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 포인트

연재

딥다이브

읽다 보면 빠져드는 경제뉴스, 딥다이브는 뉴스레터로도 만날 수 있습니다. 매주 화, 금요일 오전 8시에 찾아갑니다.

기사 336

구독 307

인기 기사

날짜선택
  • 나스닥 5일 연속 하락…넷플릭스는 ‘깜짝 실적’ 발표[딥다이브]

    나스닥 5일 연속 하락…넷플릭스는 ‘깜짝 실적’ 발표[딥다이브]

    뉴욕증시에서 대형주 위주의 S&P500과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가 5거래일 연속 하락했습니다. 연준 인사의 매파적 발언이 이어지면서 금리 인상이 미뤄질 수 있다는 우려를 자극했기 때문인데요. 18일(현지시간) S&P500은 0.22%, 나스닥지수는 0.52% 하락했고…

    • 2024-04-19
    • 좋아요
    • 코멘트
  • 값싼 플라스틱의 공습…이 산업이 위험해 보인다[딥다이브]

    값싼 플라스틱의 공습…이 산업이 위험해 보인다[딥다이브]

    플라스틱이 넘쳐나는 시대입니다. 환경 이야기냐고요? 아니, 산업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플라스틱을 생산하는 석유화학 공장이 유례없이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습니다. 글로벌 플라스틱 시장의 공급과잉이 위험수준이란 경고음이 커지는데요.왜 플라스틱 공장은 빠르게 커지고 있을까요. 더 많은 플…

    • 2024-04-17
    • 좋아요
    • 코멘트
  • 국채금리 왜 이래…나스닥 1.8% 급락[뉴욕증시]

    국채금리 왜 이래…나스닥 1.8% 급락[뉴욕증시]

    국채 금리가 뛰면서 뉴욕증시가 일제히 하락 마감했습니다. 15일(현지시간) S&P500은 1.2% 하락해 5100선 아래로 밀려났고요. 다우지수는 0.65%, 나스닥지수는 1.79% 하락으로 거래를 마쳤습니다.변동성이 심한 날이었습니다. 이날 증시는 상승세로 출발했죠. 주말 사…

    • 2024-04-16
    • 좋아요
    • 코멘트
  • AI=반도체+구리? AI발 전력위기가 다가온다[딥다이브]

    AI=반도체+구리? AI발 전력위기가 다가온다[딥다이브]

    인공지능(AI)과 에너지. 요즘 가장 큰 관심 산업 분야가 아닐까 싶은데요. 이 둘이 결합되기 시작했습니다. ‘AI발 전력 부족’이 전 세계적 이슈로 떠오른 겁니다.‘전기 인프라 혁명이 시작됐다’는 이야기는 사실 오래됐죠. 지난해 8월 딥다이브에서 소개한 적도 있고요. 당시엔 ‘탄소제…

    • 2024-04-13
    • 좋아요
    • 코멘트
  • 애플 4% 급등, 아마존 신고가…‘매그니피센트 7’이 돌아왔다[딥다이브]

    애플 4% 급등, 아마존 신고가…‘매그니피센트 7’이 돌아왔다[딥다이브]

    빅7 대형 기술주가 모처럼 일제히 상승하며 증시를 밀어 올렸습니다. 11일(현지시간) 다우지수는 0.01% 하락했지만, S&P500은 0.74%, 나스닥은 1.68% 올랐는데요. 나스닥 지수는 사상 최고 기록을 경신했습니다.‘매그니피센트 7’로 불리는 7개 종목(MS·애플·아마존·알파…

    • 2024-04-12
    • 좋아요
    • 코멘트
  • “AI 발전 걸림돌은 전기 부족”… 전력망 확충 전세계 비상 [딥다이브]

    “AI 발전 걸림돌은 전기 부족”… 전력망 확충 전세계 비상 [딥다이브]

    “인공지능(AI) 발전을 제약하는 건 변압기와 전력 공급이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최근 발언이다. AI 기술 발전 속도를 지금의 전력망이 감당하기엔 역부족이란 뜻이다. 그의 경고대로 AI발 전력 부족 사태가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AI 열풍이 몰고 온 전력 …

    • 2024-04-11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사우디가 돈이 부족하다고? 네옴시티 야망이 주춤한 이유[딥다이브]

    사우디가 돈이 부족하다고? 네옴시티 야망이 주춤한 이유[딥다이브]

    홍해 바다에서 사막을 향해 일직선으로 뻗어나가는 반짝이는 거대한 벽. 사우디아라비아의 야심 찬 신도시 프로젝트 ‘네옴(NEOM)’의 주거지구 ‘더 라인(The Line)’ 조감도를 기억하시나요.최근 이 더 라인과 관련해 엇갈린 소식이 들려옵니다. 한편에서는 성공적으로 공사가 착착 진행…

    • 2024-04-10
    • 좋아요
    • 코멘트
  • 테슬라 5% 뛰었다…국채금리 상승에 뉴욕증시는 보합[딥다이브]

    테슬라 5% 뛰었다…국채금리 상승에 뉴욕증시는 보합[딥다이브]

