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동아일보
전체메뉴
검색
최근검색어
최근 검색어
내역이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닫기
한국어
한국어
English
中文
日文
동아미디어그룹
동아미디어그룹
채널A
스포츠동아
헬스동아
지방선거 D-13
오피니언
정치
경제
국제
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매거진
오피니언
사설
오늘과 내일
횡설수설
동아광장
시론
광화문에서
현장에서
뉴스
정치
경제
국제
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매거진
신동아
주간동아
여성동아
매거진동아
동아비즈니스리뷰
하버드비즈니스
리뷰코리아
어린이동아
과학동아
어린이 과학동아
수학동아
에듀동아
섹션
책의 향기
스타일매거진Q
골든걸
즐거운 인생
edu+
The Original
헬스동아
실시간 뉴스
이슈 포인트
연재 포인트
트렌드뉴스
뉴스레터 신청
기자
동아APP서비스
오늘의신문
신문보기(PDF)
구독신청
보도자료
보이스뉴스
RSS
동아방송 DBS
채널A
스포츠동아
비즈N
MLB파크
보스
VODA
IT동아
게임동아
연재
김도형 기자의 일편車심
공유하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21
개
최신기사
날짜별
지면기사만 보기
지면기사만 보기
[김도형 기자의 일편車심]전기차 시대, 밋밋해지는 車 작명법
아반떼, 쏘나타, 그랜저. 현대차를 대표하는 이들 3종 세단과 얽힌 추억 한 자락 없는 한국인이 얼마나 될까. 예컨대 취업 후 첫 차로 아반떼를 선택했다거나 어린 시절 가족용 차가 쏘나타였다거나 하는 기억들. 많은 한국인에게 꽤나 ‘평균적’인 일이다. 차를 보는 눈높이가 올라가면서 쏘…
2022-05-06 03:00
[김도형 기자의 일편車심]난도가 높아지는 ‘종합예술’ 차량 생산
완성차 생산은 산업계의 ‘종합예술’로 불려 왔다. 수만 개 부품을 차질 없이 조달해 대형 제품을 균질하게 만들어 내고 전용 선박 혹은 차량에 실어 고객에게 인도하는 전체 과정이 다른 산업에 비해 훨씬 복잡하고 어렵다는 것이다. 많은 완성차 기업은 수십 종의 차를 생산한다. 같은 차종에…
2022-04-15 03:00
테슬라가 보여주는 ‘후발주자’의 경영 혁신[김도형 기자의 일편車심]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테슬라는 첨단 기술을 앞세운 전기차 기업으로 유명하다. 자율주행 기술을 가장 적극적으로 차량에 적용하고 있고 혁신적인 차량용 소프트웨어를 선보이며 차를 ‘달리는 정보기술(IT) 기기’로 변모시키고 있다. 하지만 다른 완성차 기업을 압도하는 기업 가치를 지닌 테슬라…
2022-03-25 03:00
[김도형 기자의 일편車심]‘더 비싼’ 수입차가 늘고 있다
한국은 수입차 브랜드의 격전지가 된 지 오래다. 지난해 국내에서 143만여 대의 국산차가 팔릴 때 수입차는 31만여 대가 새로 등록됐다. 새로 판매된 차 100대 중 18대가 수입차다. 수입차는 같은 급의 국산차보다 아무래도 비싸고 유지비 부담도 크다. 이런 수입차 대중화의 가장 큰 …
2022-03-04 03:00
미래차 전환이 부른 ‘차 부품계’ 지각변동 [김도형 기자의 일편車심]
전기차 전환이라는 큰 과제가 완성차 기업만의 몫은 아니다. 전동화는 대당 3만 개 넘는 부품을 생산하는 수많은 부품사들에 더 크고 힘든 도전일 수 있다. 엔진과 변속기에 필요한 부품을 만들던 기업들이 이미 심각한 위기를 마주한 것은 물론이다. 연료나 윤활 관련 제품 제조사도 마찬가지 …
2022-02-11 03:00
[김도형 기자의 일편車심]차 산업의 경계 허무는 전기차
소니가 올해 초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IT) 전시회 ‘CES 2022’에서 전기차 시장 진출을 선언했다. 올봄 ‘소니 모빌리티’를 설립해 전기차 시장 공략에 나서겠다는 계획이다. 세계를 선도하는 전자기업이었던 소니다. 그런데 한국 기업들의 공세에 밀리자 전자·금융·엔터테인먼트를 아…
2022-01-21 03:00
[김도형 기자의 일편車심]돌아간 비어만… 그가 바꾼 한국 차와 남은 과제
올해 끝자락에 ‘맥주만 형님’이 독일로 돌아갔다. 알버트 비어만 전 현대차·기아 연구개발본부장. 독일 BMW에서 고성능 브랜드 개발을 총괄하다 2015년 현대차그룹의 고성능차 개발 책임자로 합류한 그를 한국의 자동차 마니아들은 ‘맥주만 형님’이라는 애칭으로 부르곤 했다. 오랫동안 국산…
