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늘어난 취업자 절반이 60세이상…고령화로 해마다 증가

  • 뉴스1
  • 입력 2023년 1월 12일 09시 01분


코멘트
21일 오후 경기 수원시 팔달구 화성행궁에서 열린 ‘2022년 노인 일자리 채용 한마당’에서 어르신들이 구직활동을 하고 있다. 2022.6.21/뉴스1
21일 오후 경기 수원시 팔달구 화성행궁에서 열린 ‘2022년 노인 일자리 채용 한마당’에서 어르신들이 구직활동을 하고 있다. 2022.6.21/뉴스1
지난해 취업자 수가 81만명 넘게 늘며 22년 만에 최대 증가 폭을 기록했지만, 그중 절반 이상은 60세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 취업자 수는 고령사회 진입 이전인 2015년부터 매해 두드러지게 늘고 있는데, 향후 정년 연장에 대한 사회적 논의도 활발해질 것으로 보인다.

12일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취업자 수는 2808만9000명으로 1년 전보다 81만6000명 증가했다. 이는 2000년(88만2000명) 이후 22년 만에 최대 증가 폭이다.

하지만 그중 절반 이상은 사회에 첫발을 디디는 10~30대나 경제 허리인 40대가 아니라 정년을 넘긴 60세 이상이 차지했다.

지난해 60세 이상 취업자 수 증가 폭은 45만2000명이었는데, 전체 증가분의 약 55%였다. 반면 40대는 전년보다 3000명 증가하는 데 그쳤고, 20대는 11만2000명, 30대는 4만6000명 증가했다.

전체 취업자 증가 폭 중 60세 이상 비율은 우리 사회가 고령사회에 진입하기 2년 전인 2015년부터 꾸준히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2015년 전년 대비 증가한 취업자 28만1000명 중 약 63%인 17만8000명이 60세 이상이었고, 2017년은 31만6000명 중 24만2000명(77%)이었다.

코로나 여파 등으로 15세~50대까지 전 연령에서 취업자 수가 감소한 2020년에도 60세 이상 취업자는 유일하게 37만5000명 증가했다. 2021년에도 정부 단기 일자리 사업에 힘입어 총 36만9000명 증가분 중 60세 이상이 33만명을 차지했다.

이같은 추세는 저출산·고령화로 노인 인구 비중이 커지고 있지만, 이들 대부분은 정규직 등 계속 고용직이 아닌 정부 직접 일자리 위주의 단기 일자리에 취업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정규직 취업이 힘든 60대 이상 신규 취업자는 대부분 단기 일자리 취업자로 봐야 한다”며 “정부 지원 일자리가 크게 늘어 60대 이상 취업자 수가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주 36시간 미만 취업자 수도 60세 이상 취업자 수 증가와 궤를 같이하며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36시간 미만 취업자 수는 802만8000명으로 2021년보다 132만2000명(19.7%) 증가했다. 2019년에 전년보다 19만2000명, 2020년과 2021년 각각 55만4000명, 75만명 는 데 이어 가파른 증가 폭을 기록한 것이다.

오는 2025년 우리나라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의 20% 이상을 넘는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둔 가운데 정년 연장과 계속고용 등에 대한 사회적 논의도 활발해질 전망이다. 고령층의 안정적 일자리 확보와 더불어 생산가능인구 감소에 대한 대책이 사회적 화두가 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고용노동부는 지난 9일 올해 주요 업무 추진 계획을 발표하면서 고령자의 안정적인 일자리 지속을 위한 계속고용 법제화를 위한 사회적 논의를 상반기 중 착수한다고 밝혔다.

계속고용 제도는 기업이 정년이 된 직원을 퇴직시키지 않거나 정년퇴직한 사람을 일정 기간 안에 다시 고용하는 제도를 일컫는다.

강 교수는 “수명이 길어진 만큼 고령층도 소득을 유지해야 하지만 정부의 사회복지 자금은 아직 충분하지 않다”며 “정년 연장도 앞으로 우리나라가 고려해야 할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