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짜선택
  • [횡설수설/송평인]세베로도네츠크 함락

    [횡설수설/송평인]세베로도네츠크 함락

    러시아 서부에는 돈강이 흐른다. 돈(Don)은 슬라브어로 강이란 뜻이다. 돈의 작은 말이 도네츠(Donets)다. 우크라이나 동부에는 도네츠강이 흐른다. 도네츠강은 돈강에 합류해 아조프해로 흘러 들어가고 아조프해는 다시 흑해로 흘러 들어간다. ▷도네츠강이 우크라이나 루한스크 지방을 관…

    • 2022-06-27
    • 좋아요
    • 코멘트
  • 무서운 식중독[횡설수설/이진영]

    무서운 식중독[횡설수설/이진영]

    덥고 습한 여름은 식중독균이 번식하기 좋은 계절이다. 경남 김해의 유명 냉면집 음식을 먹은 34명이 식중독에 걸려 이 중 한 명이 사망한 데 이어 어제는 경남도가 운영하는 대학생 기숙사 식당을 이용한 학생 여럿이 식중독 의심 증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정부는 식중독 경보 4…

    • 2022-06-25
    • 좋아요
    • 코멘트
  • [횡설수설/박중현]‘주 52시간 근로’ 숨통 트기

    [횡설수설/박중현]‘주 52시간 근로’ 숨통 트기

    ‘판교 등대’ ‘구로 등대’ ‘오징어잡이 배’. 경기 성남시 분당구나 서울 구로구에 위치한 게임업체 빌딩들은 한때 이렇게 불렸다. 촉박한 게임 출시 일정을 맞추려면 밤샘근무가 예사여서 늘 새벽까지 불이 켜져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2018년 7월부터 단계적으로 주당 근로시간이 52시…

    • 2022-06-24
    • 좋아요
    • 코멘트
  • [횡설수설/정연욱]또 바뀌는 국정원 원훈

    [횡설수설/정연욱]또 바뀌는 국정원 원훈

    1961년 출범한 중앙정보부는 미국 중앙정보국(CIA)을 모델로 삼았다. 그래서 당시 국민들은 중정을 ‘씨에(CIA)’라고 불렀다고 한다. 김종필 초대 중앙정보부장이 지은 중정의 모토는 ‘우리는 음지에서 일하고 양지를 지향한다’였다. 정보부원은 정부를 뒷받침하는 숨은 일꾼이어야 한다는…

    • 2022-06-23
    • 좋아요
    • 코멘트
  • 이순신 유적 지킨 민초들[횡설수설/이진영]

    이순신 유적 지킨 민초들[횡설수설/이진영]

    충무공 이순신의 영정을 모신 현충사가 중건된 시기는 일제의 민족말살 통치기였던 1932년이다. 1706년(숙종 32년) 처음 건립됐으나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로 1868년 철거됐다가 64년 만에 충남 아산시 백암리 충무공의 고택 옆에 고쳐 지은 것이다. 현충사 중건은 범민족적 유적 보…

    • 2022-06-22
    • 좋아요
    • 코멘트
  • [횡설수설/이정은]담배꽁초 채운 젖병

    [횡설수설/이정은]담배꽁초 채운 젖병

    편의점에서 담배를 사려는 청소년이 돈을 내려다 “(값이) 충분치 않다”는 주인의 말에 멈칫한다. 그는 펜치를 꺼내 스스로 치아를 뽑은 뒤 이를 비용으로 치르고 담뱃갑을 받아 든다. 같은 상황에서 또 다른 10대는 얼굴 피부를 쭉 벗겨내 카운터에 올려놓는다. 2014년 미국에서 방영된 …

    • 2022-06-21
    • 좋아요
    • 코멘트
  • “불타는 지구” [횡설수설/장택동]

    “불타는 지구” [횡설수설/장택동]

    3월 초 러시아의 보스토크 남극 기지에서 잰 기온이 평년보다 15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을 때만 해도 과학자들은 “측정이 잘못됐을 것”이라며 대수롭지 않게 여겼다. 하지만 북극의 기온도 평년에 비해 3도가량 올라갔다는 조사결과가 나오더니 5월에는 인도 델리의 최고기온이 49도, 파키스탄…

    • 2022-06-20
    • 좋아요
    • 코멘트
  • [횡설수설/배극인]경로우대 기준 상향 논란

    [횡설수설/배극인]경로우대 기준 상향 논란

    조계종이 전국의 사찰 관람료 경로우대 기준을 올해 1월부터 ‘만 65세 이상’에서 ‘만 70세 이상’으로 올렸다. 이 때문에 사회적 거리 두기 해제 이후 사찰을 찾은 고령자들이 당황하는 일이 벌어지고 있다고 한다. 이는 경로우대 기준을 둘러싼 논란의 서막일지 모른다. 정부 조사에서 노…

