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짜선택
  • [동아광장/최진석]은유는 창조와 협력의 원동력

    [동아광장/최진석]은유는 창조와 협력의 원동력

    아리스토텔레스는 가장 탁월한 인간을 ‘은유하는 인간’이라 했다. 은유하는 인간이 인간 가운데 가장 세다는 말이다. 은유를 통해서만 인간은 창의적인 활동력으로 삶의 영토를 확장하고 세상을 윤택하게 할 수 있다. 삶의 영토를 확장하고 윤택하게 해주는 사람은 당연히 보통이나 일반을 넘어서서…

    • 2017-08-26
    • 좋아요
    • 코멘트
  • [동아광장/이정동]싱가포르와 홍콩, 두 도시 이야기

    [동아광장/이정동]싱가포르와 홍콩, 두 도시 이야기

    경제성장을 연구하는 경제학자들은 찰스 디킨스의 고전소설 ‘두 도시 이야기’ 제목을 빌려서 글자 그대로 두 도시에 대한 연구를 많이 했다. 홍콩과 싱가포르도 그중 하나다. 둘 다 1970년대 이래 눈부신 고도성장을 이룩했다. 이들은 항구도시로서 아시아의 무역 관문을 자처해 왔고 영어가 …

    • 2017-08-25
    • 좋아요
    • 코멘트
  • [동아광장/안세영]마오의 ‘功七過三’과 중국의 한반도 징크스

    [동아광장/안세영]마오의 ‘功七過三’과 중국의 한반도 징크스

    덩샤오핑(鄧小平), 마오쩌둥(毛澤東), 그리고 저우언라이(周恩來). 중국 젊은이들에게 ‘가장 존경하는 사람’이 누구냐고 물으면 어김없이 나오는 세 사람이다. 덩샤오핑은 풍요로운 삶을 가져왔고, 저우언라이는 자상한 아저씨 같으며 마오쩌둥은 신중국을 건설한 카리스마적 영웅이라는 것이다…

    • 2017-08-22
    • 좋아요
    • 코멘트
  • [동아광장/이종수]안중근家의 두 아픔

    [동아광장/이종수]안중근家의 두 아픔

    요즘의 대학은 도구적 지식을 만들어내는 공장과 같다. 가히 모든 종합대학을 이공대학으로 불러도 될 만큼 이공계의 비중이 크며, 연구와 교육도 현실의 유용성을 기준으로 평가한다. 연구비의 수주가 전공의 유용성을 가늠하는 척도로 간주되며, 인성 교육을 잘해야 한다는 말은 으레 가끔 하는 …

    • 2017-08-19
    • 좋아요
    • 코멘트
  • [동아광장/신세돈]일자리 정책 100일의 白中黑點

    [동아광장/신세돈]일자리 정책 100일의 白中黑點

    ‘국민의 위대한 선택’으로 출범한 문재인 정부가 100일이 되었다. 무엇보다 먼저 일자리를 챙기겠다던 취임사대로 100일 동안 정부의 경제정책은 일자리에 초점을 맞추었다. ‘일자리가 곧 복지’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대통령직속 일자리위원회’를 새로 구성하고 ‘일자리 100일 계획’을 발…

    • 2017-08-17
    • 좋아요
    • 코멘트
  • [동아광장/하준경]부동산 보유세 조정의 원칙

    [동아광장/하준경]부동산 보유세 조정의 원칙

    최근의 부동산 대책과 세제 개편안에는 부동산 보유세가 빠져 있다. 그러나 보유세는 집값 안정뿐 아니라 투자 활성화, 주거복지 등 주요 현안들의 핵심 연결고리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먼저 부동산을 둘러싼 거시경제 여건을 살펴보자. 지금 전 세계적으로 베이비붐 세대의 생애주기(life…

    • 2017-08-15
    • 좋아요
    • 코멘트
  • [동아광장/김용하]입체적 인구정책 수립 필요하다

    [동아광장/김용하]입체적 인구정책 수립 필요하다

    인구절벽 인구소멸 등 최근 출생아 수 감소에 따라 미래 한국에 대한 비관적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인구총량의 감소뿐만 아니라 인구구조가 급속히 고령화하고 있고, 인구감소가 선도적으로 전개되고 있는 지방의 소멸 우려도 제기된다. 2016년 합계출산율이 1.17 수준인 우리나라는 한때 아…

    • 2017-08-12
    • 좋아요
    • 코멘트
  • [동아광장/최재경]우리는 염라대왕의 심판을 원하는가?

    [동아광장/최재경]우리는 염라대왕의 심판을 원하는가?

