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딜 2년- 과잉투자 해소와 전문화 기여

  • 입력 2000년 9월 3일 18시 23분


대기업간 대규모 사업교환, 이른바 ‘빅딜’이 3일로 2주년을 맞았다.

2년 전 이날 전국경제인연합회와 5대 재벌은 7대 업종에 대한 자율적인 구조조정을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98년 초 새정부 출범 이전부터 물밑에서 빅딜 논의가 있었으나 이날 발표로 빅딜은 수면 위로 부상해 급류를 타기 시작했다.

재계가 선정한 7개 업종 중 석유화학을 제외한 6개 업종은 일단 빅딜 작업이 완료됐거나 마무리 단계를 밟고 있다.

발전설비와 반도체, 정유 등은 기업간 사업 이관작업이 끝났다. 철도차량과 항공, 선박용 엔진은 통합법인이 설립돼 단일 회사로 새출발했다.

그러나 석유화학 부문은 현대와 삼성의 통합법인 설립이 무산되고 외자 유치에도 어려움을 겪으면서 아직 ‘미제(未題)’로 남아 있다.

산업자원부는 3일 내놓은 ‘빅딜 추진 2주년의 성과’를 통해 빅딜 작업이 ‘성공작’이라고 결론내렸다. “우리 경제의 고질적 병폐였던 업종별 과잉 중복 투자를 해소하고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전문화의 기반을 닦게 됐다”는 자체 평가다.

수치상으로만 본다면 산자부의 자평은 설득력이 있다.

2년간의 구조조정 과정에서 중복 자산 매각 등으로 7개업종의 총자산이 15.1%(3조2000억원) 줄어들었다.

또 외자유치 등을 통해 총 부채의 25.8%인 7조9000억원의 부채가 줄었고 부채 비율도 석유화학 부문을 제외한 6개 업종에서 평균 594%에서 193%로 크게 낮아졌다. 과잉중복 인력도 2610명을 내보냈다.

산자부는 “대우를 제외한 4대 그룹이 중복 투자된 12개 부문의 사업을 정리했으며 향후 5년간 반도체 부문 등에서 34억달러의 매출 증대와 11억달러의 비용 절감 효과가 기대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아직 ‘최종 성적표’를 매기기엔 이르다는 반론도 만만찮다. 경영부실 개선 효과가 기대에 못 미치기도 하고 인위적인 통합으로 종업원간 갈등이 빚어지는 등 ‘빅딜 후유증’도 상당하다.

철도차량과 선박용 엔진 등 중공업 부문의 통합 법인은 경영권 갈등과 외자 유치 등 자금 조달 문제 등을 풀어야 한다.

반도체는 현대전자와 구‘LG반도체’ 인력간의 융화 문제가 시급한 과제다. 항공법인은 미 보잉사 등과 지분 참여 협상을 계속 진행하고 있다. 현대와 삼성의 대산단지 통합작업이 무산된 석유화학 부문은 2년간 빅딜로 ‘허송세월’만 한 셈이 됐다.

<이명재기자>mjlee@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