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밭 어르신에 “엄마” 살가운 6년… 탈북자 첫 이장으로

  • 동아일보
  • 입력 2014년 3월 24일 03시 00분


코멘트

[동아일보 통일코리아 프로젝트 2년차/준비해야 하나 된다]
[탈북자에서 한국인으로]<1>전남서 ‘만석꾼’ 정착 이정옥씨

탈북자 출신 첫 이장인 이정옥 씨(오른쪽에서 두 번째)가 전남 신안군 내호리 마을회관에서 동네 어르신들에게 손수 만든 아귀찜을 대접하고 있다. 2003년 한국에 들어온 이 씨의 구수한 사투리를 듣고 있으면 영락없는 전라도 사람이다. 신안=박영철 기자 skyblue@donga.com
탈북자 출신 첫 이장인 이정옥 씨(오른쪽에서 두 번째)가 전남 신안군 내호리 마을회관에서 동네 어르신들에게 손수 만든 아귀찜을 대접하고 있다. 2003년 한국에 들어온 이 씨의 구수한 사투리를 듣고 있으면 영락없는 전라도 사람이다. 신안=박영철 기자 skyblue@donga.com
《 통일이 남북의 미래면 탈북자는 ‘먼저 온 미래’다. 통일시대의 개척자인 그들은 힘들다. 그토록 원했던 자유에 적응하지 못해 북한으로 되돌아간 탈북자도 있다. 그러나 동아일보는 당당한 한국인으로서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탈북자도 많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그들의 성공적인 한국 정착, 착한(着韓) 스토리를 남북하나재단(이사장 정옥임)과 함께 시리즈로 소개한다. 》

2003년 어느 날 동남아 국가의 한 공항에서 한국행 비행기가 급히 이륙했다. 비행기엔 북한 노동당 교육기관 김일성고급당학교를 졸업한 북한군 대대 지도원 출신 ‘여성 외화벌이 일꾼’이 앉아 있었다.

그는 7년간 그 나라 인근에서 외화를 벌어 북한에 보내는 일을 했다. 2002년 그 일을 관리하던 장성택(김정은의 고모부·지난해 12월 처형됨)이 국가예산을 유용했다는 혐의를 받자 그를 포함한 외화벌이 일꾼들도 조사 대상에 올랐다. 체포령이 떨어지자 그는 ‘살려고’ 한국으로 왔다.

“내가 왜 이렇게 됐는가.”

이정옥 씨(48)는 급변한 삶에 혼란스러웠지만 한국 생활은 어쨌든, 그렇게 시작됐다.

○ 봉사로 찾은 삶의 이유

전남 목포에 정착한 이 씨는 얼마 뒤 TV에서 130명의 인명 피해를 낸 초대형 태풍 매미의 피해 현장을 봤다. 이재민들을 위해 너 나 할 것 없이 발 벗고 돕는 모습은 그가 북한에서 배운 ‘괴뢰 한국’과 전혀 달랐다. 그 광경이 이 씨의 가슴 깊은 곳에 울림을 줬다.

이 씨는 목포 사회복지관으로 달려갔다. “사람들을 돕고 싶습니다!”

태풍에 넘어진 벼를 일으켜 세우고 성금을 냈다. 어려운 노인들을 위한 목욕 봉사, 도시락 배달 봉사를 시작했다. 사회복지관 관계자는 “탈북자가 사회봉사를 자원한 건 처음이다. 대단하다”고 감탄했다고 한다.

“봉사를 하면서 삶의 이유를 찾을 수 있었습니다. 봉사가 나를 살게 해준 것이죠.”

그랬던 그가 2004년 불현듯 캐나다로 떠났다. “한국 사회에 적응하지 못한 채 북한식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을 보며 내가 북한에서 온 사람이라는 게 창피하다고 생각했어요.”

4년 뒤 그는 한국으로 돌아온다. “내가 북한에서 온 사람이라는 울타리와 벽을 스스로 치고 나를 거기에 가둬버렸음을 깨달았습니다.”

