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금리 역전폭 22년래 최대…한은 기준금리 또 올리나

  • 뉴시스
  • 입력 2022년 12월 15일 07시 58분


코멘트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14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인상하는 빅스텝을 단행하면서 한·미 금리 차이가 20여 년 만에 가장 큰 수준인 1.25%포인트로 확대됐다.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이 “인플레이션이 하락 추세에 있다는 확신이 들 때 까지 금리 인하는 없다”고 말하면서 내년에도 금리인상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내년 기준금리 결정을 놓고 한국은행의 고심이 커지고 있다. 한미 금리 역전폭을 줄이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금리인상이 필요하지만, 아직 단기자금 시장 경색의 우려가 완전히 해소되지 않았고, 부동산 등 경기 침체 우려도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15일 금융시장 등에 따르면 미 연준은 13~14일(현지시간)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종전 3.75~4.0%%에서 4.25~4.5%로 0.5%포인트 인상했다. 또 연준위원들의 향후 금리 전망을 보여주는 ‘점도표’에서 내년 연말 기준금리를 5.1%로 예상했다. 19명 중 17명이 내년 금리를 5% 이상으로 답변했다. 앞서 9월 제시한 4.6%보다 0.5%포인트 끌어올린 것으로 내년에도 금리인상 기조를 이어갈 것임을 시사한 것이다.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은 이날 FOMC 정례회의 직후 “인플레이션이 지속적으로 하락 추세에 있다는 확신이 들 때까지 금리 인하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미 연준의 내년 정책금리 전망이 상향 조정되면서 한국은행의 고심도 커지고 있다.

당초 시장에서는 한은이 내년 1분기 기준금리를 현재 3.25%에서 3.5%로 한 차례 더 0.25%포인트 올린 후 기준금리 인상을 중단할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었다. 하지만 내년에도 미 연준이 기준금리를 5.0%로 올리는 등 인상을 지속할 경우 미국과의 금리 격차가 더 벌어질 수 있다.

한은 금통위원들 상당수는 내년 최종 기준금리에 대해 3.5% 내외가 적정하다고 보고 있다. 실제 이창용 한은 총재를 제외한 금통위원 6명 중 3명이 최종금리 수준이 3.5%가 적정하다는 의견을 냈고, 2명은 3.75%, 나머지 1명은 3.25%로 제시했다.

문제는 한미 금리 격차 확대다.미 기준금리가 상단 기준 4.5%가 되면서 한국 기준금리(3.25%) 와의 격차가 1.25%포인트로 확대됐다. 이는 2000년 10월 5일 1.25%포인트(미국 6.5%, 한국 5.25%) 이후 22년 2개월래 최대폭으로 벌어진 것이다.

미 연준이 내년에도 금리인상 기조를 이어가 5.0%까지 인상하고, 한국이 금리를 한 차례 인상에 그칠 경우 한·미간 금리 격차는 1.5%포인트까지 벌어질 수 있다. 이는 과거 최대 역전폭과 같은 수준이다.

미국 금리가 한국보다 높아질 경우 원화 가치가 하락하고 자산가치 하락을 우려한 외국인들이 국내 금융시장에서 대거 빠져나갈 가능성이 커진다. 또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수입 물가가 크게 오를 경우 가뜩이나 높은 국내 물가를 더 끌어올릴 수 있다. 한은은 내년 초까지 5%대의 높은 물가 상승세가 지속할 것으로 내다 보고 있다.

미 연준의 최종금리가 당초 전망보다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외환시장 불안, 외국인 투자자금 유출 우려로 우리나라의 기준금리가 당초 예상했던 3.5%보다 더 높아질 수 있다는 예측이 나온다.

반면 한미 금리 역전폭이 확대될 것이란 전망에도 한은이 한 차례만 더 인상하고 추가 인상을 단행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기업 단기자금 조달시장의 척도인 기업어음(CP) 금리가 12일 5.54%에서 5.53%로 20개월 만에 반락하면서 단기자금 시장의 유동성 경색이 완화된다는 신호가 포착되고 있다. 하지만 중소형 증권사 기업어음 금리가 여전히 7%대에 거래되고 있는 등 여전히 단기자금 시장의 우려가 높기 때문이다. 한은이 추가 금리인상을 결정할 때 고려할 가능성이 높다. 여기에 부동산 시장, 수출 약화 등 경기침체 우려도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한 지난달 금통위에서도 금통위원 대부분이 속도조절 필요성을 언급하는 등 가파른 금리 인상 가능성이 낮아지고 있다. 최근 공개된 11월 금통위 의사록에 따르면 금통위원 6명 중 3명은 속도조절 필요성을 언급했고, 1명은 금리동결을, 나머지 2명은 기준금리 인상 기조를 이어가야 한다고 언급했다.

속도조절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인 한 금통위원은 국내 금융안정 이슈로 인하여 긴축 여력이 소진되면 다양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며 ”향후에는 그간의 통화정책 파급효과를 점검하는 가운데 대내외 불확실성 요인들의 전개 양상 등을 살펴보면서 신중히 긴축 속도를 결정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반면 매파적(통화긴축 선호) 의견을 낸 한 금통위원은 ”향후 물가경로에 많은 불확실성이 있고 미 연준 금리인상 속도에 따라 외환시장 불안이 재개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려운 상황이므로 당분간 금리 인상 기조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번 회의에서 가장 큰 관심 사항이었던 점도표상의 내년 정책금리가 5.1%로 상향 조정 됐는데 미 연준이 내년 두 차례 정도 0.25%포인트씩 금리를 인상해 5.0%에서 금리인상을 중단할 것으로 보인다“며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부동산 경기 등 국내 경기 둔화 등을 고려해 내년 1월 금리를 한 차례 더 올리고 금리인상을 마무리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