2021-12-31 03:00
[김도형 기자의 일편車심]소유에서 ‘구독’ 혹은 ‘공유’로 진화하는 자동차
오랫동안 자동차는 일종의 재산으로 대우받았다. 생활의 중요한 동반자이면서 집 다음으로 비싼 재화인 경우가 많았다. 직장인 연봉에 견줄 만한 가격 때문에 할부 구매가 흔했다. 매년 내는 자동차세에는 재산세의 성격도 담겨 있다. 미래차 물결은 전기차 같은 기술적·산업적 변화만이 아니라 차…
2021-12-10 03:00
[김도형 기자의 일편車심]혁신에서 실용으로… 가격 낮추는 전기차
놀랍도록 빠른 확산에도 불구하고 전기차는 오랫동안 비싼 차였다. 내연기관차의 엔진·변속기를 전기차는 모터·배터리로 대체한다. 문제는 전기차 원가의 40%까지를 차지하기도 하는 배터리였다. 고용량·고성능 배터리의 높은 가격 때문에 전기차는 비쌀 수밖에 없었다. 빠른 보급을 위해 정부의 …
2021-11-19 03:00
[김도형 기자의 일편車심]운전자의 동반자로 기대되는 애플카
애플의 전기차 생산 소문이 세계 자동차 업계를 여러 차례 들었다 놨다. 세계 최고의 기업 가치를 자랑하는 애플이다. 팬덤을 기반으로 새로운 소비문화를 만든 혁신 기업으로도 꼽힌다. 이런 애플이 자율주행 전기차로 차 시장에 진출할 것이라는 예상 속에 많은 기업이 애플의 생산 파트너로 거…
2021-10-29 03:00
[김도형 기자의 일편車심]전기차 시대, 라디에이터 그릴이 진화한다
좌우 대칭으로 자리 잡은 라이트와 그 사이의 대형 라디에이터 그릴. 자동차들이 오랫동안 지켜온 디자인의 기본 틀이다. 내연기관차는 엔진에서 휘발유나 경유를 폭발시켜 동력을 얻는다. 뜨거워진 엔진을 식히느라 달궈진 냉각수는 다량의 공기를 빨아들여 온도를 떨어뜨려야 한다. 라디에이터 그릴…
2021-10-08 03:00
[김도형 기자의 일편車심]중국에서 고전하는 현대차, 약진하는 중국 차
중국에서 한국 자동차 기업의 고전(苦戰)이 이어지는 가운데 중국 차가 약진하고 있다. 중국에 진출하는 글로벌 완성차 기업에 공동경영 원칙을 내세우며 실력을 키운 중국 자동차 산업의 굴기는 어쩌면 예견된 결과일 수 있다. 중국에서는 매년 2000만 대 넘는 자동차가 판매된다. 2001년…
2021-09-17 03:00
[김도형 기자의 일편車심]에너지 대전환 필요한 ‘궁극의 친환경’ 수소차
최근 막을 내린 도쿄 올림픽은 일본이 공들여 온 수소경제의 발전상을 보여줄 이벤트로도 관심을 모았다. 아무래도 핵심은 수소로 전기를 만들어서 달리는 수소전기차였다. 수소전기차는 현대차가 세계 최초로 양산했지만 도요타 같은 일본 기업도 뒤지지 않는 기술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무관중으로…
2021-08-27 03:00
전기차가 아직은 세계를 지배할 수 없는 이유[김도형 기자의 일편車심]
전기차로 완전히 전환하겠다고 외치는 자동차 기업이 늘고 있다. 최근엔 메르세데스벤츠가 2025년부터 새 모델은 모두 전기차로 출시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볼보도 2030년까지 모든 차종을 100% 전기차로 전환하겠다고 밝혔다. 머지않은 미래에 전기차가 전 세계의 도로를 장악할 것 같은…
2021-08-06 03:00
[김도형 기자의 일편車심]시속 제한에도 ‘고성능차’를 만드는 이유
자동차는 교통수단이다. 편리한 이동의 도구다. 하지만 어떤 사람은 차를 전혀 다른 목적에 쓴다. 굉음을 내면서 경주용 트랙을 도는 차를 떠올려 보자. 이 차의 운전자는 연료통을 다 비우고도 어딘가로 이동하지 않는다. 이런 차는 운전하는 일 자체에서 재미를 찾는 사람을 위한 기계다. 이…
2021-07-16 03:00
이전
1
2
다음
최근 업데이트 연재
설명
해당 연재를 제외하고 전체 연재 목록 중
기사가 최신 업데이트된 순으로 보여드립니다.
닫기
지표로 보는 경제
[지표로 보는 경제]5월 19일
최신기사 2022.05.19 03:00
기사
2,800
개
한시를 영화로 읊다
대의 때문에 복수 포기… ‘영웅’이라 할수 있을까
최신기사 2022.05.19 03:00
기사
38
개
기고
사랑으로 품어주는 위탁가정, 가정위탁보호제도 확대해야[기고/윤혜미]
최신기사 2022.05.19 03:00
기사
3,949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