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광우병 안전지대 아니다

  • 입력 2001년 9월 11일 18시 53분


일본에서 광우병 양성 반응을 보인 소가 발견돼 광우병 안전지대인 것으로 생각됐던 동북아시아에도 광우병 공포가 현실로 닥쳤다. 일본 정부는 소의 뇌 조직을 영국과 스위스에 있는 국제표준연구소에 보내 최종 검사를 받을 예정이지만 일본의 검사기술이 유럽에 뒤지지 않는 수준이기 때문에 결과가 바뀔 가능성은 거의 없어 보인다.

정부는 긴급히 일본에서 수입되는 광우병 관련 축산물에 대한 잠정 수입검역조치를 취했지만 이미 수입됐던 축산물에 대해서도 유통 경로를 파악하는 등 철저한 대비책을 세워야 한다.

일본은 업계에서 지나치다는 반응이 나올 정도로 광우병 방지 대책을 시행했는데도 이런 일이 벌어져 충격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일본 후생노동성은 의약품 화장품 원료로 쓰이던 유럽산 소 장기의 수입을 금지하고 유럽에서 살다 온 사람의 헌혈까지 제한했다. 이 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광우병 소가 발견되자 바이러스가 내부에서 생긴 것이라는 추리마저 나오고 있다.

광우병에 걸린 쇠고기를 먹으면 인간 광우병이라고 할 수 있는 변종 크로이츠펠트 야코프병에 걸린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유럽의 축산업은 황폐화됐다. 독일에서는 광우병 소가 발견된 후 40만마리(11억달러)의 소를 도살했고 영국도 10억달러 이상의 손실을 입었다.

한국은 96년부터 영국 등 광우병 발생국가로부터 소 등 반추동물과 축산물의 수입을 금지했지만 광우병의 잠복기간(3∼5년)이 길어 완전히 마음을 놓기는 어렵다. 광우병의 매개체로 알려진 육골분 등 동물성 사료와 음식 잔반의 사용을 금지하고 있으나 이것은 민관의 노력이 합쳐져야 효과를 낼 수 있다.

한국도 안전지대에 있지 않은 것이 확실해졌으므로 단 0.1% 가능성도 없애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미국 텍사스주에서 실수로 동물성 사료를 공급한 업체가 이 사료를 먹은 소를 모두 사들여 비식용으로 처리한 사례를 교훈 삼아야 한다.

쇠고기 소비가 많은 추석을 앞두고 농가와 식당의 타격이 적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는 96년부터 지난달까지 소 3700여마리를 검사했지만 아직 양성반응은 나타나지 않았다. 광우병은 본래 양의 스크래피라는 질병이 소에게 옮은 것인데 양의 사육 마릿수도 일본에 비해 현격히 적다. 광우병 대책을 철저히 세우되 소비자들까지 공포에 젖어 허둥댈 필요는 없다.

정부는 소비자를 안심시키기 위해 소의 전수 검사를 실시해보는 방안을 검토해보기 바란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