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硏 소장 “한국 언제든 IAEA사찰 받을 용의 있다”

  • 입력 2004년 9월 8일 18시 50분


코멘트
한국 과학자들의 우라늄 분리실험이 핵개발 의혹으로 부풀려진 데 대해 미국의 뉴욕 타임스는 7일 “언제 어디에서라도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사찰을 받을 용의가 있다”는 장인순 한국원자력연구소장과의 인터뷰 내용을 소개했다.

박정희 전 대통령 시절의 실험에 빗대 ‘이번 실험 사실 공개가 주한미군 철수에 대한 대응수일 수도 있다’고 보도했던 뉴욕 타임스는 이날 ‘한국인들 우라늄 실험 해명에 애쓴다’는 기사를 통해 장 소장의 “이번 실험을 한 과학자들은 30, 40대로 박정희 세대 사람들이 아니다”는 발언도 전했다.

과학자들의 실험을 허가했던 장 소장은 이어 인터뷰에서 “나는 (한반도 비핵화에 관한) 국제협약이 있는 줄은 알았지만 (우라늄 생산이) 소량이어서 문제될 것으로 생각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1970년대 한국의 핵개발 프로그램을 연구해 온 호주의 반핵활동가 피터 헤이즈는 “기술 및 과학적 관점에서 볼 때 (한국의 우라늄 분리실험은) 큰일은 아니며 한국은 의미 있는 수준의 농축우라늄을 얻지 못했다”면서 그러나 “정치적 법적으로는 대단히 당혹스러운 일”이라고 말했다.

뉴욕 타임스는 한국이 19개의 원자력발전소를 가동하기 위해 매년 농축우라늄을 3억7000만달러어치 수입해야 하는 등 경제적으로 막대한 비용을 지출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신문은 또 국방연구원 김태우 실장의 말을 인용해 “한국은 국제사회에 지나칠 정도로 잘 협력해 왔으며 미국이나 다른 나라들이 이 점을 잘 알기 때문에 이번 실험에 대해 한국을 비난하지 않을 것”이라면서 “만일 국제사회가 한국을 비난한다면 한국 전문가들은 화가 날 것”이라고 전했다.

월스트리트 저널도 장 소장이 “과학자들이 핵 비확산과 관련된 의무사항을 제대로 숙지할 수 있는 시스템이 연구소에 갖춰져 있지 않으며 연구원들은 국제법엔 관심이 없는 사람들”이라며 “과학자로서 어떤 잘못을 저질렀다고 보지는 않지만 어쨌든 논란을 불러일으켜 유감”이라고 말했다고 8일 전했다.

뉴욕=홍권희특파원 konihong@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