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짜선택
  • [동아일보 속의 근대 100景]<80> 친일파

    《“대한독립단은 삼포살(三砲殺)을 일제히 선뎐하얏다는대 그 방법은 여섯명식 한뎨를 지어 중국 륙군의 옷을 입고 말을 타고 긴 창을 가지고 다니며 다음에 긔록함에 상당한 자를 포살하리라고 하얏다더라.”―동아일보 1921년 4월 23일자》 1919년 4월 만주에서 출범한

    • 2010-01-22
    • 좋아요
    • 코멘트
  • [동아일보 속의 근대 100景]<79> 잡지

    《“(‘폐허’는) 조선의 황량한 예원(藝苑)을 개척하야 백화난만(百花爛.)한 예원을 성(成)하랴는 이상(理想) 하에서 특히 ‘녯 것은 멸(滅)하고 시대는 변하얏다. 내 생명은 폐허로부터 온다’는 독일 시인 실레르의 싯구를 취하야 본지의 제목을 작(作)한 바 예술잡지라.

    • 2010-01-21
    • 좋아요
    • 코멘트
  • [동아일보 속의 근대 100景]<78>경찰

    《“◇부내 종로서에서는 계속적으로 대검거를 진행하는 중이라고 ◇평온무사하다는 총독정치 하에서 또 무슨 중대사건이 속출하엿나 ◇주의자(主義者)는 검거, 언론기관은 정지(停止)가 아니면 금지(禁止), 집회와 단체는 위압, 그래도 간판만은 문화정치” ―동아일보 1926

    • 2010-01-20
    • 좋아요
    • 코멘트
  • [100년의 기억, 100년의 미래/긴박했던 조선의 운명]②무력으로 점철된 국권 탈취

    《1895년 10월 8일 왕비시해사건(을미사변) 후 건청궁(경복궁 내 왕의 처소)의 고종은 일제에 의해 갇혀 지내야 했다. 달포가 지난 무렵, 왕을 구출하려는 친위 쿠데타가 있었지만 정보 누설로 친일 정권에 일망타진됐다. 왕비시해 소문이 퍼져 의병이 일어나면서 비로소 상

    • 2010-01-19
    • 좋아요
    • 코멘트
  • [동아일보 속의 근대 100景]<77>영화

    《“조선 ‘키네마’ 영화회사에서는 뎨 일회 작품으로 ‘룡중조’라는 영화를 제작하야 만흔 환영을 밧고 뎨 이회 작품으로 조선 영화 배우계 일류스타인 라운규 군을 중심으로 현대극 ‘아리랑’을 촬영중이라는 바 녀배우로는 신흥련이란 신진 녀우가 출연하엿스며 또는

    • 2010-01-19
    • 좋아요
    • 코멘트
  • [길 역사를 따라 문화를 따라]<4> 연행사의 길 - 사진과의 첫 만남

    《“아침 식사 후 판관 박명홍, 오상준과 함께 아라사관(俄羅斯館)을 구경하러 갔다.…안으로 들어가니 벽 위에 사람이 차례로 앉아 있는데, 의관이 선명하고 기상이 단정했다. 가까이 다가가 보았더니 바로 화상(畵像)을 벽에 걸어놓은 것이었다. 틀림없이 살아있는 사람으

    • 2010-01-16
    • 좋아요
    • 코멘트
  • [동아일보 속의 근대 100景]<76> 단군과 을지문덕

    《“시내 숭동례배당에서는 학생대회주최로 ‘인격으로 완전함에는 가정교육에 재(在)하냐? 학교교육에 재하냐?’랴하는 문데로 녈렬한 토론회가 잇섰다…중동학교 신혁익군이 공교로히 ‘단군자손이니 배달민족이니 참담한 조선이니’하며 한참 웅변을 펼치다가 마참 림석

    • 2010-01-15
    • 좋아요
    • 코멘트
  • [동아일보 속의 근대 100景]<75>주식과 금융

    《“구라파의 풍운은 드디어 도처에서 불똥이 튀기 시작하엿다. 영국과 불란서의 독일에 대한 선전포고로 주식시장은 노한 불길과 같이 대전경기(大戰景氣)를 구사하고 있다. 동신(東新)은 독일과 포렌드가 충돌하면서 오늘까지 삼십오원이나 오른 셈이고…중매점도 대만원이

