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짜선택
  • 창고에 잠자는 소장품, 세상 밖으로

    창고에 잠자는 소장품, 세상 밖으로

    서울시가 2028년까지 서초구 옛 국군정보사령부 부지에 ‘보이는 수장고’(가칭)를 조성하기로 했다. 박물관 및 미술관의 소장품을 저장하는 수장고를 열린 공간으로 지어 새로운 문화 랜드마크로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모든 소장품 공개하는 ‘열린 수장고’ 서울시는 12일 서초구 옛 정보사 …

    • 2023-09-13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고창 고인돌유적, ‘신규 고인돌’ 5기 등 45기 유구 추가 발견

    고창 고인돌유적, ‘신규 고인돌’ 5기 등 45기 유구 추가 발견

    전북 고창의 세계유산 고인돌 유적의 2차 시굴조사 과정 중 신규 고인돌 등 다수의 유구가 추가 확인됐다. 11일 고창군에 따르면 문화재청과 전북도의 지원을 받아 지난해부터 고인돌이 집중 분포된 범위에 대해 시굴조사를 진행중이다. 조사면적 12만6000㎡ 중 5코스 일원의 6만5000…

    • 2023-09-11
    • 좋아요
    • 코멘트
  • 중세 古都 마라케시, 문화유산 피해 속출

    중세 古都 마라케시, 문화유산 피해 속출

    8일(현지 시간) 발생한 모로코 강진으로 세계적 관광지인 중세 고도(古都) 마라케시의 문화유산에도 피해가 속출했다. 마라케시는 진앙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도시다. 유네스코 마그레브 사무소는 9일 “마라케시 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을 2시간가량 둘러본 결과 인명 구조와 동시에 문화유산 보…

    • 2023-09-11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800년 타임머신 타고 온 고려 나전칠기…4만5천번 정성에 ‘감동’

    800년 타임머신 타고 온 고려 나전칠기…4만5천번 정성에 ‘감동’

    일본인 소장가의 창고에서 100년 이상 보관됐던, 그동안 학계에도 전혀 알려지지 않았던 고려 나전칠기 하나가 고국으로 돌아왔다. 문화재청은 6일 오전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을 통해 일본에서 환수한 고려 나전칠기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를 언론에 공개했다. 나전칠기는 자개…

    • 2023-09-06
    • 좋아요
    • 코멘트
  • “일제가 옮긴 원랑선사 탑비, 고향 제천으로” 반환운동 점화

    “일제가 옮긴 원랑선사 탑비, 고향 제천으로” 반환운동 점화

    일제강점기 충북 제천에서 경복궁을 거쳐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겨진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를 102년 만에 다시 제천으로 옮겨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6일 제천시 등에 따르면 제천시와 지역구 엄태영 국회의원, 충북도·제천시 의원, 지역 시민단체 등이 참여한 ‘제천 월광사 원…

    • 2023-09-06
    • 좋아요
    • 코멘트
  • 13세기 고려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 일본서 고국 품으로

    13세기 고려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 일본서 고국 품으로

    13세기에 제작된 고려 나전칠기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가 일본에서 돌아왔다. 문화재청은 “환수된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는 일본 개인 소장가 창고에서 100여 년 넘게 있던 유물로 최근까지 일본에서도 그 존재가 알려져 있지 않았다”며 “지난해 7월 재단의 일본 현지 네트워크에서 처음 …

    • 2023-09-06
    • 좋아요
    • 코멘트
  • 깊어지는 가을 밤에 ‘남한산성 산책’ 가볼까

    ‘2023 성남 문화재 야(夜)행’이 8∼10일 경기 성남시 남한산성 일대와 산성공원 놀이마당에서 펼쳐진다. 올해는 오후 6∼10시 ‘밤을 지키는 남한산성’을 주제로 열린다. △야화(夜畵) △야경(夜景) △야로(夜路) △야사(夜史) △야설(夜說) △야식(夜食) △야시(夜市) 등 7개 …

    • 2023-09-06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조선 희귀본 ‘입학도설’ ‘맹자언해’ 경북도 유형문화재 지정 예고

    조선 희귀본 ‘입학도설’ ‘맹자언해’ 경북도 유형문화재 지정 예고

    경북 예천박물관 소장유물인 ‘입학도설(入學圖說)’과 ‘맹자언해(孟子諺解)’가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 예고됐다. 1일 군에 따르면 ‘입학도설’은 고려말~조선초 문신이자 학자인 권근(權近, 1352~1409)이 저술한 책이다. 성리학을 처음 공부하는 사람을 위해 기본적인 원리를 도…