    뉴욕증시가 거의 변동 없이 마감했습니다. 소비자물가지수 발표를 앞두고 투자자들이 신중한 모습입니다. 8일(현지시간) 다우지수와 S&P500은 각각 0.03%와 0.04% 하락, 나스닥지수는 0.03% 상승으로 거래를 마쳤습니다.국채금리 상승이 이날 주식시장을 억눌렀습니다. 미 국채 1…

    • 2024-04-09
    • 좋아요
    • 코멘트
  • 132년 역사 GE의 쇠퇴와 잭 웰치 유산의 끝[딥다이브]

    132년 역사 GE의 쇠퇴와 잭 웰치 유산의 끝[딥다이브]

    미국 대기업 제너럴일렉트릭(GE)이 창립 132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졌습니다. 4월 3일 자로 3개 회사로의 분사(GE에어로스페이스, GE버노바, GE헬스케어)가 완료됐기 때문입니다. 주식시장에서 ‘GE’라는 티커명은 GE에어로스페이스가 물려받긴 하는데요. 회사 이름이 ‘제너럴일렉…

    • 2024-04-06
    • 좋아요
    • 코멘트
  • 금리인하 신중론에 뉴욕증시 1%대 급락[딥다이브]

    금리인하 신중론에 뉴욕증시 1%대 급락[딥다이브]

    뉴욕증시 3대 지수가 일제히 1% 넘게 하락했습니다. 연준의 금리 인하가 미뤄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입니다. 4일(현지시간) 다우지수는 1.35%, S&P500 1.23%, 나스닥지수는 1.40% 하락으로 거래를 마쳤죠.장 초반엔 주간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예상치를 웃돌면서 증…

    • 2024-04-05
    • 좋아요
    • 코멘트
  • 전기저항 0, 전자파도 없다…초전도케이블은 꿈의 전선일까[딥다이브]

    전기저항 0, 전자파도 없다…초전도케이블은 꿈의 전선일까[딥다이브]

    초전도체를 아십니까. 지난해 여름 국내 주식시장을 아주 뜨겁게 달궜던 테마였죠. 초전도체가 ‘전기저항이 0’인 물질이라는 건 이미 아는 사람이 많을 겁니다. 도대체 전기저항이 0이라는 게 어떤 의미일까요. 그게 왜 그렇게 대단할까요. 초전도체 열풍이 지나간 이후이지만 궁금증은 남는데요…

    • 2024-04-03
    • 좋아요
    • 코멘트
  • 제조업이 왜 이리 강하지…국채금리 뛰고 뉴욕증시 혼조세[딥다이브]

    제조업이 왜 이리 강하지…국채금리 뛰고 뉴욕증시 혼조세[딥다이브]

    미국 국채 금리가 뛰면서 뉴욕증시가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 1일(현지시간) 다우지수와 S&P500은 각각 0.60%와 0.20% 하락으로 거래를 마쳤습니다. 나스닥지수는 0.11% 상승했습니다.이날 시장은 지난주 금요일에 나온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라디오 인터뷰 발언에 주목했…

    • 2024-04-02
    • 좋아요
    • 코멘트
  • 부유하지만 이민자는 싫어…네덜란드 ‘부의 역설’[딥다이브]

    부유하지만 이민자는 싫어…네덜란드 ‘부의 역설’[딥다이브]

    성매매·안락사·동성애 결혼을 합법화한 관용의 나라, 종교박해를 피해온 위그노를 받아들인 자유의 나라, 세계 최초 다국적 기업 동인도회사를 탄생시킨 세계화 원조 국가. 어디인지 아시겠죠? ‘세계에서 가장 개방된 부자 나라’로 불려 온 네덜란드입니다.이런 네덜란드가 요즘 급격하게 반이민 …

    • 2024-03-30
    • 좋아요
    • 코멘트
  • S&P500, 1분기 10% 올랐다…5년 만에 최고[딥다이브]

    S&P500, 1분기 10% 올랐다…5년 만에 최고[딥다이브]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나란히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28일(현지시간) 다우지수는 0.12%, S&P500은 0.11% 상승으로 거래를 마쳤고요. 나스닥지수는 0.12% 하락 마감했습니다. 29일 뉴욕증시가 휴장이라서, 이날이 1분기의 마지막 거래일이었는데요.…

    • 2024-03-29
    • 좋아요
    • 코멘트
  • 中 공급과잉이 낳은 ‘유통 교란종’ 테무… 1년반만에 50개국 상륙 [딥다이브]

    中 공급과잉이 낳은 ‘유통 교란종’ 테무… 1년반만에 50개국 상륙 [딥다이브]

    불과 1년 반 만에 전 세계 50개국에 진출한 온라인 쇼핑몰이 있다. 중국 쇼핑 플랫폼 테무(Temu). 초저가와 무료 배송, 광고 공세로 한국은 물론이고 미국·유럽 유통 시장까지 뒤흔든다. 중국 공급 과잉 시대가 탄생시킨 생태 교란종에 대한 경계심이 커지고 있다.● 파격 초저가로 충…

    • 2024-03-28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