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년간 세계인에게 사랑받은 ‘빼빼로’, 다가오는 빼빼로 데이엔 모두의 만남을 응원해

  • 동아일보
  • 입력 2022년 10월 26일 03시 00분


코멘트

[Food&Dining]

올해로 출시 39년째를 맞이한 롯데제과 빼빼로. 올해의 슬로건은 ‘모두의 만남을 응원해’로 정했다. 이는 지난 3년간 코로나19로 인해 만남이 어려웠던 점을 고려한 구호이다.

가늘고 길쭉한 모양의 빼빼로는 과자시장 최대 매출을 기록하는 공전의 히트작이다. 빼빼로가 출시된 1983년부터 2021년 12월까지 거둔 실적만 해도 약 1조80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한다. 이 금액을 대표 제품인 ‘초코빼빼로’로 환산하면 약 34억 갑에 달하는데, 이는 우리나라 전 국민이 약 66갑씩 먹을 수 있는 양이다.

빼빼로는 출시 당시부터 독창적인 모양으로 인기를 모았다. 여기에 1995년 이후 빼빼로데이가 발생, 확산하면서 판매량이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빼빼로의 판매량을 빼빼로데이 발생 전후로 구분하면 빼빼로가 출시된 1983년부터 1995년까지 누적 판매량은 약 1630억 원이다. 그리고 1996년부터 2021년까지 25년간 거둔 매출이 약 1조6000억 원 이상이 된다. 빼빼로데이가 빼빼로 판매에 미치는 영향을 가늠해 볼 수 있다.

빼빼로데이에 대한 관심은 글로벌 시장에서도 이어졌다. 이미 2010년 미국의 초등학교 참고서(READING FOR THE GIFTED STUDENT)에 소개될 정도였다. 2012년에는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학생들이 빼빼로데이 행사를 캠퍼스에서 펼쳤고, 같은 해 영국의 대형 유통업체인 테스코사는 빼빼로를 자사의 정식 브랜드로 등록하기도 했다.

최근엔 중국에도 빼빼로데이가 확산되고 있다. 지난해 롯데제과는 중국에서 빼빼로데이에 대한 인지도가 오르자 인기 그룹 엑소-K의 사진을 빼빼로 패키지에 인쇄하여 빼빼로데이 기념 제품으로 판매했다. 올해는 카자흐스탄에도 빼빼로데이에 대한 관심이 늘어 이 지역에 텔레비전 광고도 방영하고 있다. 이러한 글로벌 인기에 힘입어 수출액이 2013년 2000만 달러, 2014년 3000만 달러, 그리고 2015년 4000만 달러, 2021년엔 약 5000만 달러에 달하는 등 매년 성장하고 있다.

한편 빼빼로에 대한 소비자들의 사랑에 보답하는 차원에 롯데제과는 빼빼로 판매 수익금으로 다양한 사회공헌활동을 펼쳐 나가고 있다. 대표적인 활동이 10년째 이어오고 있는 롯데제과 스위트홈 건립 사업이다. ‘스위트홈’은 놀이공간과 학습공간이 부족한 농어촌 지역의 아이들이 방과 후에도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지낼 수 있도록 아동센터를 건립해주는 사회공헌 프로젝트다.

또 아이들의 놀 권리를 보장하자는 취지로 ‘스위트스쿨’ 프로젝트를 기획해 운영하고 있다. 이 사업은 초등학교 내 놀이공간을 새롭게 구축하여 놀이문화 활성화를 돕는다.

김신아 기자 sina@donga.com
#food&dining#롯데제과#빼빼로#모두의 만남을 응원해#빼빼로 데이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