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컵 그후 1년]‘4강 신화’ 1년… 다시 모인 광장의 주역들

  • 입력 2003년 5월 28일 17시 42분


코멘트
서울 시청앞 광장과 광화문 네거리를 가득 메운 수많은 인파를 생각하면 지금도 목이 멘다. 오른쪽 사진은 동아일보사 앞에서 나란히 포즈를 취한 참석자들. 왼쪽부터 김정연 신문선 최영미 허진씨. 김미옥기자
서울 시청앞 광장과 광화문 네거리를 가득 메운 수많은 인파를 생각하면 지금도 목이 멘다. 오른쪽 사진은 동아일보사 앞에서 나란히 포즈를 취한 참석자들. 왼쪽부터 김정연 신문선 최영미 허진씨. 김미옥기자

한일월드컵 1주년. 지난해 6월 그 뜨거웠던 함성의 주역들이 다시 모였다. 신문선(SBS축구해설위원) 허진(전 국가대표팀 언론담당관) 최영미(작가) 김정연씨(붉은악마 지원부장)는 지난해 6월 응원석에서, 거리에서, TV 중계석에서 목놓아 ‘대∼한민국’을 외쳤던 주인공들.

월드컵과 나 ①

27일 오후 광화문 동아일보사에서 1년 만에 다시 만난 이들의 대화는 시간 가는 줄 모르게 진행됐다.


허진=지난해 월드컵 한달은 마치 롤러코스터를 탄 기분이었습니다. 내 생애에 이런 기분을 다시 느낄 수 있을까요.

김정연=안타깝게도 나는 너무 바빠 감동을 느낄 틈이 없었어요. 한국-터키의 3,4위전 때는 완전 그로기상태였으니까요.

신문선=축구는 분명히 마약입니다. 작년 6월 나는 축구 마약 중독자였던 것같아요. 신들린 듯 하루도 쉬지 않고 결승까지 중계할 수 있었던 게 그 약 기운 때문이 아닐까 싶어요. 최영미=솔직히 난 한국이 1승하면 다행이라고 봤습니다. 다른 사람도 마찬가지였을 걸요. 그런데 개막직전 프랑스와의 평가전을 보고 생각이 바뀌었어요.

월드컵과 나 ②

허=업무 때문에 히딩크가 한국 감독으로 정식 계약하기 전 먼저 만날 기회가 있었습니다. 당시 ‘이 사람은 뭔가 할 수 있겠구나’ 하는 느낌을 받았던 기억이 나네요.

신=그게 바로 ‘고집’ 아닌가요?

허=그렇겠죠. 체코 프랑스에 0-5로 잇따라 졌을 때는 ‘큰 일 났구나’ 싶더라구요. 수많은 위기에도 히딩크를 그만두게 하지 않은 게 지금도 다행이라고 생각해요.

신=히딩크에겐 분명히 그만의 ‘독특한 리더십’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의 코치능력이 이전에 한국을 거쳐간 크라마, 비쇼베츠에 비해 뛰어나다고는 생각하지 않아요.

김=응원 얘기를 해보죠. 처음엔 광화문에 사람들이 그렇게 많이 모일 줄 몰랐습니다. 붉은 악마의 힘은 대한민국의 힘이예요.

붉은악마의 힘=대한민국의 힘

신=한국과 상대하는 팀 감독들이 모두 선수들보다 응원단이 더 부담스럽다고 했잖아요. 광화문과 시청앞 광장을 꽉 메운 길거리 응원단을 볼 때마다 목이 콱 메더라구요. 누가 그러더군요. 붉은 악마는 ‘한국축구의 엄마’라고….

최=우리 민족은 스트레스와 한이 많잖아요. 한은 에너지입니다. 누가 건드리면 폭발할 수 있는 힘이고 그 힘이 응원을 통해 분출된 게 아닐까요.

월드컵 최대 수혜자는 노대통령?

허=붉은 악마를 통해 축구가 문화적 장르로 자리잡은 셈입니다. 히딩크가 신기해하더라구요. 그 많은 인파가 거리에 나왔는데도 사상자가 없다고. 쓰레기를 주워가는 것도 세계 어디에도 없는 일이라고 했어요.

