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조선도 영향권”…포스코 첫 파업 위기에 산업계 ‘긴장’

  • 뉴스1
  • 입력 2023년 9월 6일 16시 44분


코멘트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 ⓒ News1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 ⓒ News1
포스코 노사 교섭 결렬로 인한 파업 위기에 자동차·조선·건설 등 철강 제품을 납품받는 수요 기업들이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는 모습이다.

6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는 최근 임금 및 단체협상에서 노조 측 86개 요구사항 가운데 38건에 대해 회사측 제시안을 전달하고 그 외 5건을 추가 제시했지만 노조측은 지난달 23일 교섭 결렬을 선언했다.

교섭 파행의 가장 큰 이유는 임직원 임금 인상률이다. 포스코는 차기 교섭에서 임금 인상률을 제시할 뜻을 밝혔으나 노조 측은 사측이 인상률을 제시하지 않았다며 교섭 결렬을 선언했다.

포스코 노조는 이날 오후 대의원대회를 개최해 쟁의대책위원회 출범과 쟁의발생 결의 등 안건을 의결할 계획이다. 쟁의행위가 가결되고 실제 파업에 들어간다면 포스코 역사상 최초의 파업인 셈이다.

◇“노주 요구안 모두 수용시 연간 인건비 총액 70% 증가”

포스코 노조는 △13.1%의 기본급 인상 △조합원 대상 포스코홀딩스 주식 100주 지급 △목표달성 성과급 200% 신설 △조합원 문화행사비 20억원 지원 △정년 연장(60세→61세) 등 총 86건을 요구하고 있다.

회사측에 따르면 노조의 요구안을 모두 수용할 경우 추가로 소요되는 비용은 약 1조 6000억원으로 연간 인건비 총액의 70%를 넘어서는 수준이다. 포스코 직원 평균 연봉은 1억800만원으로, 노조 요구안이 모두 수용되면 1인당 약 9500만원 인상되는 꼴이라는 게 회사측 판단이다.

포스코는 파업이 현실화될 경우 피해 확산에 대해 우려하며 노조 측의 교섭 복귀를 호소하고 있다. 국가 기간산업이 철강산업이 멈출 경우 국내 산업계와 수출 실적 등에 영향이 적잖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미 사측은 지난달 28일, 31일에 2차례 공문을 보내 교섭복귀를 요청했으며, 이달 1일 회사측 교섭대표가 노조사무실을 직접 방문해 교섭복귀를 설득했다. 지난 4일에는 김학동 포스코 부회장 명의의 서한을 전직원에게 발송해 노사안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김 부회장은 서한에서 “노사간 서로 진심으로 소통하면서 지혜롭게 당면 위기를 해쳐 나가자”며 “회사도 임단협 타결과 상생의 노사관계 구축에 더욱 노력하고 노동조합·노경협의회 등 임직원들의 목소리에 더욱 경청하겠다”고 전했다.

◇“전후방 연관 사업 휘청일 수도…” 우려 목소리

산업계에서는 파업이 현실화될 경우 직접적인 생산차질 피해는 물론 산업 전반에 미칠 파장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국가 기간산업인 제철소가 멈춘다면 자동차·조선·건설 등 전후방 연관산업 전체가 휘청일 수 있다는 것이다.

포스코는 일관제철소 특성상 1년 365일 쉬지 않고 가동하는 연속 조업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만약 일부라도 조업이 중단될 경우 전후 공정에 영향을 미치며 막대한 손실이 불가피하다. 지난해에도 태풍 힌남노 피해 여파로 2조원 규모의 피해를 입었다.

실제 포스코가 판매하는 제품 중 공급 차질 발생시 즉시 계약이 종료되는 제품이 적잖은 것으로 파악됐다. 납기 지연에 대해 막대한 페널티를 부과하는 제품도 있다. 포스코 관계자는 “힌남노로 인한 공급 차질로 이탈한 일부 고객사는 아직도 돌아오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한때 세계 철강업을 주도했던 영국의 B스틸도 1970년대 후반 노사 갈등을 반복하며 103일 초장기 파업에 돌입하며 사세가 기울었다. 그후 경쟁력을 상실하며 몇 번의 구조조정을 겪은 뒤 소규모 철강사로 전락한 사례가 있다.

이 밖에 최근 원·하청 상생을 위한 포스코의 노력이 무색해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김재열 포스코 포항제철소 협력사협회장은 “포스코 노조가 무리한 요구를 지속해 파업으로 이어진다면 가뜩이나 어려운 협력업체의 고용과 근로조건 전반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우려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