    • 2010-01-14
    • 좋아요
    • 코멘트
  • [동아일보 속의 근대 100景]<74>취업

    《“저지할 바를 모르는 심각한 불경기의 파도는 나날이 실업자를 더하고 있을 뿐이다. 15일 경성부 사회과 조사발표에 의하면 지난 6월 말 현재 부내의 실업자 수효는 조선인 5960인, 일본인 1090인으로 모다 7050인에 달한다. … 그들의 소속된 가족을 평균 5명으로 본다면

    • 2010-01-13
    • 좋아요
    • 코멘트
  • [동아일보 속의 근대 100景]<73> 비행기

    《“비행기의 발명, 항공기의 발달은 이제 인류의 생활을 근본적으로 변화케 하고 있습니다. 이 문명의 진전, 이기의 발달에 선각하는 자는 흥하고 낙오하는 자는 망합니다.” (안창남이 고국방문비행에서 뿌린 전단 내용)―1922년 12월 11일자 동아일보》1922년 5만명 집결

    • 2010-01-12
    • 좋아요
    • 코멘트
  • 100년의 기억서 100년의 미래 본다

    100년 전, 우리는 나라를 잃었다. 한일병합조약이 체결된 1910년 8월 22일, 그리고 일주일 뒤 순종 황제의 이름으로 이 조약이 포고된 8월 29일. 경술년의 국치(國恥)였다. 태양조차 다시 떠오를 것 같지 않던 충격이었건만 시간은 쉼 없이 흘러 조약이 포고된 지 어느덧 3

    • 2010-01-11
    • 좋아요
    • 코멘트
  • [동아일보 속의 근대 100景]<72> 건축물

    《“조선 와 보니 첫재 인상은 흰 옷 입은 어린 아희들의 얼골이 금직이 고흔 것임니다. 그리고 또 한 가지 눈에 띠운 것은 총독부 신사(新廳舍)가 조선의 조흔 건축물들을 가리워 노흔 것이엇섯슴니다. 유감으로 생각함니다.” ―동아일보 1926년 11월 29일자》 1926년 11

    • 2010-01-09
    • 좋아요
    • 코멘트
  • [동아일보 속의 근대 100景]<71>서양음악회

    한국 최초의 서양 음악회는 일본 여성 성악가 야나기 가네코(1892∼1984) 독창회였다. 1920년 5월 4일 종로 기독교청년회관 무대에서 펼쳐진 이 음악회는 동아일보가 주관한 첫 문화사업이었다. 1500여 명이 공연장으로 들어와 음악회는 예정보다 한 시간 늦은 오후 8시에

    • 2010-01-07
    • 좋아요
    • 코멘트
  • [동아일보 속의 근대 100景]<70>사진의 보급

    《“예술사진에 만흔 취미를 가지고 다년간 열심히 연구하는 정해창 씨는 오는 29일부터 사흘 동안 예술사진 작품 전람회를 광화문 삘딩에서 개최한다더라.” ―동아일보 1929년 3월 28일자》 황철(1864∼1930)은 우리나라에 최초로 사진을 도입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는 1

    • 2010-01-05
    • 좋아요
    • 코멘트
  • [동아일보 속의 근대 100景]<69>경제수탈

    《“전라북도 익산군 함열면 와리에서 유력자의 발긔로 전북 도지사의게 청원서를 뎨출하얏는대 그 대략은 촌민에게 대하야 가마니와 수출미 등을 렴가로, 지명 매입함으로 촌민의 생활이 빈궁에 빠짐을 면치 못하는 것과 농가의 농긔를 고가로 매각하는 등 여러 가지 불평을

    • 2010-01-04
    • 좋아요
    • 코멘트
  • [동아일보 속의 근대 100景]<68> 조선어말살정책

    日, ‘민족혼의 그릇’ 깨려조선어수업도 일본어로1943년 끝내 과목 없애《“세상에는 어리석은 사람이 만어(많어). 그런데 우리 집에도 하나 잇다.” “다레(誰)?” “너이지 누구야.” “도-시데(엇재서)?” “생각을 해보려무나. 精神(정신)이 잇서야 생각도 잇지.” “와

    • 2010-01-02
    • 좋아요
    • 코멘트
  • [길 역사를 따라 문화를 따라]<1> 표류의 길-코레아, 유럽을 만나다

    《길에는 흔적이 있다. 교류와 전파의 흔적. 길에는 만남이 있다. 교류와 전파는 낯선 것과의 만남이기 때문이다. 그 만남은 늘 새로운 사상과 예술, 문화를 탄생시켜 왔다. 한국의 문화사를 바꿔 놓은 길의 흔적을 되짚어보고 그것의 현재 의미를 들여다보는 신년기획 ‘길,

    • 2010-01-02
    • 좋아요
    • 코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