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 포인트

연재

동행

기사 8

구독 0

날짜선택
  • 이영애, 사할린 귀국 동포-독립운동가 후손 돕기에 2000만원 기부[동행]

    이영애, 사할린 귀국 동포-독립운동가 후손 돕기에 2000만원 기부[동행]

    배우 이영애 씨(사진)가 일제 강점기 강제동원됐던 사할린 동포와 형편이 어려운 독립 운동가 후손을 위해 써달라며 동아일보-대한적십자사 디지털콘텐츠 공동기획 프로젝트 ‘동행’에 2000만 원을 기부했다.5일 대한적십자사 등에 따르면 이 씨는 “일제 강점기 때 일어난 희생과 고통을 입은 …

    • 2024-11-08
    • 좋아요
    • 코멘트
  • 형제애로 마련한 400억…감사 전한 튀르키예[동행]

    형제애로 마련한 400억…감사 전한 튀르키예[동행]

    지난해 2월 6일, 튀르키예 동남부 가지안테프에서는 규모 7.8, 연이어 카흐라만마라쉬에서 규모 7.5 지진이 발생했습니다. 사망자는 무려 5만 명, 부상자도 11만 명에 달했습니다. 워낙 피해가 큰 탓에 21세기 최악의 재난 중 하나라는 말이 나왔죠. 전문가들은 참상을 극복하는 데만…

    • 2024-11-02
    • 좋아요
    • 코멘트
  • 그들이 유럽으로 향하는 이유…난민에게 직접 듣다[동행]

    그들이 유럽으로 향하는 이유…난민에게 직접 듣다[동행]

    불가리아는 튀르키예과 국경을 맞댄 곳으로, 흔히 유럽의 관문으로 불리죠. 긴 내전을 겪는 시리아 난민들이 인근 국가가 아닌 곳을 향할 때 먼저 찾게 되는 곳이기도 합니다. 지난달 찾은 불가리아 하르만리 난민 센터. 불가리아 동쪽 끝에 위치한 이곳에는 약 1000여명의 난민이 살고 있습…

    • 2024-11-01
    • 좋아요
    • 코멘트
  • “한국은 우릴 잊지 않았습니다” 참전용사 손녀가 감격한 이유[동행]

    “한국은 우릴 잊지 않았습니다” 참전용사 손녀가 감격한 이유[동행]

    1956년 초, 스물다섯 튀르키예군 부사관 한 명이 전쟁 뒤 폐허가 된 한국 땅에 내렸다. 유엔군이 6·25 전쟁 후 남아서 전후 복구 작업과 대북 감시 업무를 수행할 때다. 그는 한국에 파견 보낼 인력을 모집하자 자원했다. 한국은 세계인의 눈에 여전히 전쟁 불씨가 남은 곳이었다. 그…

    • 2024-10-26
    • 좋아요
    • 코멘트
  • 깊은 상처 안고 돌아온 고국, 따뜻한 희망의 한끼[동행]

    깊은 상처 안고 돌아온 고국, 따뜻한 희망의 한끼[동행]

    동아일보 ‘동행’ 캠페인…도움의 손길 필요한 이들을 찾다지난달 25일 인천 연수구 인천사할린동포복지회관에서 가장 눈에 띈 건 한산한 복도였습니다. 이곳에는 영주 귀국한 사할린 동포 72명이 거주하고 계시는데요, 거주자들의 평균 연령은 85세로 고령입니다. 그렇다 보니 거동이 쉽지 않은…

    • 2024-08-23
    • 좋아요
    • 코멘트
  • 고려인, 피란민으로 살아간다[동행]

    고려인, 피란민으로 살아간다[동행]

    “딸과 손자가 겁에 질려서 지하실에 숨었다네요. 집 근처에서 폭발이 일어나고요.”2022년 2월, 국내 고려인 사회는 혼란에 빠집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소식 때문입니다. 당시 국내에 머물던 우크라이나 국적 고려인들은 2418명. 가족들을 먹여 살리기 위해 주로 식당이나 공사 현…

    • 2024-08-09
    • 좋아요
    • 코멘트
  • 끌려간 영하 24도의 섬…돌아오지 못한 사람들[동행]

    끌려간 영하 24도의 섬…돌아오지 못한 사람들[동행]

    일제강점기 많은 분이 강제징용과 수탈로 인한 궁핍 등의 이유로 고향 땅을 떠나야만 했습니다. 광복 후 어렵사리 조국으로 돌아왔지만 아픈 몸으로 어렵게 살아가기도 합니다. 내 나라가 없을 때, 보호받지 못했던 분들의 상처가 아물지 않은 채로 이어지고 있습니다.8월 15일 광복절을 앞두고…

    • 2024-08-08
    • 좋아요
    • 코멘트
  • 79년째 끝나지 않는 고통…원폭 피해자 10명 중 1명은 한국인[동행]

    79년째 끝나지 않는 고통…원폭 피해자 10명 중 1명은 한국인[동행]

    경남 합천군에 사는 이수용 할머니는 1928년생. 올해로 아흔여섯입니다. 이젠 몸이 약해져서 귀가 잘 들리지 않는다고, 방금 무슨 질문이었냐고 되물으며 기자 쪽을 향했습니다.“아, 그날을 기억하느냐고요?”그날. 1945년 8월 6일. 일본 히로시마. 녹아내린 도로와 건물. 불에 탄 채…

    • 2024-08-07
    • 좋아요
    • 코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