    • 2023-09-01
    • 좋아요
    • 코멘트
  • 육사 “홍범도 흉상, 육사 밖으로 이전” 공식 발표

    육사 “홍범도 흉상, 육사 밖으로 이전” 공식 발표

    육군사관학교가 교내에 설치된 독립운동가 6인의 흉상 가운데 홍범도 장군의 흉상만 독립기념관으로 이전한다고 31일 공식 발표했다. 또 나머지 5인의 흉상은 육사 교정 내 적절한 장소로 이전한다고 밝혔다. 5인 흉상은 육사 내 육군박물관에 재배치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검토되는 것으로 알려졌…

    • 2023-09-01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이순신 장군 동상 상공 수놓은 블랙이글스

    이순신 장군 동상 상공 수놓은 블랙이글스

    공군 특수비행팀 ‘블랙이글스’가 31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 이순신 장군 동상 상공을 비행하고 있다. 공군은 건군 75주년 국군의 날 축하 비행을 위해 예행연습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블랙이글스는 국산 초음속 고등훈련기 T-50B 8대를 기본 편대로 구성해 다양한 종류의 특수비행을 선…

    • 2023-09-01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이건희 유족 ‘서수상’ 기증… 광화문 월대 얼굴 되찾았다

    이건희 유족 ‘서수상’ 기증… 광화문 월대 얼굴 되찾았다

    고 이건희 삼성 선대회장 유족이 문화재청에 서수상(瑞獸像·상상 속 상서로운 동물상) 2점을 기증했다. 광화문 월대(月臺·궁궐 주요 건물의 품격을 높이기 위해 터보다 높게 쌓은 단)에서 임금이 다니던 어도(御道)의 첫머리를 장식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일제강점기였던 1923년 전차선로가 …

    • 2023-08-30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사자? 해치?… 광화문 월대 서수상(瑞獸像) 공개 [청계천 옆 사진관]

    사자? 해치?… 광화문 월대 서수상(瑞獸像) 공개 [청계천 옆 사진관]

    문화재청이 29일 서울 고궁박물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광화문 월대의 어도(御道·임금이 다니는 길) 첫머리를 장식했던 서수(瑞獸·상서로운 동물) 석조물을 공개했습니다. 고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의 유족이 기증한 것입니다.이 유물은 유족들이 2021년 고미술과 근현대 미술 작품 등 2만3천…

    • 2023-08-29
    • 좋아요
    • 코멘트
  • 이건희 회장 유족, 광화문 월대 어도 장식했던 석조각 두 점 국가에 기증

    이건희 회장 유족, 광화문 월대 어도 장식했던 석조각 두 점 국가에 기증

    고(故)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 유족 측이 광화문 월대 어도(임금이 다니는 길)의 가장 앞부분을 장식하던 서수상(瑞獸像, 상상 속 상서로운 동물상)으로 추정되는 석조각 두 점을 문화재청에 기증했다.문화재청은 현재 복원 중인 광화문 월대에 해당 석조각들을 활용하기로 했다며 29일 이같이 …

    • 2023-08-29
    • 좋아요
    • 코멘트
  • 춘천 소양로 6차로 확장 공사, 문화재 발견으로 작업 중단

    춘천 소양로 6차로 확장 공사, 문화재 발견으로 작업 중단

    춘천시 소양로 6차로 확장공사와 함께 진행되고 있는 상수도 매설공사 추진 중 문화재가 발견돼 발굴조사로 작업이 중단됐다. 28일 춘천시에 따르면 총 2.3km의 소양로 6차로 확장공사 구간 중 번개시장 일원의 0.5㎞ 구간에서 매장 문화재가 발견됐다. 당초 오는 9월1일부터 기…

    • 2023-08-28
    • 좋아요
    • 코멘트
  • [단독]간토대지진 조선인학살 묘사한 그림, 100년 만에 첫 공개

    [단독]간토대지진 조선인학살 묘사한 그림, 100년 만에 첫 공개

    “100년간 가까이 공개되지 않았던 조선인 학살 그림을 펼쳐보겠습니다.”26일 오후 일본 도쿄 신주쿠 고려박물관. 한일 문화 교류 뜻에 있는 시민들이 모금해 세운 민간 박물관인 이곳에서 의미 있는 이벤트가 열렸다. 간토(關東) 대지진 100년을 맞아 당시 조선인을 학살하는 장면이 담긴…

    • 2023-08-27
    • 좋아요
    • 코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