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교육원]평생교육 ‘한국식 모델’ 구축해야

  • 입력 2006년 8월 16일 03시 01분


코멘트
평생교육은 시공의 장벽을 넘어 인간 삶의 전 과정에서 이뤄지는 종합교육이다.

전통적인 학교교육에서 벗어나 다양한 사회교육으로 표출되고, 성(性) 연령 직업 등 인구학적 특성을 초월한다. 공동체 생활에 필요한 기초소양(교양) 교육에서 건강, 직업기술, 취미 및 여가, 그리고 민주시민 교육에 이르기까지 그 범위도 매우 넓다.

평생교육은 인류 사회가 지향하는 새로운 학습 패러다임으로 사회발전의 원동력이 된다. 특히 유럽에서는 지역경제와 지역사회 재생의 해법으로 평가받고 있고, 일본에서는 마을 중심의 문화공동체를 형성하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이처럼 평생교육이 지닌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아직 한국 사회에서는 이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 평생교육을 선도해 갈 대학에서조차 다른 분야에 비해 관심이나 우선순위가 떨어진다.

평생교육의 실태는 나라마다 다르지만 활성화를 위한 기본조건은 같다. 더욱 많은 국민이 평생교육을 이해하고 참여할 수 있도록 기회가 확대되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정부 주축으로 매년 전국 도시를 순회하며 개최하는 ‘전국평생학습축제’나 2001년부터 시행하는 평생학습도시 지정사업, 그리고 언론매체들의 기획기사 등은 평생교육을 국민에게 알리고 평생교육의 외연을 확대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우리 사회에서 평생교육이 체계화되었거나 활성화되었다는 느낌은 감지되지 않는다.

이제부터는 평생학습도시 사업의 취지를 살려 각 지역에 흩어져 있는 평생교육기관들 간의 수평적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체계적인 역할분담을 통해 평생교육을 확산하는 데 힘써야 한다. 서로 유사한 강좌들을 운영함으로써 수강생 모집에 어려움을 겪거나 잠재적 학습 수요자인 주민들이 프로그램의 빈곤에 대해 불평하는 사례가 반복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이런 실패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우선 정부 예산을 지원받는 평생교육기관들은 시민교육, 교양교육 등 수강생들이 지불을 꺼리는 강좌들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그 외의 기관들은 고유의 장점을 살려 특색 있는 강좌를 운영해야 할 것이다.

학습 수요자들이 단계적으로 심화학습을 할 수 있도록 평생교육기관들 간의 수직적 연계도 강화돼야 한다. 예컨대 주민자치센터에서 서예를 배운 학생이 좀 더 깊이 있는 한학(漢學)에 대한 학습욕구를 채우기 위해 대학 평생교육원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평생교육에 관한 국가의 정책도 변해야 한다. 선진국 사례나 이상적 논리에 치우치지 말고 평생교육 현장의 실태를 주의 깊게 파악한 뒤 우리 실정에 적합한 모델을 구축해야 한다.

그리고 이제는 어느 정도 평생학습의 기반이 마련된 만큼 위에서 일방적으로 추진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현장에서 자발적으로 평생교육이 확산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힘써야 한다.

김호섭 아주대 교수·한국대학부설평생교육원협의회 이사장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