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몰리다 쫙∼갈라선 SNS ‘사찰’ 여론

  • Array
  • 입력 2012년 4월 3일 03시 00분


코멘트
국무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의 민간인 사찰을 두고 청와대와 야권이 공방을 벌이면서 누리꾼 여론도 요동치고 있다. 2일 소셜미디어 여론 진단 사이트인 소셜메트릭스를 이용해 트위터에서 가장 많이 리트윗(RT·재전송)된 메시지를 ‘민간인 사찰’이라는 키워드로 검색한 결과 KBS 새노조의 최초 폭로 이후 ‘사찰 대부분은 노무현 정부에서 이뤄졌다’는 청와대 반격이 이어지면서 인터넷 여론의 흐름도 변화를 보였다.

지난달 29일 “이명박 정부가 2619건을 무차별 사찰했다”는 첫 폭로 이전 3일간 평균 5336건에 불과했던 ‘민간인 사찰’ 관련 트윗은 30일 4만1802건으로 8배 가까이로 급증했다. 대부분 “비민주적인 불법 사찰에 대해 즉각 사과하라”며 정부를 비난하는 내용이었다. 서울 노원갑 김용민 후보(민주통합당)가 올린 “정권이 획책한 민간인 사찰을 엄중하고 가혹하게 심판해서 민주주의를 바로 세우자”(520회)는 글은 지난달 31일 가장 많이 리트윗됐다.

하지만 이날 청와대가 “2619건 중 80%는 노무현 전 대통령 시절에 이뤄진 것”이라고 밝히며 여론은 급선회했다. 다음 날인 1일 인터넷 게시판에는 ‘hjoh****’ 등 누리꾼들이 “KBS 새노조의 꼼수에 한명숙 민주통합당 대표와 문재인 상임고문이 박수치며 현 정권에 덤터기 씌우려 했다”는 글을 올리며 폭로에 동조한 정치권 인사들을 비판했다. 리트윗 순위 1위도 트위터 아이디 ‘goddns****’가 올린 “‘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격으로 민간인 사찰을 현 정부에 뒤집어씌운 뻔뻔한 정치인을 심판해야 한다”(575회)는 메시지였다.

1일에는 문 상임고문이 “전 정권의 문건은 적법한 공직 감찰이었다”며 반격하고 청와대가 “전 정권 시절에도 조사심의관실에서 직능단체장 등 민간인을 사찰했다”고 맞불을 놓으면서 사건이 전현 정부 간 공방으로 흐르자 여론도 양분됐다. 2일 인터넷 게시판에서는 “민주통합당이 적반하장 격으로 민간인 사찰을 공격하고 있다”며 야권을 비판하는 의견과 “청와대가 물 타기를 시도한다”며 현 정권을 탓하는 주장이 맞섰다.

한편 당초 “지원관실이 불법사찰한 문건 2619건”이라는 자료를 배포해 혼란을 초래한 KBS 새노조에 대해서는 비난이 폭주했다. 트위터 아이디 ‘Heymol****’ 등 누리꾼들은 “KBS 새노조가 문건 날짜도 확인하지 않고 성급하게 보도한 책임이 있다”고 지적했다.

조건희 기자 becom@donga.com
#SNS#민간인불법사찰#여론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