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의학

    날짜선택
    • “같은 암이라도 환자에 따라 다른 약 써야한다”

      “같은 암이라도 환자에 따라 다른 약 써야한다”

      인공지능(AI) 모델을 활용해 암환자의 약물 반응을 예측하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AI대학원 이현주 교수 연구팀이 사람의 유전자 발현 정보와 약물 그래프 정보를 기반으로 암환자의 약물 반응을 예측하는 AI 모델을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

      • 2024-03-25
      • 좋아요
      • 코멘트
    • [날씨]26일 오전까지 전국 봄비…남부에 시간당 20㎜ ‘폭우’

      [날씨]26일 오전까지 전국 봄비…남부에 시간당 20㎜ ‘폭우’

      화요일인 26일 전국에 비가 내리겠다. 오전에 시간당 최대 20㎜의 강한 비가 내리는 곳이 있어서 안전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밤부터 차차 개겠다. 25일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낮부터 내리기 시작하는 비는 26일 오전까지 전국적으로 이어지겠다. 이번 비는 26일 오전 대부분 그…

      • 2024-03-25
      • 좋아요
      • 코멘트
    • ‘공’ ‘장난감’… 반려견, 단어 의미 이해한다

      ‘공’ ‘장난감’… 반려견, 단어 의미 이해한다

      ‘밥 먹자’ ‘산책 가자’ ‘앉아’ 등은 반려견의 반응이 바로 나오는 말이다. 반복된 주인의 언행에 눈치를 빠르게 알아차리는 것으로 여겨지지만 실제로 개는 단어를 들었을 때 단어의 의미를 떠올린다는 신경학적인 증거가 발견됐다. 마리안나 보로스 헝가리 에외트뵈스로란드대 동물행동학과 …

      • 2024-03-25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나비도 외모 본다…“붉은색 날개가 더 매력적”

      나비도 외모 본다…“붉은색 날개가 더 매력적”

      나비들이 짝을 선택할 때 마치 사람처럼 시각적 정보인 외모를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비가 특정한 시각적 정보를 선호하는 데 관여하는 유전자 작용도 함께 규명됐다. 마테오 로시 미국 록펠러대 교수 연구팀은 헬리코니우스 속에 속하는 두 종의 나비는 특정한 색의 날개를 가진 배우자…

      • 2024-03-25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생각만으로 물건 번쩍…인류를 바꿀 ‘뇌의 탄생’

      생각만으로 물건 번쩍…인류를 바꿀 ‘뇌의 탄생’

      1월 말 뉴럴링크가 뇌에 컴퓨터 칩을 이식한 실험 참가자가 생각만으로 컴퓨터 마우스를 조작하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뉴럴링크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설립한 신경과학 스타트업이다. 뉴럴링크의 발표 이후 8시간 만에 중국 칭화대 연구팀은 사지마비 환자 뇌에 ‘뇌·컴…

      • 2024-03-25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DBR/알립니다]‘이틀 만에 끝내는 챗GPT 마스터 클래스’ 수강생 모집

      DBR(동아비즈니스리뷰)이 챗GPT의 비즈니스 실전 활용법을 다루는 ‘챗GPT 마스터 클래스’를 개최합니다. 보고서 작성, 데이터 분석, 프로그래밍 코드까지 짜주는 챗GPT는 비즈니스 지형을 바꾸는 촉진제가 된 지 오래입니다. 전년도 인기 강좌 1위를 기록한 이번 교육은 국내 최고 수…

      • 2024-03-25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DBR]파괴적 혁신으로 본 AI

      [DBR]파괴적 혁신으로 본 AI

      파괴적 혁신으로 본 AI인공지능(AI)을 ‘파괴적 기술’로 칭하며 AI가 산업 지형을 바꾸고 일자리를 빼앗을 것이라고 걱정하는 사람이 많다. 하지만 클레이턴 크리스텐슨 하버드대 경영대학원 교수가 주창한 ‘파괴적 혁신’ 이론에서 파괴적 기술은 기존 시장을 압도하는 최신의 고성능 기술을 …

      • 2024-03-25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