섣부른 합의땐 차기정부 부담

  • 입력 2007년 8월 9일 03시 02분


코멘트
이번 남북 정상회담에서는 대규모 대북 투자가 필요한 경제협력 사업에 대한 합의가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

지난해부터 최근까지 북한과 중국 등을 방문해 북측 인사와 접촉해 정상회담을 추진해 온 열린우리당 이화영 의원은 8일 “회담에서 남측이 북측에 초기 설비투자 등을 지원키로 약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의원의 발언은 북한에 도로 항만 등의 사회간접자본(SOC) 건설을 위한 지원이나 평양 신의주 청진 등에 ‘제2의 개성공단’을 만들기 위한 투자 합의가 이뤄질 수 있다는 얘기다.

이 경우 실제 합의를 이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 수립과 자금 확보, 공사 추진의 책임은 차기 정부가 짊어질 수밖에 없다. 정상회담으로부터 대통령선거일(12월 19일)까지는 100여 일밖에 남아 있지 않기 때문에 그 중간이나 대선이 끝난 뒤에 현 정부가 큰 돈이 들어가는 대북 사업을 실행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또 남북 정상이 서해 북방한계선(NLL) 재설정이나 국가보안법 폐지 문제 등 민감한 안보 이슈에 대해 시한을 정하지 않고 ‘추진키로 한다’는 식으로 합의를 할 경우에도 차기 정부가 큰 부담을 느낄 수밖에 없다.

2000년 6월 당시 김대중(DJ)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정상회담에서 ‘남측의 연합제안과 북측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안이 공통성이 있고, 이 방향에서 통일을 지향시켜 나가기로 했다’고 합의해 논란을 불러일으킨 바 있다. 헌법 개정과 연관된 주권과 영토 문제 등이 걸려 있어 노무현 정부에 들어와서도 DJ 방북 문제가 제기될 때마다 보수와 진보 진영 간 갈등의 불씨가 됐다.

북핵 문제 해결 및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구체적인 로드맵이 만들어질 경우에도 그 실행을 위한 조치는 차기 정부의 짐이 된다. 평화협정 체결과 북핵 문제의 최종 해결 단계인 핵 폐기 및 평화협정 체결은 물리적으로 내년 상반기까지는 달성하기 어렵다는 게 외교안보 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이번 정상회담이 나중에 의미 있는 것으로 평가받으려면 노무현 대통령이 확실하게 책임질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만 합의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명건 기자 gun43@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