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동아일보
전체메뉴
검색
최근검색어
최근 검색어
내역이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닫기
language
language
한국어
English
中文(簡体)
日本語
동아미디어그룹
동아미디어그룹
채널A
스포츠동아
오피니언
정치
경제
국제
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헬스동아
매거진
오피니언
사설
오늘과 내일
횡설수설
동아광장
동아시론
광화문에서
현장에서
POLL
뉴스
정치
경제
국제
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매거진
신동아
주간동아
여성동아
매거진동아
동아비즈니스리뷰
하버드비즈니스
리뷰코리아
어린이동아
과학동아
어린이과학·수학동아
수학동아
에듀동아
브랜더쿠
섹션
책의 향기
스타일매거진Q
골든걸
edu+
히어로콘텐츠
디스페셜
헬스동아
실시간 뉴스
이슈 포인트
연재 포인트
트렌드뉴스
뉴스레터 신청
기자 구독
동아APP서비스
지면보기
PDF서비스
구독신청
동아디지털아카이브
보도자료
보이스뉴스
RSS
동아방송 DBS
채널A
스포츠동아
비즈N
EV라운지
MLB파크
보스
VODA
IT동아
게임동아
전체 연재
연재
공공임대주택 30년
공유하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7
개
구독
0
구독
최신기사
날짜별
지면기사만 보기
지면기사만 보기
“고층 대신 중저층… 지역사회와 연결성 초점 맞춰야”
“앞으로 지어질 공공임대주택은 주변 지역과 조화를 이루면서 사용자 맞춤형 주거시설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사회 통합적 공간으로 조성돼야 한다.” 정부가 2025년까지 장기공공임대주택 240만 채 확보를 선언하고 총력전을 펼치는 가운데 임대주택 계획에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는 …
2020-06-24 03:00
쏟아지는 주거복지정책 ‘잘 꿰어야 보배’
정부가 임대주택을 포함해 쏟아내고 있는 다양한 주거복지 정책에 대해 이용 대상자들이 잘 모르고 있으며, 실제 활용률도 저조한 것으로 드러났다. 전문가들은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라는 말처럼 주거복지 정책이 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보완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
2020-06-17 03:00
낡은 집 고쳐주고 주거급여 확대… 주택복지 착착
서울 강북구 수유동 486번지 일대의 옛 이름은 ‘빨래골’이다. 수유동과 삼양동의 경계에 있는 이 마을은 북한산에서 흘러내리는 물의 양이 많고, 빨래 널기 좋은 넓은 바위가 냇가에 깔려 있어 이런 이름이 붙었다. 조선시대에는 주민들뿐만 아니라 대궐의 궁중 무수리들도 이 빨래터를 이용한…
2020-06-03 03:00
‘뉴스테이’-‘비축용 임대주택’ 이어 ‘10년 임대주택’도 좌초 위기
올해 3월 2일 경기 성남시 판교신도시에 위치한 산운마을 11단지와 12단지 입주민 404가구가 한국토지주택공사(LH)를 상대로 집단소송을 제기했다. 이들은 10년간 시세의 90% 수준의 임대료만 내고 살다가 소유권을 분양받을 수 있는 ‘10년 임대 분양 전환 아파트’ 입주민들이다. …
2020-05-23 03:00
낡은 고시원 등 개조해 임대료 착한 월세방으로
서울 강남구 대치동(삼성로)은 자타 공인 국내 최고 인기 주거지 가운데 하나다. 이곳 중심부인 포스코사거리와 대치사거리 가운데에 ‘대치포스코더¤’이 자리하고 있다. 지어진 지 15년이 넘었지만 이 아파트 168㎡짜리가 올해 초 24억7000만 원에 거래됐다. 전세금도 15억 원에 달한…
2020-05-02 03:00
물량 위주 공급은 옛말… ‘맞춤형 임대주택’으로 패러다임 바꾼다
“5층 집에서 마음 편히 잘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행복합니다.” 서울 도봉구 방학천을 따라 조성돼 있는 문화예술거리 한가운데 위치한 ‘문화인마을 3차’. 붉은색 벽돌의 5층짜리 이 건물은 서울시가 맞춤형 주거복지 사업의 일환으로 운영하는 임대주택이다. 이곳에서 10일 만난 코미디 …
2020-04-23 03:00
주거만족도 높고 소득재분배 효과… “저소득층 거주” 편견은 문제
《올해는 국내에서 장기임대아파트가 첫선을 보인 지 만 30년이 되는 해이다. 이후 보수 진보를 가리지 않고 정권마다 양적 확대에 초점을 맞춘 임대주택 정책을 펼쳐 왔다. 그 결과 임대주택 재고가 주거복지 선진국 수준을 넘어서는 등 양적인 측면에서 일정 수준의 성과를 내고 있다. 하지만…
2020-04-14 03:00
1
최근 업데이트 연재
설명
해당 연재를 제외하고 전체 연재 목록 중
기사가 최신 업데이트된 순으로 보여드립니다.
닫기
사설
대통령실·내각 개편 인적쇄신이 국정쇄신 첫걸음 [사설]
최신기사 2023.11.30 00:05
기사
23,670
개
구독
139
구독
횡설수설
[횡설수설/정임수]한국 소비자 ‘호갱’으로 본 샤넬·에르메스·나이키
최신기사 2023.11.29 23:51
기사
8,502
개
구독
79
구독
오늘과 내일
[오늘과 내일/박중현]‘공수교대’ 인정 않는 민주당, 결과까지 책임질 건가
최신기사 2023.11.29 23:48
기사
3,573
개
구독
44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