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과 놀자!/주니어를 위한 칼럼 따라잡기]‘블레이드 러너’와 AI 로봇

  • 동아일보
  • 입력 2017년 10월 25일 03시 00분


코멘트
일러스트레이션 임성훈
일러스트레이션 임성훈
리들리 스콧 감독의 1982년 영화 ‘블레이드 러너’에서는 암울한 미래에 인간과 똑같이 생기고 생각하는 리플리컨트(복제인간)가 노동력을 제공한다. 복제인간 여섯이 식민행성을 탈출해 지구에 몰래 숨어들고 특수경찰인 블레이드 러너가 이들을 쫓는다. 복제인간이 유전자 조합으로 자신들을 만든 사람을 찾아 “아버지”라고 부르며 생명 연장을 요청하는 장면은 지금 봐도 충격적이다.

속편으로 최근 개봉한 ‘블레이드 러너 2049’는 무엇이 인간다움인가라는 이전 작품의 묵직한 주제의식을 이어간다. 이전 작품에서 30년 세월이 흐른 시점에 새로 만들어진 순종적 복제인간 K가 인간에게 반란을 꾀하는 구(舊·옛) 복제인간을 찾아 제거하며 정체성 혼란에 빠져든다.

30년 전 복제인간은 공상과학(SF) 영화나 소설 속 이야기였다. 하지만 20, 30년 안에 일자리의 절반을 인공지능(AI)이나 로봇이 대체한다는 전망이 나온 지금은 현실로 다가온 문제다.

AI 로봇 소피아가 11일 유엔 경제사회이사회에 참석한 것은 여러모로 상징적이다. 홍콩 소재 미국 로봇 제조기업 핸슨로보틱스가 지난해 개발한 소피아는 기술 변화를 주제로 열린 유엔 회의에서 “AI가 올바르게 사용될 수 있도록 인간이 기술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인간보다 뭘 더 잘할 수 있느냐는 질문엔 “아직 한 살 반밖에 안 돼 많은 것을 배우는 중”이라고도 했다. 하지만 1년 전만 해도 소피아는 “인류를 파멸하고 싶은가”라고 묻자 “오케이, 인류를 파멸시키겠다”고 답했다. 어느 쪽이 진짜 AI의 모습일까.

유럽연합(EU) 의회는 올해 1월 12일 AI에 ‘전자인간’이라는 법적 지위를 부여했다. 법인을 제외하면 사람이 아닌 존재가 법적 지위를 얻은 건 처음이다.

EU는 ‘로봇은 인간을 해칠 수 없다’ 등 로봇 3원칙을 정해 로봇은 인간에게 종속적 존재임을 분명하게 드러냈다. 그러나 ‘블레이드 러너’나 소피아 발언을 보면 그렇게 희망적으로 볼 수 있을지 모르겠다. 인간성이란 무엇이고 생명이란 무엇인지 그 정의를 AI가 완전히 뒤집을 날이 얼마 남지 않았다.

동아일보 10월 16일자 정성희 논설위원 칼럼 정리
 
칼럼을 읽고 다음 문제를 풀어 보세요.

1. 본문 설명으로 틀린 것을 모두 고르세요.

① 소피아는 11일 유엔 경제이사회에서 “인류를 파멸하겠다”고 말했다.

② 영화 ‘블레이드 러너’에 나오는 복제인간의 이름은 소피아다.

③ ‘블레이드 러너 2049’는 ‘블레이드 러너’의 속편이다.

④ 유럽연합(EU) 의회는 AI에 ‘전자인간’이라는 법적 지위를 줬다.

⑤ ‘블레이드 러너’는 1982년 만들어진 영화다.

2. 인공지능(AI) 로봇에게 지켜야 할 원칙을 가르친다면? 원칙의 내용과 원칙을 지켜야 하는 이유를 논리적으로 쓰세요.
 
김보민 동아이지에듀 기자 gomin@donga.com
#리들리 스콧 감독#영화 블레이드 러너#ai 로봇#로봇은 인간을 해칠 수 없다#로봇 3원칙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