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 포인트

연재

딥다이브

읽다 보면 빠져드는 경제뉴스, 딥다이브는 뉴스레터로도 만날 수 있습니다. 매주 화, 금요일 오전 8시에 찾아갑니다.

기사 336

구독 307

인기 기사

날짜선택
  • 배터리 가격 급락…치킨게임 서막인가, 전기차 대중화 발판인가[딥다이브]

    배터리 가격 급락…치킨게임 서막인가, 전기차 대중화 발판인가[딥다이브]

    전기차 배터리 가격이 뚝뚝 떨어지고 있습니다. 저가형 배터리 시장을 장악한 중국 제조사들이 올해 공급가격을 1년 전의 절반 수준으로 낮췄다는 소식까지 나오는데요. 그럼 전기차 값도 내려가냐고요? 그건 그렇지만 마냥 좋아할 일만은 아닙니다. 한국 배터리 산업도 함께 가격 경쟁의 소용돌이…

    • 2024-01-27
    • 좋아요
    • 코멘트
  • 미국 경제 ‘깜짝 성장’에 S&P500 또 사상 최고[딥다이브]

    미국 경제 ‘깜짝 성장’에 S&P500 또 사상 최고[딥다이브]

    미국 경제가 강한 성장을 기록하면서 뉴욕증시가 환호했습니다. 25일(현지시간) 3대 지수는 일제히 상승 마감했는데요. 다우지수 0.64%, S&P500 0.53%, 나스닥지수는 0.18% 올랐습니다. S&P500과 나스닥지수는 6거래일 연속 상승이죠. 특히 S&P…

    • 2024-01-26
    • 좋아요
    • 코멘트
  • 배터리값 하락세…  “치킨게임 우려” vs “전기차 대중화 기대” [딥다이브]

    배터리값 하락세… “치킨게임 우려” vs “전기차 대중화 기대” [딥다이브]

    전기차 배터리 가격 하락세가 심상찮다. 중국 제조사가 1년 전의 절반 수준으로 값을 내려 판매하겠다고 나섰다. 자칫 치킨게임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와 함께 전기차 대중화의 길이 열릴 거란 기대가 교차한다.● 반 토막 난 배터리셀 가격 중국 언론에 따르면 저가형 리튬·인산철(LFP)…

    • 2024-01-25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29년 전 쓰레기 종량제 도입이 다시 봐도 신기한 이유[딥다이브]

    29년 전 쓰레기 종량제 도입이 다시 봐도 신기한 이유[딥다이브]

    쓰레기를 많이 버리면 돈을 많이 내게 하는 정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쓰레기를 많이 버리는 사람은 돈을 많이, 적게 버리는 사람은 조금 내는 거죠. 그게 당연한 것 아니냐고요? 쓰레기 처리 비용은 쓰레기를 만든 사람이 부담하는 게 맞다고요?한국에 쓰레기 종량제가 의무화된 지 3…

    • 2024-01-24
    • 좋아요
    • 코멘트
  • 다우·S&P500 역대 최고…애플은 시총 1위 탈환[딥다이브]

    다우·S&P500 역대 최고…애플은 시총 1위 탈환[딥다이브]

    뉴욕증시가 일제히 상승하면서 역대 최고치를 새로 썼습니다. 22일(현지시간) 다우지수는 사상 처음으로 3만8000선을 돌파했고, S&P500지수는 이틀 연속 사상 최고 기록을 세웠습니다. 다우는 +0.36%, S&P500 +0.22%, 나스닥지수+0.32%로 장을 마감했…

    • 2024-01-23
    • 좋아요
    • 코멘트
  • 한국이 최고라던 차세대 태양전지, 사우디·중국에 밀리기 시작했다[딥다이브]

    한국이 최고라던 차세대 태양전지, 사우디·중국에 밀리기 시작했다[딥다이브]

    한국이 세계 최고의 기술력을 지닌 분야라고 하면 뭐가 떠오르시나요. 메모리 반도체, OLED, 이차전지? 이것도 빼놓지 말아 주세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이름이 너무 어렵다면 이렇게 불러도 됩니다. ‘차세대 태양전지’. 기존 실리콘 태양전지의 한계를 뛰어넘을 미래 기술이죠.한국이…

    • 2024-01-20
    • 좋아요
    • 코멘트
  • 애플·TSMC 함께 날았다…뉴욕증시 반등 성공[딥다이브]

    애플·TSMC 함께 날았다…뉴욕증시 반등 성공[딥다이브]

    모처럼 기술주들이 상승세를 타며 뉴욕증시가 반등에 성공했습니다. 특히 애플 주가가 큰폭으로 올랐는데요. 18일(현지시간) 다우지수는 0.54%, S&P500은 0.88%, 나스닥지수는 1.35% 상승으로 거래를 마감했습니다. 핵심 기술주 100개를 모아 만든 나스닥100 지수는 1.4…