    • 2022-06-18
    • 좋아요
    • 코멘트
  • 조력존엄사 [횡설수설/이진영]

    조력존엄사 [횡설수설/이진영]

    말기 암 환자인 40대 공무원 A 씨. ‘온몸이 부서지는 통증’에 시달리던 그는 평화롭게 생을 끝내기로 하고 스위스로 간다. 외국인에게도 조력존엄사, 즉 의사조력사(physician-assisted suicide)를 허용하는 유일한 나라다. A 씨는 2019년 국내 언론의 탐사보도에서…

    • 2022-06-17
    • 좋아요
    • 코멘트
  • [횡설수설/이진영]김건희 여사 행보 논란

    [횡설수설/이진영]김건희 여사 행보 논란

    ‘조용한 내조’가 이렇게 소란스러워도 될까. 김건희 여사의 내조 행보가 연일 논란거리다. 대통령 부부의 사진을 사적인 팬클럽을 통해 공개하면서 ‘비선 공개’ 물의를 빚은 데 이어 공식 일정에 지인을 동반해 ‘비선 동행’ 비판을 자초했다. 김 여사 사진을 독점 게재해온 팬클럽 운영자의 …

    • 2022-06-16
    • 좋아요
    • 코멘트
  • [횡설수설/이정은]재산 빼앗기는 노인들

    [횡설수설/이정은]재산 빼앗기는 노인들

    미국에서는 60대 이상 노인 10명 중 1명이 가족이나 지인에게 재산을 빼앗기거나 경제적 거래, 계약 시 명의를 도용당한 경험이 있다. 포브스에 따르면 매년 피해 규모가 365억 달러에 이른다. 캐나다의 경우 이런 피해를 당한 사례가 25만 명에 달한다는 보도가 나왔다. 자식에게 주택…

    • 2022-06-15
    • 좋아요
    • 코멘트
  • 개미 가죽 벗기는 스캘핑 [횡설수설/홍수용]

    개미 가죽 벗기는 스캘핑 [횡설수설/홍수용]

    주식 전문가 A 씨는 2011년 10월 4일 한 증권전문방송에서 안랩(당시 안철수연구소) 주식을 추천했다. 지수가 출렁거리는 변동성 장세인 만큼 사려는 사람이 많고 테마가 있는 종목이 좋다는 그럴듯한 근거를 댔다. 많은 개미 투자자가 그 말을 믿었지만 사실 A 씨는 방송 전 안랩 주식…

    • 2022-06-14
    • 좋아요
    • 코멘트
  • 맥도널드 건강메뉴 퇴출[횡설수설/배극인]

    맥도널드 건강메뉴 퇴출[횡설수설/배극인]

    세계적인 패스트푸드 체인 맥도널드가 미국 맥도널드 1만4000개 매장에서 샐러드와 구운 치킨버거, 과일 요거트 등 건강메뉴 판매를 중단한다고 한다. 대신 햄버거와 프라이드치킨 등 전통적인 인기메뉴 판매에 집중한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일손 부족과 수익성 악화 때문이다. 미국 맥도널…

    • 2022-06-13
    • 좋아요
    • 코멘트
  • [횡설수설/정원수]60년 치 국정원 X파일

    [횡설수설/정원수]60년 치 국정원 X파일

    “60년간의 X파일이 모두 서버에 있다. 전체가 다 있다. 정치인, 언론인, 기업인이다.” 박지원 전 국가정보원장은 10일 라디오 인터뷰에서 이런 말을 꺼냈다. 그는 2020년 7월부터 올 5월까지 문재인 정부의 마지막 국정원장을 지냈다. 그는 “국회에서 의원들에게 ‘이것을 공개하면 …

    • 2022-06-11
    • 좋아요
    • 코멘트
  • [횡설수설/홍수용]시범 개방되는 용산공원

    [횡설수설/홍수용]시범 개방되는 용산공원

    서울 용산 대통령 집무실 남쪽에 조성되는 용산공원은 미국 백악관 남쪽 경계 밖에 있는 ‘내셔널몰’ 잔디밭을 염두에 둔 것이다. 내셔널몰에서 시민들은 대통령이 있는 백악관을 바라볼 수 있다. 대통령 전용 헬기인 ‘마린원’이 뜨고 내리는 모습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용산공원에서 시민들이…

    • 2022-06-10
    • 좋아요
    • 코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