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속에 매머드가… AR로 재현한 ‘빙하시대’

  • 동아일보
  • 입력 2022년 3월 7일 03시 00분


코멘트

美 로스앤젤레스 자연사 박물관
빙하기 동물 13종 증강현실 재현
스냅챗-인스타그램 등으로 제공

증강현실(AR) 속에서 볼 수 있는 컬럼비아 매머드의 모습이다. 로스앤젤레스 자연사박물관 제공
증강현실(AR) 속에서 볼 수 있는 컬럼비아 매머드의 모습이다. 로스앤젤레스 자연사박물관 제공
약 2만 년 전 지구를 호령한 초대형 포유동물 매머드와 포식자인 고양잇과 동물 검치호가 자연사박물관의 앱(응용 프로그램)에서 살아 있는 모습으로 되살아났다. 이들은 지금 모두 멸종해 화석과 미라 형태로만 남아 있다.

맷 데이비스 미국 로스앤젤레스 자연사박물관 연구원팀은 빙하기 시대를 살았지만 지금은 멸종한 동물 13종을 증강현실(AR)로 재현한 입체(3D) 모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2일 국제학술지 ‘고생물학 일렉트로니카’에 발표했다.

연구팀이 형상화한 동물은 검치호, 다이어울프, 샤스타 땅나무늘보, 할란 땅나무늘보, 아메리카사자, 컬럼비아 매머드, 아메리카마스토돈, 카멜롭스, 고대들소, 난쟁이가지뿔영양, 서양말, 테라톤, 짧은얼굴곰이다. 스냅챗과 인스타그램에서 마치 살아 있는 것처럼 뛰어다닌다.

1990년대와 2000년대 학계가 멸종 동물의 유전자를 채취해 복원하려는 노력을 추진했지만 대부분 물거품으로 돌아갔다. 최근 고생물학계는 멸종동물을 디지털 세계에서 살려내고 있다. 이번에 공개된 AR 속 동물들은 멸종한 생물을 과학적 상상력으로 되살려내는 ‘팔레오아트’의 일종이다. 팔레오아트는 고생물학(Paleontology)과 예술(art)의 합성어다.

연구팀은 팔레오아트를 만드는 데 활용한 과학적 사실과 예술적 상상력을 구분해 공개했다. 샤스타 땅나무늘보의 경우 머리카락과 피부가 보존된 골격이 발견된 만큼 털이 얽히고설킨 모습까지 정확히 묘사해 냈다. 코끼리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몸집은 훨씬 작은 마스토돈은 털 몇 가닥만 발견된 게 전부라 두꺼운 가죽으로 몸을 덮은 묘사는 상상이 적용된 부분이다. 데이비스 연구원은 “알고 있는 것을 기록하는 것만큼 모르는 것을 인정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최근에는 동물뿐 아니라 식물을 대상으로 정확한 팔레오아트를 만드는 노력도 이어지고 있다.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는 지난달 16일 “고대 식물을 재현하기 위해 예술가들이 고식물학자와 합류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고 보도했다. 공룡을 중심으로 이뤄지던 기존 팔레오아트에서는 주변 식물이 배경으로만 자리 잡은 채 과학적으로 정확한 묘사가 이뤄지지 않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미국 시카고 필드 자연사박물관은 중생대 초기 번성했던 플루로마이아를 비롯한 식물을 그림으로 만들어 공룡들이 먹는 장면을 배치하는 전시를 온라인으로 선보이기도 했다. 필드박물관의 마를렌 도넬리 과학 일러스트레이터는 “고대 생물을 복원하는 과정에서 식물을 제외하는 일이 터무니없는 일이라는 인식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조승한 동아사이언스 기자 shinjsh@donga.com
#로스엔젤레스#증강현실#ar#포유동물#매머드#포식자#검치호#다이어울프#샤스타 땅나무늘보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