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 포인트

연재

왕은철의 스토리와 치유

기사 340

구독 50

날짜선택
  • [왕은철의 스토리와 치유]〈40〉베토벤 곡을 자주 들었다면

    [왕은철의 스토리와 치유]〈40〉베토벤 곡을 자주 들었다면

    음악이 사람을 바꿔 놓을 때가 있다. “모든 예술은 끊임없이 음악의 상태를 동경한다”라는 말까지 있으니, 음악에 그러한 힘이 있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지 모른다. 독일 감독 플로리안 헹켈 폰 도너스마르크의 ‘타인의 삶’은 음악이 어떻게 사람을 바꿔 놓을 수 있는지 보여주는 감동적인 영화…

    • 2018-05-30
    • 좋아요
    • 코멘트
  • [왕은철의 스토리와 치유]〈39〉사대양 물보다 더 많은 눈물

    [왕은철의 스토리와 치유]〈39〉사대양 물보다 더 많은 눈물

    사람들은 그녀를 미쳤다고 생각하고 오물과 흙덩이를 던졌다. 부처의 제자들도 그렇게 생각하기는 마찬가지였다. “저 미친 여자가 스승님한테 못 오게 막아!” 그러나 부처는 달랐다. “내 앞에 오는 걸 막지 마라.” 여자는 부처의 발밑에 엎드려 서럽게 울었다. 부처는 안쓰러운 눈으로 그녀의…

    • 2018-05-23
    • 좋아요
    • 코멘트
  • [왕은철의 스토리와 치유]〈38〉검열을 넘어선 노래

    [왕은철의 스토리와 치유]〈38〉검열을 넘어선 노래

    “물결에 달빛 쏟아지네/애기가 달님 안고 파도를 타네/애기가 별님 안고 물결을 타네.” 이것이 어떤 노래의 일부라면, 그것은 달빛과 별빛이 쏟아져 내리는 아름다운 밤바다를 노래하는 동요이거나, 적어도 자연의 아름다움을 환기하는 노래일 것 같다. 그런데 이어지는 노랫말은 우리의 고개를 …

    • 2018-05-16
    • 좋아요
    • 코멘트
  • [왕은철의 스토리와 치유]〈37〉폭력을 읽히는 폭력

    [왕은철의 스토리와 치유]〈37〉폭력을 읽히는 폭력

    이 세상의 많은 아이들은 매를 맞고 산다. 학교에서도 맞고 집에서도 맞는다. ‘어린이 체벌종식 글로벌 이니셔티브(GIEACPC)’에 따르면 2018년 기준으로 195개국 중 53개국만이 체벌을 전면적으로 금지하고,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체벌을 허용한다. ‘사랑의 매’에 관대한 편인 우리…

    • 2018-05-09
    • 좋아요
    • 코멘트
  • [왕은철의 스토리와 치유]〈36〉‘광장’으로부터의 해방

    [왕은철의 스토리와 치유]〈36〉‘광장’으로부터의 해방

    여기에 한 젊은이가 있다. 그는 나라가 둘로 나뉘어 서로에게 총부리를 겨누던 전쟁에서 포로가 된다. 전쟁이 끝나지만 진퇴양난이다. 자신이 온 곳으로 돌아가자니 “제국주의자들의 균을 묻혀 가지고 온 자”라는 따가운 시선을 받으며 고초를 겪을 일이 두렵고, 그렇다고 이곳에 남자니 이곳은 …

    • 2018-05-02
    • 좋아요
    • 코멘트
  • [왕은철의 스토리와 치유]〈35〉수세미의 교훈

    [왕은철의 스토리와 치유]〈35〉수세미의 교훈

    “여러분의 교육에 대해 이런저런 말들을 많이 하지만, 어린 시절부터 간직한 아름답고 성스러운 추억이야말로 가장 훌륭한 교육이 될 것입니다. 인생에서 그런 추억을 많이 갖게 된다면 그 사람은 평생토록 구원받은 셈입니다.”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의 마지막 장에서 주인공 알료샤가 친구의 …

    • 2018-04-25
    • 좋아요
    • 코멘트
  • [왕은철의 스토리와 치유]〈34〉비통한 마음 담긴 ‘곡자’

    [왕은철의 스토리와 치유]〈34〉비통한 마음 담긴 ‘곡자’

    예술은 상처를 안으로 가둬 다독이는 묘한 속성을 갖고 있다. 자기만의 형식, 즉 일종의 질서를 갖고 삶이 가진 무질서에 대응하기에 가능한 일이다. 문학, 그림, 음악, 조각, 무용 등은 형식의 예술이어서 삶의 혼란과 소용돌이, 상처를 그 형식 안에 가둔다. 그러다 보면 휘청거리는 삶도…

