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짜선택
  • 강남·명동 광역버스 29일부터 일부 조정…“도심 출·퇴근 혼잡 개선”

    강남·명동 광역버스 29일부터 일부 조정…“도심 출·퇴근 혼잡 개선”

    서울 도심의 출·퇴근길 혼잡을 줄이기 위해 강남·명동을 통과하는 22개 광역버스 노선·정류장이 오는 29일부터 분산·조정된다. 17일 국토교통부 대도시광역교통위원회(대광위)와 서울시, 인천시, 경기도에 따르면 오는 29일부터 수도권에서 서울 강남으로 향하는 20개 노선과 정류장이 일…

    • 14시간 전
    • 좋아요
    • 코멘트
  • 中, 수출 컨테이너선 싹쓸이… 韓기업 “美에 운송할 배가 없다”

    中, 수출 컨테이너선 싹쓸이… 韓기업 “美에 운송할 배가 없다”

    석유화학업종 대기업 A사는 통상적으로 소비가 증가하는 3분기(7∼9월) 성수기를 앞두고 걱정이 태산이다. 폴리프로필렌 등 주제품을 북미 시장으로 실어 날라야 하는데, 중국 업체들이 한 달 전부터 컨테이너선을 싹쓸이하고 있기 때문이다. 3개월 단위로 계약하는 컨테이너 운임도 다음 달 재…

    • 23시간 전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에어인천, 아시아나 화물사업부 인수 유력

    에어인천, 아시아나 화물사업부 인수 유력

    아시아나항공 화물사업부 매각에 대한 우선협상대상자로 국내 유일 화물 전문 항공사인 에어인천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한항공은 다음주 이사회를 열어 매각안을 최종 승인할 것으로 보인다.14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아시아나항공 화물사업부 우선협상자로 에어인천을 내정한 것으로 알…

    • 2024-06-14
    • 좋아요
    • 코멘트
  • “숨 못 쉬듯 빽빽”…2호선 홍대입구역 ‘8-1번’ 출구 만든다

    빠르면 2028년쯤 대규모 인파가 자주 몰리는 서울 2호선 홍대입구역에 8-1번 출입구가 생긴다. 14일 서울교통공사에 따르면 홍대입구역 8번과 9번 출입구 사이에 8-1번 출입구를 신설하기로 최근 결정했다. 역사 내 혼잡도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다. 홍대입구역은 2022년 발…

    • 2024-06-14
    • 좋아요
    • 코멘트
  • ‘러시아 리스크’ 삼성重, 5조원 규모 선박 17척 계약 파기 당해

    ‘러시아 리스크’ 삼성重, 5조원 규모 선박 17척 계약 파기 당해

    2020년, 2021년 러시아로부터 선박 17척을 수주한 삼성중공업이 최근 계약 해지를 통보받았다. 동시에 이미 받은 선수금 8억 달러(약 1조1000억 원)와 이자까지 돌려달라는 요구도 받았다. 국제사회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 제재를 강화하는 과정에서 삼성중공업도 선박 건조를 …

    • 2024-06-14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수도권 신규 광역버스중 수소버스 비중 1% 그쳐

    최근 3년간 수도권에 신규 도입된 광역버스 중 수소버스 비중이 1%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까지 전국에 도입된 수소버스는 총 720대에 그쳐 2030년까지 2만1200대로 늘리겠다는 목표는커녕 올해 2700대의 목표조차 달성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11일 임이자 국민의힘 의…

    • 2024-06-12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3년간 신규 광역버스 중 수소버스 1%, 경유버스 72%…수소버스 도입 더딘 이유

    3년간 신규 광역버스 중 수소버스 1%, 경유버스 72%…수소버스 도입 더딘 이유

    최근 3년간 수도권에 신규 도입된 광역버스 중 수소버스 비중이 1%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까지 전국에 도입된 수소버스는 총 720대에 그쳐 2030년까지 2만1200대로 늘리겠다는 목표는 커녕 올해 2700대 목표조차 달성하기 어려울 전망이다.11일 임이자 국민의힘 의원이 환경…

    • 2024-06-11
    • 좋아요
    • 코멘트
  • 강남~인천공항 20분 만에 가는 ‘헬기 택시’ 첫선…요금은 얼마?

    강남~인천공항 20분 만에 가는 ‘헬기 택시’ 첫선…요금은 얼마?

