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연구팀 “남자 있는 여성의 바람 피우기는 일종의 ‘보험’”

  • 동아닷컴
  • 입력 2016년 8월 25일 13시 30분


코멘트
여성은 유전적으로 현재의 관계가 실패했을 때를 대비해 미리 다른 파트너를 찾으려는 경향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현재 관계에 대한 ‘보험’으로써 바람을 피우게 된다는 것이다.

최근 영국 인디펜던트, 더 선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 텍사스대 연구팀은 과거의 연구 결과들을 분석해 이 같은 결론을 내고 ‘파트너 전환 가설(mate switching hypothesis)’을 주장했다. 일부일처제, 이별이나 이혼 등 누군가와 헤어지는 것은 ‘실패’를 의미한다는 기존의 제도나 관념에 반하는 주장이다.

연구팀의 선임 연구원이자 진화심리학자인 데이빗 부스 교수에 따르면 이 가설로 여성이 바람을 피우는 이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그는 “여성은 현재의 파트너가 바람을 피우거나 질병을 앓거나 죽었을 때, 혹은 파트너로서 가치를 잃게 됐을 때를 대비해 ‘백업 파트너(back-up mate)’를 두려 하는 유전적 경향이 있다”고 주장했다.

부스 교수는 “고대 백업 파트너가 없었던 여성들은 자원 부족에 시달리거나 보호가 없는 환경에 노출될 확률이 높았다”고 말했다. “바람을 피우는 행동은 ‘보험’ 같은 것이다. 백업 파트너가 자신의 미래를 보장해 주는 새로운 전환점이 될 수도 있다”고도 했다.

고대 사회에서 음식 등의 자원이 없다는 것은 생사 문제와 직결돼 있었다. 때문에 더 나은 상대를 찾아 나서려는 행동은 이를 통해 보호와 자원을 획득해 미래를 보장받으려는 본능에서 비롯했다는 것이다.

또 연구팀의 설명에 따르면 여성들은 결혼 상대로서 자신과 함께 많은 시간을 보내 줄 가정적인 남성에 끌린다. 하지만 한 편으로는 많은 가임기 여성이 더 남자다운 특성을 가진 남성, 즉 자신과 아이를 만들기에 더 적합해 보이는 매력적인 남성에 끌리기도 한다. 그리고 좀더 오랫동안 관계를 지속할 수 있는 믿을 만한 파트너와 아이를 키울 수 있기를 바란다.

부스 교수는 “한평생의 일처일부제는 인류의 본질에 충실한 짝짓기 방식이 아니다”라며 “파트너와 관계를 깨고 다른 파트너를 찾는 것이 인류의 보편적인 ‘짝짓기 전략’이라고도 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같은 주장에 대해 영국 옥스퍼드대의 로빈 던바 교수는 “단순하게 규정할 수는 없다”고 했다.

그는 “인간의 행동은 태아일 때와 그 이후의 인생 경험, 주변 환경 등 다양한 요소에 영향을 받는다”며 “사람의 각자 행동 방식은 다 미묘하게 차이가 있기에 보다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예슬 동아닷컴 기자 yspark@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