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타냐후, ‘사법 무력화 반대’
국방장관 해임… 70만명 분노 시위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추진 중인 ‘사법부 무력화’ 법안을 둘러싼 이스라엘 사회의 내홍이 극한으로 치닫고 있다. 네타냐후 총리가 집권 리쿠드당 소속이지만 법안 강행을 공개 비판한 요아브 갈란트 국방장관을 26일 전격 해임하자 분노한 시민들이 이날은 물론 27일에도 길거리로 몰려나와 격렬한 반대 시위를 벌였다. 미키 조하르 문화체육부 장관, 니르 바르카트 경제장관 등도 반기를 드는 등 극우 연정 내부의 비판 여론 또한 상당하다. 네타냐후 총리의 부패 관련 재판에서 그를 변호하고 있는 변호인단까지 “변호 중단”을 선언했다. 이스라엘 주요 노조 또한 총파업을 선언해 27일 최대도시 텔아비브 벤구리온 공항에서도 극심한 혼란이 빚어졌다. 핵심 우방인 미국도 거듭 우려를 표했다. 야권에서는 아예 네타냐후 총리의 축출을 거론했다. 아비그도르 리버만 베이테이누당 대표는 27일 “총리가 사임을 발표하기를 희망한다. 리쿠드당이 새 지도자를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 갈란트 국방 해임에
국방장관 해임… 70만명 분노 시위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추진 중인 ‘사법부 무력화’ 법안을 둘러싼 이스라엘 사회의 내홍이 극한으로 치닫고 있다. 네타냐후 총리가 집권 리쿠드당 소속이지만 법안 강행을 공개 비판한 요아브 갈란트 국방장관을 26일 전격 해임하자 분노한 시민들이 이날은 물론 27일에도 길거리로 몰려나와 격렬한 반대 시위를 벌였다. 미키 조하르 문화체육부 장관, 니르 바르카트 경제장관 등도 반기를 드는 등 극우 연정 내부의 비판 여론 또한 상당하다. 네타냐후 총리의 부패 관련 재판에서 그를 변호하고 있는 변호인단까지 “변호 중단”을 선언했다. 이스라엘 주요 노조 또한 총파업을 선언해 27일 최대도시 텔아비브 벤구리온 공항에서도 극심한 혼란이 빚어졌다. 핵심 우방인 미국도 거듭 우려를 표했다. 야권에서는 아예 네타냐후 총리의 축출을 거론했다. 아비그도르 리버만 베이테이누당 대표는 27일 “총리가 사임을 발표하기를 희망한다. 리쿠드당이 새 지도자를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 갈란트 국방 해임에
토픽
- 글로벌 은행 위기
- 美中 갈등
- 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러 공습에도 젤렌스키, 자포리자 방문…IAEA·獨전차 지원 사격도27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전선에서 러시아의 공세 수위가 높아지면서 민간인 피해가 속출하고 있는 가운데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남부 자포리자 최전선을 방문해 장병 격려에 나섰다. 이날 라파엘 그로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과 독일 주력전차들도 잇따라 우크라이나에 도착하면서 힘을 보탰다. ◇러, 우크라 미사일 공습…수십명 민간인 피해 속출 로이터·AFP통신 등에 따르면 지난 24시간 동안 우크라이나 동남부 도시와 마을 10여곳에서 러시아군 공습이 이어졌다. 동부 도네츠크주 슬라뱐스크에서는 이날 오전 러시아군 S-300 미사일 2기가 시청 주변에 떨어졌고 하루 동안 사망자 2명과 부상자 29명이 발생했다. 바흐무트와 함께 격전지로 떠오르는 아우디이우카에서는 주택과 호텔, 법원이 공격을 받았고 비탈리 바라바쉬 아우디이우카 시장은 “도시가 갈수록 지구 종말 영화 모습을 방불케한다”고 밝혔다. 이 밖에도 러시아군은 동남부 자포리자주 정착지 14곳을 포격했고 남부 헤르손주에는
- 튀르키예·시리아 대지진WB “시리아 지진 피해 복구에 10조원 필요…실질 GDP 5.5%↓”시리아를 강타한 대지진의 피해 복구 비용이 약 10조원으로 추산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20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이날 세계은행(WB)은 지난달 발생한 대지진으로 인한 시리아의 피해 복구 비용이 3년간 약 79억 달러(약 10조원)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올해에만 37억 달러(약 4조8000억원)가 소요되고 향후 2년간 약 42억 달러(약 5조5000억원)가 필요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중 농업 부문이 재건 및 복구 수요가 가장 높았고 주택과 사회복지, 교통 부문이 그 뒤를 이었다. 이어 WB는 시리아에 약 37억 달러(약 4조8000억원)의 물리적 피해가 발생하고 15억 달러(약 2조원)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했다며 총 손해 규모를 52억 달러로 추정했다. 또 이에 따라 시리아의 2023년도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전년대비 5.5% 감소할 전망이다. 앞서 WB는 시리아의 실질 GDP가 계속되는 내전과 높은 곡물 및 에너지 가격, 물 부족 등으로 인해 전년대비 3.
- 글로벌 현장을 가다
- 세계의 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