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는 것보다 구부리는 게 한수 위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4월 1일 03시 00분


코멘트

스마트폰 빛내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삼성디스플레이가 개발한 자유롭게 휘어지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삼성디스플레이 제공
삼성디스플레이가 개발한 자유롭게 휘어지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삼성디스플레이 제공
최근 국내외 전자업계에서 가장 관심을 끌고 있는 이슈 중 하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란 기존 유리 기판이 아닌 얇은 필름 재질의 폴리이미드 기판 위에 트랜지스터 등 회로를 올린 디스플레이를 말한다. 유리가 아니기 때문에 자유롭게 구부러지는 데다 얇고 가볍다. 깨질 위험도 없다. 유리와 달리 원형이나 타원형 등 다양한 모양으로 잘라내기도 쉽기 때문에 디자인의 제약도 상대적으로 적다.

○ 평면에서 커브드로

2012년부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로드맵’에 따라 플랫(Flat)→커브드(Curved)→벤디드(Bended)→폴더블(Foldable)→롤러블(Rollable) 단계로 개발해 온 삼성디스플레이 개발팀을 만나 자세한 얘기를 들어봤다.

삼성디스플레이의 첫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제품은 삼성미술관 리움에 설치된 디지털 가이드용 단말기다. 2012년만 해도 걸음마 단계 기술이어서 평면형으로 시범 제작했다. 그렇게 ‘감’을 잡은 뒤 2013년 10월에는 이른바 ‘기왓장 폰’이라고 불렸던 갤럭시 라운드에 휘어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처음 적용했다. 과도기 단계 제품이어서 시장에서 호응을 얻지는 못했지만 플랫 형태에서 커브드로 한 단계 발전하는 계기였다.

2014년에는 웨어러블용 커브드 디스플레이에 도전했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크기가 작아질수록 그 안에 회로를 넣는 작업은 더 어려워진다. 최길재 삼성디스플레이 수석연구원은 “‘기어핏’과 ‘기어S’의 디스플레이를 손목 굴곡대로 휘게 하는 과정은 스마트폰과는 또 다른 차원의 작업이었다”고 말했다. 갤럭시 라운드가 디스플레이가 안쪽으로 휘어진 인폴딩(infolding) 제품이었다면 두 웨어러블은 바깥쪽으로 구부러진 첫 아웃폴딩(outfolding) 제품이었다.

○ 커브드에서 롤러블로

휘어진 커브드보다 한 단계 더 발전한 기술이 구부러진 형태인 벤디드다. 안형철 삼성디스플레이 책임연구원은 “패널이 전체적으로 휘어진 것보다 한쪽만 구부리는 게 기술적으로 더 어렵다”며 “첫 제품이 오른쪽만 구부린 갤럭시노트 엣지였고, 그 경험을 기반으로 지난해 양쪽 면을 모두 구부린 ‘듀얼엣지’를 채용한 갤럭시S6 엣지를 내놨다”고 했다.

최근 나온 갤럭시S7 엣지는 듀얼엣지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제품 좌우는 물론 위아래에도 굴곡을 입힌 ‘쿼드엣지’ 디자인이다. 그래서 손에 쥐었을 때 전체적으로 둥근 조약돌 느낌이 나면서 그립감이 개선됐다. 일종의 구(球) 형태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씌우는 작업이어서 처음엔 기포가 계속 생기는 등 쉽지는 않았다. 최 연구원은 “공정 조건과 순서를 다 뜯어고쳐 성공했다”고 말했다.

삼성전자에 이어 애플도 차기작 아이폰에 플렉시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채택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디스플레이 업체들은 앞다퉈 플렉시블 OLED 라인 증설을 계획하고 있다. LG디스플레이는 지난해 말 대형 및 플렉시블 OLED 등을 생산하는 경기 파주시 P10 공장에 10조 원 이상을 투자한다고 발표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시장이 활성화됨에 따라 자유롭게 접었다 펼 수 있는 폴더블 디스플레이도 조만간 만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태블릿PC 크기인 디스플레이를 세 번 접는 방식과 세로로 긴 디스플레이를 폴더폰처럼 접었다 폈다 하는 방식 등이 거론된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최종적으로 지향하는 기술은 두루마리처럼 말 수 있는 롤러블. 이 기술이 상용화되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을 볼펜 하나 크기로 돌돌 말아 주머니 속에 넣고 다닐 수 있다.

아산=김지현 기자 jhk85@donga.com
#스마트폰#플렉시블#디스플레이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