신=우리보다 경기력이 앞선 나라들의 축구문화는 대개 폭력적입니다. 지난해 한국은 전혀 그렇지 않았어요. 다만 월드컵에서 창출된 에너지를 국내 프로축구 발전 에너지로 전이시키지 못한 것은 축구인으로서 뼈아프게 반성합니다.

‘폴란드 국가연주’ 방해?

최=지난해 월드컵 때 ‘우린 하나가 됐다’고 강조했는데 과연 그럴까요. 욕망이 다른 개인들이 모여 너무 하나를 강요했다는 생각이 드네요. 차근차근 나아가 어느 지점에 도달하는 게 근본적으로 변화하는 것 아닐까요.

신=축구이기 때문에 분명히 하나가 될 수는 있습니다. 월드컵이 끝난 뒤 너무 빨리 열기가 식은 게 문제죠. 이는 축구협회 선수 감독 등이 함께 책임져야 합니다. 월드컵 이후 두 달 가까이 12-15%이던 축구경기 시청률이 지금 2%대까지 떨어졌어요. 큰 일입니다.

월드컵때 우린 ‘하나’ 였나

허=2006년 독일월드컵이 걱정돼요. 2002월드컵 4강이 히딩크 때문이었다는 소리를 안들으려면 최소한 16강은 가야 하는데….

김=월드컵 전까지 한국팀 수비는 엉망이었잖아요. 그래도 월드컵 이후엔 안정된 셈이지요. 2006년 월드컵 때도 안정감 있는 경기를 할 겁니다.

최=내 모든 시계는 2006독일월드컵에 맞춰놨습니다. 붉은 악마와 함께 독일로 날아가야지요. 돈이 있든 없든, 교육을 받았든 받지 않았든 열광할 수 있는 게 축구의 매력 아닐까요.

신=기왕 2006년월드컵 얘기가 나왔으니까 말인데, 히딩크의 성공배경을 철저히 분석하고 독일월드컵에서 뛸 수 있는 연령대의 선수를 장기적인 안목에서 육성하는 게 급선무라고 봐요.

허=감독은 강한 리더십이 필요합니다. 쿠엘류는 히딩크에 비해 좀더 외교적이고 절충적인 것 같아 걱정이예요. 한국처럼 터프하고 다이내믹한 사회에서 자기 위치를 찾으려면 강한 지도력이 필수 아닐까요.

히딩크와 쿠엘류①

김=히딩크는 중간에 있는 사람들이 많이 노력해 끝까지 갈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쿠엘류 감독에게도 그런 분위기가 조성돼야 합니다.

신=쿠엘류는 히당크와 색깔이 달라요. 우리와 정서, 민족성이 비슷해서인지 모르지만 좋게 말하면 신사적이라고 할까…. 아무튼 히딩크와는 다른 독특한 것이 느껴집니다.

최=쿠엘류를 자유롭게 놔 둡시다. 히딩크는 표현력이 뛰어난 사람이었습니다. 대한민국 평균 작가의 수준을 웃돌 정도였으니까요. 히딩크와 쿠엘류를 더 이상 비교하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히딩크와 쿠엘류②

신=히딩크 말이 나오니까 생각나는데요. 폴란드와 첫 경기 전 라커룸에 들어가니 천하의 히딩크가 덜덜 떨더라구요. 쿠엘류도 첫 경기 앞두고서는 옆에서 말도 못 붙일 정도였어요.

최=31일 한일전에서 지더라도 쿠엘류 감독을 ‘역적’으로 만들지 말았으면 합니다.

허=마지막으로 축구의 정의를 내려볼까요. 인간의 야만성을 이렇게 적나라하게 드러내는 게 있을까요.

최=나는 축구를 인생의 축소판으로 봅니다.

신=그렇습니다. 축구에서는 실제로 기적이 일어납니다. 바로 축구가 재미있는 이유죠.

2002월드컵 에피소드

정리=김상호기자 hyangsan@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