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포인트

물가 비상등

최근 과일값이 32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상 기후-농가 고령화로 재배가 줄어든 것을 원인으로 보고있다. 일시적 원인이 아닌 구조적 원인이기 때문에 물가 고공행진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농산물 가격 상승이 물가 전반을 끌어올리는 ‘애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도 함께 커지고 있다.

기사 2

구독

인기 기사

날짜선택
  • 3高에 꺾인 소비심리… 5개월만에 ‘부정적’

    고물가·고금리·고환율 국면이 이어지면서 경제 상황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5개월 만에 부정적으로 바뀌었다. 공공요금과 농산물 등을 중심으로 체감 물가가 높은 수준을 유지하면서 기대인플레이션율도 소폭 반등했다. 2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4년 5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달…

    • 2024-05-22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가맹점 수 1위’ BBQ도 치킨값 평균 6.3% 올려

    국내 치킨 업계 가맹점 수 1위 BBQ가 치킨 등 제품 가격을 평균 6.3% 올리기로 했다. BBQ는 23일부터 주요 치킨 메뉴를 비롯한 23개 제품의 소비자 권장 판매가격을 평균 6.3% 인상한다고 21일 밝혔다. BBQ의 가맹점 수는 2000개 이상으로 국내 치킨 프랜차이즈 중 가…

    • 2024-05-22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