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설수설/문권모]맹자와 현대과학

  • 동아일보
  • 입력 2013년 12월 16일 03시 00분


코멘트
최근 ‘무항산 무항심(無恒産 無恒心·생활이 안정되지 않으면 제대로 된 마음가짐을 가질 수 없다)’이란 말이 화제가 됐다. 국회를 방문한 김종필 전 총리가 “배가 고픈데 무슨 민주주의가 있느냐”며 언급한 것이 계기였다. 무항산 무항심은 맹자(孟子) 양혜왕(梁惠王)편에 나온다. 맹자는 제나라 선왕(宣王)이 정치에 대해 묻자 백성들이 등 따뜻하고 배부르게 지내면 절로 선하게 된다고 했다.

▷흥미롭게도 ‘무항산 무항심’은 현대과학으로도 증명됐다. 미국과 영국의 과학자들은 ‘경제적 궁핍은 사고능력을 낮춘다’는 연구 결과를 8월 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인도 농민들을 대상으로 실험해 봤더니 사탕수수 수확 직전(궁핍)과 직후(풍요)의 지능지수(IQ)는 최대 13포인트까지 차이가 났다. 경제적 스트레스는 계산능력은 물론이고 정상적인 사고까지 저해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런 연구 결과는 인간 두뇌의 작동 원리를 살펴보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인간의 두뇌는 기본적으로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CPU)와 비슷하다. 여러 가지 업무를 함께 처리하는 멀티태스킹이 가능하지만, 처리하는 가짓수나 작업량이 많아질수록 연산 속도가 늦어진다. 가난에 따른 압박감은 두뇌 회전 속도를 늦추고 시야까지 좁아지게 만든다.

▷하지만 ‘무항산 무항심’의 논리는 간혹 논리적 모순에 부딪힌다. 특히 연말을 앞둔 요즘 같은 때에 말이다. 돈 많은 사람은 기부와 나눔에 인색한데 오히려 서민들이 남을 위해 쌈짓돈을 터는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이다. 이런 모순을 설명하는 맹자의 또 다른 화두가 바로 측은지심(惻隱之心)이다. 남을 가엾이 여기는 착한 마음이다. 이런 심성은 타고난다. 역시 뇌과학으로 증명이 가능한데, 우리의 뇌 속에는 타인의 경험이나 상황을 자기 것처럼 공감하게 하는 ‘거울뉴런(mirror neuron)’이란 게 선천적으로 존재한다. 그래서 결론은 이렇다. 어려운 이웃을 보고 측은지심을 느껴야 인간이다. 항산이 없어도 남을 돕는 사람이야말로 진정한 군자(君子)다.

문권모 소비자경제부 차장 mikemoon@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