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날짜선택
    • 역대 네 번째 ‘류현진 패전→4연승’…두 번째 ‘류승승승승승’ 이어질까 [데이터 비키니]

      역대 네 번째 ‘류현진 패전→4연승’…두 번째 ‘류승승승승승’ 이어질까 [데이터 비키니]

      지금껏 세 번밖에 없던 기록이다. 기준에 따라 한 번밖에 없던 기록이기도 하다.류현진(37·한화)은 23일 서울 잠실구장에서 열린 2024 프로야구 개막전에서 LG를 상대로 3과 3분의 2이닝 5실점(2자책점)으로 패전투수가 됐다.볼넷을 3개 내주는 동안 삼진은 하나도 잡지 못했다.류…

      • 2024-03-29
      • 좋아요
      • 코멘트
    • 400년이 지나도 감동을 주는 그림 속 아기의 손짓[영감 한 스푼]

      400년이 지나도 감동을 주는 그림 속 아기의 손짓[영감 한 스푼]

      오늘 뉴스레터는 ‘프란스 할스’ 회고전 큐레이터 인터뷰 마지막편입니다. 프리소 라메르처에게 가장 마음에 드는 작품을 골라달라고 했을 때 그는 위의 어린 아기가 그려진 그림을 이야기했습니다.그러면서 우리가 그림에서 기대하는 감동은 무엇인지, 또 수백 년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 것은 무엇인…

      • 2024-03-29
      • 좋아요
      • 코멘트
    • 주체 못 할 봄기운[이준식의 한시 한 수]〈257〉

      주체 못 할 봄기운[이준식의 한시 한 수]〈257〉

      푸른 이끼 위에 나막신 자국이 찍힐까 봐서인가.가만가만 사립문을 두드려 보지만 오래도록 열리지 않는다.뜰 가득한 봄기운이야 막을 수 있을쏜가.발간 살구꽃 가지 하나가 담장을 넘어섰다.(應憐屐齒印蒼苔, 小扣柴扉久不開. 春色滿園關不住, 一枝紅杏出墻來.)―‘화원 구경을 놓치다(유원불치·遊園…

      • 2024-03-28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서울부터 구례까지, 피어나는 꽃들 [여행의 기분]

      서울부터 구례까지, 피어나는 꽃들 [여행의 기분]

      동아일보 뉴스레터 ‘여행의 기분’ 입니다.동아일보가 간추린 이 계절 여행지 소식. 매주 만나보세요.이번 주 선별한 여행지1. “서울의 숨겨진 ‘봄꽃 명소’ 놀러 오세요” (서울 자치구별 봄꽃축제)망우리 공동묘지로 불리던 곳, 지금은 봄꽃 명소가 됐습니다. 독립유공자 묘역 주변으로 구청…

      • 2024-03-28
      • 좋아요
      • 코멘트
    • 세월 밖의 풍경에서 만난 생명의 우주[전승훈의 아트로드]

      세월 밖의 풍경에서 만난 생명의 우주[전승훈의 아트로드]

      선화가(禪畵家)인 허허당(虛虛堂)은 그림 그리는 스님입니다. 2012년 경북 포항시 죽장면 비학산 자락 산골마을에 있는 그의 암자에 찾아간 적이 있었습니다. 개울 물 앞에 있는 11평짜리 단칸방 암자에는 ‘휴유암(休遊庵)’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었습니다. ‘쉬면서 노는 암자’라는 뜻입…

      • 2024-03-28
      • 좋아요
      • 코멘트
    • 마츠다 부장 “유명세 아직도 적응 안돼… 한일 교류 넓히는 영상 찍고파”[일본의 K유튜버]

      마츠다 부장 “유명세 아직도 적응 안돼… 한일 교류 넓히는 영상 찍고파”[일본의 K유튜버]

      일본에서 태어났지만 한국에서 초중고를 나오고 군대까지 다녀왔다. 이후 일본으로 돌아와 대학을 나왔고 직장도 일본에서 잡아 30년 가까이 일본에서 살고 있는 일본 국적자다. 하지만 그는 일본에서보다 한국에서 더 유명하다. 오사카의 어스름한 퇴근길, 후미진 골목 노포를 찾아가 야끼도리(닭…

      • 2024-03-28
      • 좋아요
      • 코멘트
    • “식자우환의 고통, 내 자식은 모르길…”

      “식자우환의 고통, 내 자식은 모르길…”

      중국 풍습에 아이가 태어난 지 3일째 되는 날 사람들을 초대해 잔치를 베풀며 아이의 몸을 씻기는 것을 ‘세아(洗兒)’라고 한다. 송나라 소식(蘇軾)도 늦둥이 아들의 목욕 모임을 기념하여 다음 시를 썼다. 아이가 총명하길 바라는 것은 부모의 인지상정이지만 시인은 반대로 어리석길 바랐…

      • 2024-03-28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尹, ‘명동밥집’에서 김치찌개 조리 후 배식 [청계천 옆 사진관]

      尹, ‘명동밥집’에서 김치찌개 조리 후 배식 [청계천 옆 사진관]

