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동인데 웬 모기?…12월 기온 평년보다 높아 ‘겨울모기’도 비상

  • 뉴스1
  • 입력 2023년 11월 8일 14시 54분


코멘트
방역당국이 모기 채집기를 설치하고 있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 ⓒ News1 DB
방역당국이 모기 채집기를 설치하고 있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 ⓒ News1 DB
입동인 8일 낮 대구 수성구의 한 음식점을 찾은 직장인 A씨(34)는 음식을 먹으면서 주위를 맴도는 모기를 쫓아내느라 손을 저어야 했다.

“모기 때문에 밥을 못먹겠다”고 하소연하자 식당 직원은 “모기향을 피우고 있지만 따뜻한 실내로 계속 들어오는 모기를 막을 수 없다”고 했다.

겨울이 시작된다는 입동에 들어섰는데도 철 모르는 모기가 기승이다.

올해는 겨울철 기온과 강수량이 평년보다 높고 많을 것으로 예상돼 ‘겨울 모기’가 나타날 가능성도 있다.

지난달 대구 동구의 한 우사에 설치된 유문등에서 채집된 모기 개체 수는 781마리로 지난해 동기(488마리) 대비 62.5%(293마리) 증가했다.

기상청이 10월에 발표한 대구와 경북지역의 3개월 기후 전망을 보면 12월 일평균 기온이 평년(0.5도~1.7도)과 비슷하거나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가을 유난히 모기가 많은데는 따뜻한 기온과 많은 강수량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올 여름철 대구·경북지역의 기후분석 결과를 보면 평균기온이 24.6도로 평년(23.6도) 보다 1도 높았고 평균 강수량은 930.7㎜로 평년(608.7㎜)보다 322㎜나 많았다.

대구기상청은 “6월 하순에서 7월 상순 북태평양고기압 가장자리를 따라 고온다습한 바람이 불어 기온을 높였고, 북쪽의 상층 기압골에서 유입된 찬공기와 자주 충돌하면서 저기압과 정체전선이 강화돼 많은 비가 내렸다”고 했다.

이어 “8월 상순에는 태풍 ‘카눈’이 동중국해상에서 북상할 때 기온을 크게 높이면서 많은 비를 내렸다”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집에서 모기를 마주하고 싶지 않다면 외부로 이어지는 통로를 막아야 한다”며 권고했다.

(대구=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