이 씨는 그 벽을 깨고 싶었다. 한국인으로 제대로 살아보고 싶었다. 목포에서 봉사활동에 전념했다. 2008년 결혼한 남편 김진우 씨(51)의 고향인 전남 신안군 안좌도 내호리에서 농사꾼으로 제2의 삶을 시작했다.

○ 스스로를 가둔 울타리, 나눔으로 깼다


내호리 사람들은 처음에 그녀를 쉽게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 씨는 포기하지 않았다. “길을 가다 밭을 매는 어르신이 보이면 같이 밭을 맸죠.” 그렇게 마을 사람들에게 다가갔다. 이제 이 씨는 내호리 노인들을 모두 “엄마, 아부지”로 부를 만큼 친숙해졌다.

“사흘만 안 보이면 엄마 아부지 집에 가서 ‘엄마 살아계셔?’ ‘아부지 살아계셔?’ 확인해요. 어르신들 집에 수돗물이 얼면 ‘엄마 물 나와?’ 하며 물을 길어주고요.”

“사시는 날까지 아프지 말아야 한다”며 약 먹을 때를 챙기니 술 좋아하는 노인들은 “정옥이 쟤 앞에선 술도 못 먹어”라며 혀를 내두른다. 마을 노인이 세상을 떠나면 상가(喪家) 음식 장만도 이 씨 몫이다. 마을 여기저기서 “어디서 저런 복덩이 가시내가 굴러왔을까”라는 살가운 소리가 들려왔다.

매주 소외된 이웃을 위한 무료급식, 도시락 배달에도 빠지지 않았다. 안좌도의 노인회관 40곳에 매년 김장김치를 기부한다. 2012년엔 김치 850포기(2.5t)를 대한적십자사에 기부했다. 그 김치는 저소득층 이산가족들에게 전달됐다. 이 씨는 오갈 곳 없는 탈북 노인의 농촌 정착도 돕고 남북하나재단(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과 함께 탈북자 영농교육도 하고 있다.

그녀는 최근 마을 주민 50명 중 약 40명의 압도적 지지로 이장에 선출됐다. 남북하나재단은 “이 씨는 ‘첫 탈북자 이장’이자 ‘만석꾼 이장’으로 불린다”고 말했다. 이 씨는 마을 노인회관을 내호리의 어려운 홀몸노인들이 편히 쉴 수 있는 양로원으로 만들고 싶다는 이장으로서의 꿈을 밝혔다.

“농촌 고령화가 심각하니 자식 떠나보낸 뒤 어렵게 혼자 사는 노인이 많아요. 그렇게 살다가 세상을 떠나도 자식들이 몇 주간 모르는 경우도 많지 않습니까. 그런 노인들이 함께 의지하며 더불어 살 수 있는 따뜻한 곳을 만들려 합니다. 그게 내가 해야 할 몫이에요.”

○ “내 동생 해도 되겄지?”

“얼마 전 도시락배달 봉사를 갔던 안좌도 다른 마을의 한 노인이 ‘야 내호(리)! 이제 내 동생 해도 되겄지?’ 하더라고요. ‘우리’ 축에 끼워주겠다는 것이죠. 그 말을 들으니 마음이 벅찼죠.”

“근데∼잉” “진짜∼잉” “그러요”라며 구성진 전라도 사투리를 쓰는 이 씨는 “한국의 시골에 사는 게 행복하다”고 말했다. “한국엔 북한과 달리 스스로 개척할 수 있는 기회가 있기 때문”이란다.

삶의 기로에 섰던 북한의 외화벌이 일꾼이 나눔을 실천하는 마을 이장으로 거듭났다. 기회를 준 건 한국 사회지만 그것을 통해 새 삶을 개척한 건 이 씨 자신이다.

신안=윤완준 기자 zeitung@donga.com
#탈북자#통일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