      윤석열 대통령이 27일 오전 서울 명동성당 내 ‘명동밥집’을 찾아 무료 급식 봉사활동을 했다. 윤 대통령의 이곳 방문은 당선인 시절 2022년 3월, 취임 후 같은 해 9월 방문에 이어 이번이 3번째다. 윤 대통령은 오전 10시 30분에 ‘명동밥집’에 도착했다. 이후 앞치마와 위생모 …

      • 2024-03-27
      • 좋아요
      • 코멘트
    • MLB 시범경기 타율 ≥ 0.488 → 개막 로스터 탈락 = 박효준 10년새 두 번째[데이터 비키니]

      MLB 시범경기 타율 ≥ 0.488 → 개막 로스터 탈락 = 박효준 10년새 두 번째[데이터 비키니]

      시범경기 타율 0.488도 부족했던 모양입니다.박효준(27)이 결국 마이너리그 AAA에서 2024시즌을 시작합니다.스토브리그 기간 오클랜드와 마이너리그 계약을 맺은 박효준은 초청 선수 신분으로 미국프로야구 메이저리그(MLB) 스프링캠프에 참가했습니다.그리고 시범경기에서 43타수를 기록…

      • 2024-03-27
      • 좋아요
      • 코멘트
    • 아버지의 성경과 아들의 소설책[영감 한 스푼]

      아버지의 성경과 아들의 소설책[영감 한 스푼]

      노랗게 이글거리며 타오르는 해바라기와 귀를 자르는 기행, 그리고 평생 한 점의 작품밖에 팔지 못했던 비운의 예술가. 빈센트 반 고흐(1853∼1890)를 생각할 때 우리가 흔히 떠올리는 이야기들입니다. 그러나 고흐의 작품 세계를 더 깊이 들여다보면 그를 이렇게 오랜 시간 사랑받게 하는…

      • 2024-03-25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아이돌의 시대, 도화살(桃花煞)은 정말 나쁜가[내 팔자가 궁금해]

      아이돌의 시대, 도화살(桃花煞)은 정말 나쁜가[내 팔자가 궁금해]

      ‘여자 팔자 뒤웅박 팔자’ 우리나라 옛 속담입니다. 뒤웅박이란 요즘은 잘 사용하지 않는데, 박을 타지 않고 꼭지 부분만 손이 들어갈 정도만 도려내 말린 바가지의 일종입니다. 그 안에 쌀 같이 귀한 것도 넣고 여물같은 별볼일 없는 것을 넣어두기도 합니다. 여자 팔자는 주체적인 운명이 따…

      • 2024-03-25
      • 좋아요
      • 코멘트
    • ‘미(美)의 역사’를 식물과 전시로 읽는다[김선미의 시크릿가든]

      ‘미(美)의 역사’를 식물과 전시로 읽는다[김선미의 시크릿가든]

      연분홍색 서향(瑞香)이 피어나 미니 온실을 그윽한 향기로 가득 채웠다. 봄의 전령사인 노란색 풍년화와 수선화도 피었다. 조만간 목련과 작약도 만발할 것이다. 이곳은 경기 오산시 가장산업단지 아모레 뷰티파크 안에 있는 아모레퍼시픽 원료식물원이다.●“아름다움이 세상을 변화시킨다”식물원을 …

      • 2024-03-25
      • 좋아요
      • 코멘트
    • “사람도 꽃처럼 돌아온다면 얼마나 좋겠습니까”[전승훈의 아트로드]

      “사람도 꽃처럼 돌아온다면 얼마나 좋겠습니까”[전승훈의 아트로드]

      매화는 벚꽃보다 일찍 피어나 봄을 알린다. 조선시대 선비들은 추운 겨울부터 꽃을 피워내는 매화를 절개의 상징으로 보고 사랑했다. 국내에는 수많은 매화나무가 있겠지만, 사람들이 귀하게 여기는 매화는 수령이 수백 년 된 고목(古木)에서 피어난 꽃이다. 전남 구례와 곡성의 봄꽃이 흐드러진 …

      • 2024-03-24
      • 좋아요
      • 코멘트
    • 졸업식에서 학사모 던지는 사진은 언제부터 찍기 시작했을까?[청계천 옆 사진관]

      졸업식에서 학사모 던지는 사진은 언제부터 찍기 시작했을까?[청계천 옆 사진관]

      누구나 스마트폰 카메라로 가족과 풍경을 멋지게 찍을 수 있는 시대입니다. 사진이 넘쳐나는 오늘을 살면서, 100년 전 신문에 실렸던 흑백사진을 한 장씩 살펴봅니다. 독자들의 댓글을 통해 우리 이미지의 원형을 찾아가는 여정이기도 합니다.오늘 소개드릴 사진은 1924년 3월 22일 자 동…

      • 2024-03-23
      • 좋아요
      • 코멘트
    • 사람도 꽃처럼 돌아온다면야… [전승훈 기자의 아트로드]

      사람도 꽃처럼 돌아온다면야… [전승훈 기자의 아트로드]

      매화는 벚꽃보다 일찍 피어나 봄을 알린다. 조선시대 선비들은 추운 겨울부터 꽃을 피워내는 매화를 절개의 상징으로 보고 사랑했다. 국내에는 수많은 매화나무가 있겠지만, 사람들이 귀하게 여기는 매화는 수령이 수백 년 된 고목(古木)에서 피어난 꽃이다. 전남 구례와 곡성의 봄꽃이 흐드러진 …

      • 2024-03-23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