    얼마 전 법원에서 조윤선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에게 일부 무죄와 집행유예를 선고하자 엄청난 비난과 공격이 있었다. 담당 법관이 라면 훔친 서민에게 실형을 선고하고 조 전 장관은 석방한 것이 그 남편과 사법연수원 동기였기 때문이라는 인신공격성 비난까지 있었지만 허위였다. 이 법관은 라면…

    • 2017-08-11
    • 좋아요
    • 코멘트
  • [동아광장/최강]한국 중심 외교의 부작용

    [동아광장/최강]한국 중심 외교의 부작용

    얼마 전 싱가포르에서 개최된 국제회의에 참가했다. 참석한 동남아 국가들의 전문가와 학자들은 한결같이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 직후 처음으로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아세안)에 특사를 보낸 것을 평가하며 문재인 정부에 대한 높은 기대감을 표시했다. 문 대통령은 강경화 외교부 장관에게 임…

    • 2017-08-08
    • 좋아요
    • 코멘트
  • [동아광장/박일호]AI가 그린 그림도 예술일까

    [동아광장/박일호]AI가 그린 그림도 예술일까

    전시장에 걸린 빨강 노랑 초록 등의 색 띠로 된 모리스 루이스의 그림을 보고 한 관객이 뛰쳐나가 평론가에게 달려갔다. “큰일 났습니다. 미술이 이렇게 단순해지면 결국 사라져 버리지 않을까요? 루이스의 그림은 우리 아이도 그릴 수 있는 그림이 되어버렸어요.” 이 말을 듣고 평론가가 묻고…

    • 2017-08-05
    • 좋아요
    • 코멘트
  • [동아광장/김진현]절절한 자강의 리더십

    [동아광장/김진현]절절한 자강의 리더십

    “(말씀을 주저하시며) 우리나라 사람은 자발적으로 무엇을 못 하는 성격이 있으니 그 방면을 장려하지 않고는 별 효과가 있을지 의문이다. 과거 개성상인 이외에는 일본인을 이기지 못했다. 미국이 공산주의를 막아내기 위한 대한(對韓) 원조도 계속하지는 않을 것이니 우리가 자립하지 않으면 노…

    • 2017-08-04
    • 좋아요
    • 코멘트
  • [동아광장/이정동]신체 나이와 경험 나이

    [동아광장/이정동]신체 나이와 경험 나이

    성공한 창업가가 되려면 몇 살에 시작하는 게 좋을까? 이 질문을 품고 창업의 천국이라고 하는 미국을 보면, 우선 실리콘밸리의 유명한 청년 창업가들이 금방 떠오른다. 페이스북 창업자는 20세에 시작했다. 마이크로소프트도 20세, 애플은 21세, 구글은 25세, 트위터와 아마존은 각각 나…

    • 2017-08-03
    • 좋아요
    • 코멘트
  • [동아광장/최진석]문재인 대통령, 고유함이 사라진다

    [동아광장/최진석]문재인 대통령, 고유함이 사라진다

    인간이 건설하는 문명세계는 세 층으로 되어 있다. 첫 층은 구체적이고 현상적이며, 주로 대포, 군함, 휴대전화, 컴퓨터, 자동차 등등의 제품들로 구성된다. 한 단계 높은 둘째 층은 공화제, 민주제, 지방분권, 중앙집권, 시장, 학교, 도시 등등으로 불리는 제도를 말한다. 셋째 층은 추…

    • 2017-08-01
    • 좋아요
    • 코멘트
  • [동아광장/이종수]중요한 건 권력의 자기혁신이다

    [동아광장/이종수]중요한 건 권력의 자기혁신이다

    문재인 정부가 최고 89%에서 최저 74%의 높은 지지율을 향유하는 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박근혜 정권의 비정상적 국정 운영에 염증을 느끼며 대통령의 부재를 경험한 국민들은 대통령이 제자리에 있는 걸 보는 것만으로도 안도감을 느낀다. 국민이 원하지 않는 것을 고집하며, 자신들이…

    • 2017-07-29
    • 좋아요
    • 코멘트
  • [동아광장/이우영]일보다 쉼의 혁신이 필요한 때

    [동아광장/이우영]일보다 쉼의 혁신이 필요한 때

    일터와 쉼터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디지털경제사회, 화이트칼라와 블루칼라가 아닌 ‘뉴칼라’의 시대에 우리는 이미 놓여 있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올해를 ‘일하는 방식 개혁 원년’으로 선포하고 민관이 하나 되어 실천적 방안을 본격적으로 논의하는 등 그 내용과 추진 속도가 …

    • 2017-07-25
    • 좋아요
    • 코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