    • 2018-04-18
    • 좋아요
    • 코멘트
  • [왕은철의 스토리와 치유]<33>한국어의 상처

    [왕은철의 스토리와 치유]<33>한국어의 상처

    해시태그는 ‘해시(#)’와 ‘태그(tag)’를 결합한 복합어로, 특정한 단어나 문구 앞에 #를 붙여 게시물을 쉽게 분류하고 검색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을 가리킨다. 2007년부터 통용되기 시작하더니 이제는 세계적인 공통어가 되었다. 그런데 프랑스 정부는 그 말이 사용된 지 수년이 지난…

    • 2018-04-11
    • 좋아요
    • 코멘트
  • [왕은철의 스토리와 치유]〈32〉천국의 눈물 문

    [왕은철의 스토리와 치유]〈32〉천국의 눈물 문

    팔레스타인인들에게 3월 30일은 ‘욤 알아르디’ 즉 ‘땅의 날’이다. 이스라엘이 유대인 정착촌 건설을 위해 땅을 몰수하기 시작하자, 팔레스타인인들이 파업과 시위로 맞서며 저항했던 1976년 3월 30일을 기리는 ‘땅의 날’. 올해는 공교롭게도 그날이 예수의 십자가 수난일인 ‘성금요일’…

    • 2018-04-04
    • 좋아요
    • 코멘트
  • [왕은철의 스토리와 치유]〈31〉묵자의 절장(節葬)

    [왕은철의 스토리와 치유]〈31〉묵자의 절장(節葬)

    공자는 장례의 도(道)에 다소 과도하게 집착했다. 그의 십대제자, 즉 공문십철(孔門十哲) 중 하나인 재아(宰我)가 부모의 3년상이 너무 긴 것 같으니 1년으로 줄이자고 제안하자, 불같이 화를 낸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어질지 못한 자로구나. 자식은 모름지기 태어났을 때부터 3년이 …

    • 2018-03-28
    • 좋아요
    • 코멘트
  • [왕은철의 스토리와 치유]〈30〉불귀신의 사랑

    [왕은철의 스토리와 치유]〈30〉불귀신의 사랑

    신라 선덕여왕과 관련해서 사람들의 귀를 솔깃하게 하는 설화가 많은데, 그중 하나가 짝사랑의 아픔에 관한 이야기다. ‘태평통재’ ‘대동운부군옥’ ‘삼국유사’에 나오는 이야기를 종합하면 그 사랑의 전모는 이렇다. 지귀(志鬼)라는 이름의 역인(驛人)이 있었다. 그는 아름다운 선덕여왕을 …

    • 2018-03-21
    • 좋아요
    • 코멘트
  • [왕은철의 스토리와 치유]〈29〉‘아버지의 눈’

    [왕은철의 스토리와 치유]〈29〉‘아버지의 눈’

    세계적인 기타리스트이자 가수 에릭 클랩턴이 부른 ‘아버지의 눈’(My Father‘s Eyes)은 애절한 노래다. 단 한 번도 만난 적이 없는 아버지를 노래하고 있어서 더욱 그렇다. 그가 열여섯 살의 미혼모에게서 태어났을 때, 제2차 세계대전 중 영국에 주둔하던 캐나다 병사였던 아…

    • 2018-03-14
    • 좋아요
    • 코멘트
  • [왕은철의 스토리와 치유]〈28〉가해자의 상처

    [왕은철의 스토리와 치유]〈28〉가해자의 상처

    1945년에 있었던 빌헬름 구스틀로프호 사고는 지금까지 있었던 해양사고 중에서 가장 큰 사고였다. 9000명이 넘게 죽었고 그중에 절반 이상이 아이들이었다. 그럼에도 사람들은 영화로 만들어진 1912년의 타이타닉호 사고에 대해서는 알지만, 그보다 희생자가 대여섯 배 많았던 그 사고에 …

    • 2018-03-07
    • 좋아요
    • 코멘트
  • [왕은철의 스토리와 치유]〈27〉‘난중일기’와 꿈

    [왕은철의 스토리와 치유]〈27〉‘난중일기’와 꿈

    꿈은 과거와 현재, 미래와 관련하여 우리의 무의식이 그려내는 일종의 은밀한 그림이다. 이순신 장군은 그것에 민감하게 반응한 사람이었다. ‘난중일기’를 보면 이곳저곳에 꿈 이야기가 나오는데, 그는 꿈을 꿀 때마다 그것이 무슨 의미인지 알아보려고 했다. 1597년 10월 14일자 일기에도…

    • 2018-02-28
    • 좋아요
    • 코멘트
  • [왕은철의 스토리와 치유]〈26〉모순에 갇힌 타자의 철학자

    [왕은철의 스토리와 치유]〈26〉모순에 갇힌 타자의 철학자

    말과 행동이 어긋나는 모순, 이것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울 수 있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은 듯하다. ‘타자의 철학자’라 불리는 에마뉘엘 레비나스조차도 예외가 아니니까. 그가 누구인가. “나는 생각한다. 따라서 존재한다”라는 철학자 데카르트의 말을 공박하며 그 말 속에 들어 있는 자기…

    • 2018-02-21
    • 좋아요
    • 코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