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온, 최고사업책임자(CCO) 신설… 성민석 전 한온시스템 대표 영입

  • 동아경제
  • 입력 2023년 8월 1일 15시 14분


코멘트

성민석 신임 CCO 영입… 조직개편 병행
CCO 산하 마케팅·구매·PM 등 배치
고객사 대응역량 및 신규 수주 강화 일환
올해 말 기준 89GWh(118만대) 규모 생산능력 확보

성민석 SK온 신임 최고사업책임자(CCO)
성민석 SK온 신임 최고사업책임자(CCO)
SK온은 1일 최고사업책임자(CCO, Chief Commercial Officer)직을 신설하고 성민석 전 한온시스템 대표이사를 영입했다고 밝혔다.

CCO 산하에는 마케팅과 구매, 프로젝트관리(PM, Project Management) 등 사업 부서를 배치하는 조직개편도 단행했다.

성민석 신임 CCO는 1970년생으로 자동차업계에서 30년 가까이 업무를 맡아온 전문가다. 고려대 기계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미시간(Michigan)대 경영전문대학원(MBA)을 졸업했다. 미국 현지 완성차 업체 포드에 입사해 커리어를 시작했다. 이후 한온시스템 전신인 한라비스테온공조에서 글로버 사업전략 담당 임원을 지냈고 한온시스템 상품그룹 전략 및 운영총괄 부사장과 최고운영책임자(COO), CEO 등을 역임했다.

SK온이 CCO직을 신설한 것은 비즈니스 파트너인 완성차 제조사에 대한 대응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이를 위해 필요한 각종 프로세스와 문화, 시스템 및 조직 등을 구축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성 CCO는 포드 재직 경험뿐 아니라 여러 글로벌 완성차 제조사에 제품을 납품하는 한온시스템에서 CEO직을 수행한 만큼 CCO직책에 최적임자라고 SK온 측은 평가했다.

SK온은 글로벌 배터리 업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기업 중 하나다. 지난 2019년 9위였던 시장 점유율 순위는 현재 5위로 수직 상승했다. 사업이 확대되면서 생산 거점도 미국과 헝가리, 중국 등으로 뻗어나가 총 8개 공장을 가동 중이다. 여기에 6개 공장을 더 짓고 있거나 지을 예정이다.

업계에서는 성장세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신규 공장 배터리 수율 안정화와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따른 세액공제 등은 실적 성장을 극대화할 전망이다.

올해 말 기준 SK온 배터리 생산능력은 약 89기가와트시(GWh)로 추산하고 있다. 1회 충전으로 약 400~500km 주행이 가능한 장거리 전기차 약 118만대에 배터리를 공급할 수 있는 규모다. 지난 2017년 1.7GWh 규모에서 6년 만에 52배가량 생산능력이 확대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생산능력은 앞으로 더욱 확대될 예정이다. 오는 2025년 280GWh(전기차 약 372만대 규모)를 달성하고 2050년에는 500GWh(약 665만대)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생산능력 확대와 함께 실적도 크게 상승했다. 2019년 약 6900억 원 수준이었던 매출은 4년 만인 올해 20배 이상 불어난 15조 원에 달할 것으로 SK온 측은 예상하고 있다. 영업이익 실적의 경우 여전히 적자가 이어지고 있지만 올해 2분기 EBITDA는 역대 최대 실적(725억 원)을 거두면서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EBITDA는 법인세와 이자, 감가상각비 차감 전 이익을 보여주는 지표로 기업이 실제 영업활동에서 벌어들이는 현금 창출 능력을 보여주는 지표다. 일반적으로 신생 업체는 이 지표가 흑자로 돌아서고 영업이익 실적이 본격화 되는 경향을 보인다. 올해 SK온 연간 영업이익 실적에 긍정적인 평가가 나오는 이유이기도 하다.

SK온 관계자는 “조직개편과 인재 영입을 통해 기존 고객사 대응역량을 강화하고 신규 수주 관련 경쟁력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동아닷컴 김민범 기자 mbkim@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