    • 2024-01-19
    • 좋아요
    • 코멘트
  • 韓 ‘차세대 태양전지’ 주춤하는 새… 후발주자 中 ‘최고 효율’ 신기록[딥다이브]

    韓 ‘차세대 태양전지’ 주춤하는 새… 후발주자 中 ‘최고 효율’ 신기록[딥다이브]

    한국이 10년 가까이 기술을 선도해 온 ‘차세대 태양전지’ 분야에 지각변동이 일고 있다. 최근 1년 사이 후발 주자인 사우디아라비아와 중국이 빠른 속도로 치고 올라오며 선두를 뺏겼다. 일본도 이 분야 주도권을 되찾겠다고 나서면서 경쟁은 더 치열해졌다.● 새로운 차원의 태양전지 이달 초…

    • 2024-01-18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10년 기다린 비트코인 ETF의 등장…승자와 패자는 누가 될까[딥다이브]

    10년 기다린 비트코인 ETF의 등장…승자와 패자는 누가 될까[딥다이브]

    지난주 미국 증시에 역사적 신상품이 등장했다는 소식, 들으셨죠. 바로 비트코인 현물 ETF(상장지수펀드). 2013년부터 10년 동안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을 거부해온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지난 10일 마침내 이를 승인한 건데요. ‘드디어 비트코인이 제도권에서 투자자산으로…

    • 2024-01-17
    • 좋아요
    • 코멘트
  • 막 오른 실적 시즌…인도·일본 증시는 왜 뛸까[딥다이브]

    막 오른 실적 시즌…인도·일본 증시는 왜 뛸까[딥다이브]

    전 세계 관심이 미국 공화당의 아이오와주 당원대회에 집중된 15일(현지시간), 뉴욕증시는 문을 닫았습니다. ‘마틴 루터 킹 주니어의 날’을 맞아 휴장한 건데요. 이번 주 미국 증시는 4분기 실적 시즌이 본격적으로 펼쳐질 예정입니다. 이미 지난주 금요일 JP모건체이스와 뱅크오브아메리카는…

    • 2024-01-16
    • 좋아요
    • 코멘트
  • 왜 고객에게 일 시키지? 셀프계산대와 무급노동[딥다이브]

    왜 고객에게 일 시키지? 셀프계산대와 무급노동[딥다이브]

    대형마트의 셀프계산대 좋아하시나요? 일반 계산대 앞 긴 줄을 피해 셀프계산대로 갔다가 오류가 나서 쩔쩔맨 경험, 한 번쯤 있으실 텐데요. 셀프계산대가 실제로는 그다지 결제 시간을 줄여주지 못하는 데다, 절도가 늘어나는 부작용도 있다고 하죠. 이거 시간과 비용을 절약해주는 진보한 기술인…

    • 2024-01-06
    • 좋아요
    • 코멘트
  • 나스닥 5일째 하락…애플은 또 등급 강등[딥다이브]

    나스닥 5일째 하락…애플은 또 등급 강등[딥다이브]

    나스닥지수가 또 하락했습니다. 벌써 5일 연속인데요. 2022년 10월 이후 가장 긴 하락세라고 합니다. 4일(현지시간) 나스닥지수는 0.56% 하락해, 12월 27일 종가와 비교해 거의 4% 떨어졌고요. S&P500은 0.34% 하락했는데, 4일째 하락입니다. 다우지수는 소폭…

    • 2024-01-05
    • 좋아요
    • 코멘트
  • 경기 침체도, 불평등 심화도 없다고? 도전받는 경제 비관론[딥다이브]

    경기 침체도, 불평등 심화도 없다고? 도전받는 경제 비관론[딥다이브]

    연말입니다. 내년 경제 전망을 이야기하기 딱 좋은 타이밍이죠. 하지만 전망 기사를 쓰지 않을 핑계를 찾았습니다. 바로 1년 전 나왔던 올해 글로벌 경제에 대한 전문가들의 예측치가 완전히 빗나갔다는 점이죠.2023년 미 연준이 물가를 잡으려 금리를 빠르게 올리면 실업률이 치솟고 미국 경…

    • 2023-12-30
    • 좋아요
    • 코멘트
  • S&P500, 최고치까지 13포인트 남았다… 산타 효과?[딥다이브]

    S&P500, 최고치까지 13포인트 남았다… 산타 효과?[딥다이브]

    뉴욕증시가 보합권으로 마감했지만 S&P500은 사상 최고치 경신을 코앞에 두고 있습니다. 올해 거래 마감을 하루 남긴 28일(현지시간) S&P500지수가 1.77포인트(0.04%) 오른 4783.35를 기록했는데요. 2022년 1월 3일 기록한 종가 최고치(4796.56…

    • 2023-12-29
    • 좋아요
    • 코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