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ey&Life]중용의 美, 투자도…‘중위험+중수익’ 상품이 뜬다

  • Array
  • 입력 2012년 10월 25일 03시 00분


코멘트

은행은 저금리, 부동산은 위험…


저금리 기조가 장기화되며 투자자들이 더 높은 수익률을 올릴 수 있는 상품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은행예금에 돈을 넣자니 금리가 너무 낮고, 부동산과 증시에 투자하자니 수익률이 마땅치 않다. 약간의 위험을 감수하면서도 높은 수익을 좇는 투자자가 많아지며 ‘중(中)위험, 중(中)수익’ 상품의 인기도 덩달아 높아지고 있다.

○ 경기 불안에 중위험 중수익 상품 인기


유럽과 미국, 일본 등 선진국들이 앞다퉈 양적완화 정책을 내놓고 있다. 이에 따라 지난달 유럽중앙은행(ECB)이 무제한 국채 매입 프로그램을 가동하며 유럽재정위기 리스크가 완화됐고 미국 공급관리자협회(ISM) 제조업지수, 주택지수 등 경제지표가 개선됐다.

하지만 금융투자 전문가들은 “아직 불확실성이 확실히 가시지 않았다”며 신중한 입장을 버리지 않고 있다. 11월로 예정된 미국 대선 이후 불거질 재정절벽(정부가 재정지출을 줄여 경기가 침체되는 현상)에 대한 우려와 유럽은행동맹을 둘러싼 갈등이 주요 리스크로 꼽혔다. 이달 초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하며 은행이 속속 정기예금 인하를 추진하는 것도 투자자에겐 악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우려됐다.

따라서 중간 정도의 수익과 위험을 타깃으로 하는 게 좋다는 게 전문가들의 주문이다. 이정민 동양증권 금융상품전략팀장은 “현재 물가상승률을 반영한 세후 실질금리가 마이너스 수준에 머물러 있다”며 “예금금리 이상의 중수익을 추구하며 수익률에 대한 변동성을 낮추는 중위험 중수익 상품에 투자할 적기”라고 말했다.

○ 중위험 중수익 투자란

중위험 중수익 투자는 위험을 관리할 수 있는 선에서 최대한의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 방식이다. 임광택 KB자산운용 해외운용본부장은 “대부분의 투자자는 중위험 중수익 투자를 하고 있다고 봐야 한다”며 “현금의 일부를 정기예금에 가입하고 나머지를 주식에 투자하고 있다면 중위험 중수익 투자를 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가장 보편적인 중위험 중수익 투자는 금융자산을 채권과 주식에 나눠 담는 것이다. 채권은 상대적으로 위험이 낮지만 수익률도 높지 않은 편이다. 반면 주식은 높은 위험과 높은 수익을 동시에 좇는다. 임 본부장은 “연 6∼10%의 수익을 올리고 위험을 관리할 수 있다면 중위험 중수익 투자로 부를 만하다”며 “채권에 60∼70%를 투자하고 나머지를 주식에 투자하면 비슷한 수준의 수익을 올릴 수 있다”고 말했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연 6∼10%의 수익을 올릴 수 있는 해외채권형펀드, 주가연계증권(ELS), 주가연계펀드(ETF) 등을 대표적인 중위험 중수익 상품으로 꼽는다. 이들은 주식보다 변동성을 낮추고 채권보다 수익률을 높여 투자자의 관심을 모으는 상품이다.

○ 이것만은 주의해야


전문가들은 투자할 상품에 대해 충분하게 이해하고 있어야 위험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투자자는 항상 상품의 기대수익률에 먼저 눈을 돌리므로 위험도를 간과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김현수 우리투자증권 100세 시대 자산관리컨설팅부 차장은 “무엇에 투자하는지, 투자 대상의 특징이 무엇인지, 상품의 구조가 어떠한지 확인한 후 투자해야 손실을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투자 전 미리 목표수익률을 정해두는 것도 중요하다. 시장수익률 이상의 수익을 얻는 게 투자의 목적인지, 혹은 그저 자산 분배의 수단으로 중위험 중수익 투자를 하는지 투자자 스스로 명확히 해야 한다. 목표가 정확하면 투자기간과 투자비중 등을 비교적 쉽고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상품의 위험요인도 미리 점검해야 한다. 중위험 중수익 상품은 뜻하지 않게 큰 자금을 잃을 가능성이 항상 존재한다. 세계 경기 등 다양한 외부환경이 상품의 수익률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감안해 투자를 결정하는 게 유리하다.

투자 비중을 사전에 확정한 채 투자하는 것도 잊어선 안 된다. 김 차장은 “금융상품에 얼마를 투자해야 좋을지 따로 정해진 답은 없다”며 “자신에게 적절한 위험과 수익 기준을 세우고 이에 맞는 투자비중을 투자 전에 정해 놓아야 원칙에 맞게 자산을 관리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송충현 기자 balgun@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