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식품위생…美 “경고문 표시 안했다” 전량 리콜

  • 입력 2008년 3월 22일 03시 00분


1월 일본 미야기 현의 냉동식품 판매회사가 문제가 된 중국산 ‘농약만두’를 회수해 보관하는 모습. 실수로 유통되는 일이 없도록 철망안에 넣어 자물쇠를 채우고 있다. 사진 제공 아사히신문
1월 일본 미야기 현의 냉동식품 판매회사가 문제가 된 중국산 ‘농약만두’를 회수해 보관하는 모습. 실수로 유통되는 일이 없도록 철망안에 넣어 자물쇠를 채우고 있다. 사진 제공 아사히신문
■ 해외에선

美 “경고문 표시 안했다” 전량 리콜

日 “제조일자 위조 책임” 회장 사임

“식품안전 위협엔 가차없어”

中, 부패한 관리 사형 집행

식재료 유통이 세계화된 오늘날 어느 나라도 식품위생의 안전지대일 수 없다. 식품 안전의 위협 요인에 대한 대처 방안은 나라별로 다양하지만 선진화된 사회일수록 사후 처벌보다 위험 요인의 사전 제거 조치가 강조되는 점은 공통이다.

▽미국 “식품도 리콜 천국”=미 식품의약국(FDA)은 19일 제빵회사인 ‘푸드 포 라이프’의 자발적인 리콜을 발표했다. 빵에 들어간 밀이 특정인에겐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는데도 경고문을 표시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이처럼 미국에선 회사가 문제가 발생하기도 전에 리콜을 실시하는 일이 잦다. 쉬쉬하다가 문제가 커지면 천문학적인 규모의 소송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미국에서도 식품안전 사고가 끊이지 않지만 문제가 발생하면 관련 회사는 물론 사회 전체가 적극적으로 대응해 피해를 최소화한다.

2006년 패스트푸드인 타코벨 매장에선 50여 명이 식중독에 걸린 사고가 발생했다. 타코벨의 ‘위기관리팀’이 즉각 가동됐다. 샐러드에 들어간 파에서 ‘대장균 양성 추정’이라는 잠정 결과가 나오자 미국 전역의 5800여 개 점포에서 파의 사용을 전면 중단했다. 식중독 환자가 발생한 8개 점포는 아예 임시 휴업조치를 내렸다.

지난해 땅콩버터에서 살모넬라균이 발견돼 대규모 리콜을 실시했던 식품회사 콘아그르푸드는 이후 오염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 3000만 달러(약 300억 원)를 투자해 작업공정을 개선했다.

▽일본 “날짜만 어겨도 엄중 처벌”=청결의 대명사처럼 인식되고 있는 일본도 식품안전은 때로 전국적인 이슈가 된다. 지난해 10월에는 미에(三重) 현 이세(伊勢) 시에 위치한 300년 전통의 아카후쿠(赤福)가 모치 제조일자를 위조한 사건이 발생해 큰 파문을 빚었다.

아카후쿠 측은 10월 18일 사실을 인정하고 사과회견을 한 뒤 회장이 퇴진했다. 미에 현 측은 10월 10일 무기한 영업정지 처분을 내렸다가 아카후쿠가 개선명령을 모두 이행한 것을 확인하고 1월 30일 영업금지 조치를 해제했다.

지난해 8월에는 홋카이도(北海道)에 있는 이시야제과가 ‘시로이고이비토(하얀 연인이라는 뜻)’라는 선물용 과자의 유통기한을 최장 2개월간 연장해 표시한 사실이 밝혀져 사장이 사임했다.

식품안전에 대한 일본인들의 불안감이 커지자 후쿠다 야스오(福田康夫) 일본 총리는 2월 12일 ‘소비자행정추진회의’를 열고 각 관청에 분산돼 있는 소비자 관련 행정기능을 하나로 통합해 소비자청을 신설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중국 “수뢰 관리 사형 불사”=식품 안전의 낙후지대처럼 여겨져 온 중국도 식품안전 위반 사범에 대해서는 가차 없이 처벌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 7월 오염된 의약품 판매를 눈감아 준 대가로 뇌물을 받은 정샤오위(鄭篠萸) 전 국가식품약품관리국장(차관급)의 사형을 집행했다.

중국은 작년 10월에는 오염된 식품 및 의약품과 농산물의 생산·판매 현장에 대한 대대적인 단속을 벌여 774명을 체포했다. 중국 정부는 혐의가 확인된 판매·생산업자들에 대해서는 사업 인허가를 취소하고 형사처벌하는 등 강력하게 대응하고 있다.

뉴욕=공종식 특파원 kong@donga.com

도쿄=천광암 특파원 iam@donga.com

이상록 기자 myzodan@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