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문’ 노영민·강기정 배치 ‘친정 체제’ 구축…국정 장악력 강화 시도

  • 뉴시스
  • 입력 2019년 1월 8일 16시 02분


코멘트
문재인 대통령이 8일 청와대 2기 참모진 인사에서 ‘친문’ 성향 인사를 전진배치하며 이른바 ‘친정 체제’를 구축했다. 임기 중·후반으로 접어드는 집권 3년차를 맞아 국정운영에 안정을 모색하겠다는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문 대통령은 신임 비서실장에 노영민(62) 주중국대사를, 신임 정무수석에 강기정(55)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신임 국민소통수석에 윤도한(58) 전 MBC 논설위원을 각각 임명하는 수석 비서관급 이상 주요 참모진 개편 인사를 단행했다.

비서실장과 정무수석 등 정무라인을 ‘친문’ 인사들로 교체한 것이 이번 인사의 가장 큰 특징이다. 국정 성과를 기치로 내 건 상황에서 자신의 의중을 가장 잘 읽는 최측근 인사를 기용, 성과 창출에 고삐를 당기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정책의 수립 단계를 지나 집행 단계에선 의사결정 구조를 줄이면서 신속하게 추진하는 것이 중요한데, 측근들을 통해 이러한 구상을 실현하겠다는 것이다.

문 대통령은 이날 국무회의에서도 “각 부처 장관들은 자신과 부처의 이름을 내건 브랜드 정책을 책임 있게 추진해서 국민들께 성과로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며 체감할 수 있는 정책성과를 주문했다.

노 실장은 2012년 대선 당시 문재인 후보 비서실장을 맡았던 ‘원조 친문’ 인사다. 2017년 대선 때 조직본부장으로 대선 승리에 결정적인 기여를 한 ‘개국 공신’이다. 문 대통령이 과거 공개석상에서 주요 정치 현안을 상의한다고 밝힐 정도로 둘 사이에는 막힘이 없다.

대통령 당선 직후에는 탕평 인사 취지에 따라 거리를 둘 수밖에 없었지만, 각종 정책의 성과를 내야하는 중요한 시점에서 외부의 눈을 의식하기보다는 현실적인 선택을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링 밖에 머물러 있던 ‘정치적 멘토’를 곁에 두기로 한 것은 주요 현안에 기민하게 대응하겠다는 의도가 깔려있는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여름 소득주도 성장을 놓고 잇단 파열음을 낸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장하성 정책실장의 교체 타이밍을 놓친 사례를 통해 같은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서라도 직언을 해줄 수 있는 확실한 우군을 찾았을 수 있다는 것이다.

지난해 지방선거 압승과 사상 최초의 6·12 북미 정상회담이라는 호재가 오래 지속되지 못하고 지지율이 50%대로 내려앉은 데에는 경제 정책을 둘러싼 정부 내 갈등이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는 게 중론이다.

게다가 노 실장은 지난해 한반도 주변 4강(强)국 가운데 한 곳인 중국 대사를 지내면서 주변국의 정세를 빠르게 읽을 수 있는 능력도 겸비하게 됐다는 장점이 있다. 2차 북미 정상회담 이후 문 대통령이 끌고나갈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에 그동안 중국 내에서 다져온 노 실장의 네트워크와 경험이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도 발탁 배경으로 풀이된다.

역시 ‘친문’ 인사로 분류되는 강 수석도 과거 문 대통령과 유기적인 호흡을 자랑한 바 있다. 문 대통령이 새정치민주연합(現 민주당) 대표 시절 정책위의장을 지냈다. 2017년 대선 때 캠프 총괄수석부본부장을 맡았다.

3선의 강 수석을 기용한 것은 초선인 한병도 전임 수석체제에서 떨어진 정무수석 자리의 중량감을 채운 것으로 볼 수 있다. 두 달 전 첫 발을 뗀 여야정 상설협의체 정례화 등 원만한 대야(對野) 관계 형성을 통해 ‘협치’ 복원에 나서려는 의도도 엿보인다.

실제로 여야 5당은 지난해 11월 처음 이뤄진 여야정 상설협의체 이후로도 합의 이행을 위한 실무협의체 구성 문제로 진통을 거듭한 바 있다.

강 수석은 2015년 여당과 협조해 공무원연금 개혁안을 처리하는 등 탁월한 협상력을 인정받았다. 강성 이미지와 달리 동료 의원들과 격의 없이 지내는 등 친화력을 갖춘 것도 강 수석의 장점으로 꼽힌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