    10일 서울 송파 잠실동 한강변의 잠실 한강공원헬기장. 승객 12명을 태울 수 있는 미국 시코르스키사의 중형급 ‘S76C++’ 헬리콥터가 대기하고 있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비롯한 국빈들과 국내 주요 그룹사 오너들이 사용하는 헬기다. 가격만 새 제품 기준 150억 원 정도다…

    • 2024-06-11
    • 좋아요
    • 코멘트
  • 한화오션, 대형 해상풍력발전기 설치선 진수

    한화오션이 2021년 덴마크 해운사 카델러로부터 수주한 대형 해상풍력발전기 설치선(WTIV) 한 척을 최근 거제 조선소에서 진수했다고 10일 밝혔다. 15MW(메가와트)급 대형 해상풍력발전기 5기를 한 번에 실을 수 있는 길이 148m에 폭 56m의 대형 WTIV로 최대 수심 65m까…

    • 2024-06-11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대한항공보다 비싸다”…티웨이 유럽노선 가격경쟁력 있나?

    “대한항공보다 비싸다”…티웨이 유럽노선 가격경쟁력 있나?

    티웨이항공이 지난 7일 국내 저비용항공사(LCC) 최초로 이탈리아 로마와 스페인 바르셀로나 노선을 열었다. 그러나 대한항공 등과 비교하면 예상보다 티웨이항공 운임이 한결 비싸 LCC로서 가격 경쟁력이 있는 지 의문이 제기된다.10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티웨이항공은 최근 인천~로마·바르셀…

    • 2024-06-10
    • 좋아요
    • 코멘트
  • 국토부, 철도지하화 통합개발 지원 나선다…지역 맞춤형 3단계 컨설팅 제공

    국토부, 철도지하화 통합개발 지원 나선다…지역 맞춤형 3단계 컨설팅 제공

    국토교통부가 이번 주부터 철도지하화 통합개발 사업 계획을 수립 중인 광역 지방자치단체를 지원하기 위한 ‘지역 맞춤형 밀착 컨설팅’에 나선다고 10일 밝혔다. 앞서 국토부는 지난달 8일 ‘사업제안 가이드라인(안)’을 마련해 설명회를 개최한 바 있으며, 지자체 의견수렴을 거쳐 지난 3일…

    • 2024-06-10
    • 좋아요
    • 코멘트
  • “러 화물선 4월 北나진 들러… 北제조 무기-탄약 수송한듯”

    “러 화물선 4월 北나진 들러… 北제조 무기-탄약 수송한듯”

    러시아 선적 화물선이 올 4월 러시아 극동 보스토치니항을 떠나 북한 북동부 나진항에 기항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요미우리신문이 9일 보도했다. 러시아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 제재를 위반해 북한이 만든 무기와 탄약을 운반했을 가능성이 있다.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 전문가 패널을 지낸…

    • 2024-06-10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국내 최대 LCC 제주항공 취항 18주년

    국내 최대 LCC 제주항공 취항 18주년

    국내 최대 LCC 제주항공 취항 18주년국내 최대 저비용항공사(LCC)인 제주항공 신입 객실 승무원들이 취항 18주년을 맞아 4일 경기 부천시 제주항공 객실훈련센터 앞에서 종이비행기를 날리고 있다.

    • 2024-06-06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김천~거제 잇는 남부내륙철도 내년말 착공

    김천~거제 잇는 남부내륙철도 내년말 착공

    경북 김천시와 경남 거제시를 잇는 남부내륙철도가 2030년 개통을 목표로 내년 말 첫 삽을 뜬다. 이 철도가 준공되면 서울에서 거제까지 2시간대에 이동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국토교통부는 5일 열린 기획재정부 재정사업평가위원회에서 남부내륙철도 건설사업이 사업계획 적정성 재검토를 …

    • 2024-06-06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서울지하철 정비노동자 7명 혈액암 집단 발병…실태조사 돌입

    서울지하철 정비노동자 7명 혈액암 집단 발병…실태조사 돌입

    서울 지하철 현장에서 일하던 정비노동자 사이에서 혈액암이 집단 발병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서울교통공사 등에 따르면 서울 지하철 정비노동자 중 혈액암에 걸려 투병 중이거나 숨진 이들이 7명으로 집계됐다. 지축차량사업소 4명, 군자차량사업소 2명, 신정·창동차량사업소 1명 등으로 …

    • 2024-06-05
    • 좋아요
    • 코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