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짜선택
  • [동아광장/신세돈]韓銀, 언제까지 금리인상 버틸 수 있을까

    [동아광장/신세돈]韓銀, 언제까지 금리인상 버틸 수 있을까

    드디어 미국이 금리를 인상했다. 이번 ‘전격적인’ 금리 인상은 매우 중요하다.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그동안의 소극적 금리 운용 정책(즉 동결)에서 보다 적극적인 금리 인상 정책으로 선회했음을 선언하는 확실한 신호탄을 쏜 것이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금리 동결을 주도해왔던 …

    • 2017-03-17
    • 좋아요
    • 코멘트
  • [동아광장/박정자]일상성과 혁명

    [동아광장/박정자]일상성과 혁명

    ‘시커먼 구름 뒤엔 새하얀 구름 숨어 있으니’, ‘화와 복은 서로 겹쳐져 있고(禍福相倚)’, 세상사 새옹지마(塞翁之馬)이니, 전화위복(轉禍爲福)일 것이며, ‘결국 패한 자가 이기리라(Qui perd gagne)’. 극에 달하면 뒤집어져 정반대로 넘어간다는 서양의 변증법과 동양의 …

    • 2017-03-16
    • 좋아요
    • 코멘트
  • [동아광장/박지순]대선 주자가 내놓아야 할 일자리 정책

    [동아광장/박지순]대선 주자가 내놓아야 할 일자리 정책

    드디어 구름이 걷혔다. 그리고 본격적으로 대통령선거전이 시작되었다. 60일도 남지 않은 선거 기간 동안 대한민국의 통합과 미래를 책임질 후보들이 저마다 비전과 정책을 제시하면서 선거 승리를 위한 경주를 시작했다. 생활이 어렵고 미래가 불안한 민초들의 가장 큰 염원은 좋은 일자리가 많이…

    • 2017-03-14
    • 좋아요
    • 코멘트
  • [동아광장/김진현]기적만 빌지 말고 大참회운동을

    [동아광장/김진현]기적만 빌지 말고 大참회운동을

    10일 헌법재판소의 박근혜 대통령 탄핵심판에서 탄핵이 인용될지 기각될지는 아무도 모른다. 그러나 아주 확실한 것은 있다. 헌재의 심판이 지금까지의 혼란과 대결의 매듭이 아니라 더 큰 충돌로 가는 가속의 계기가 될 것이라는 점이다. 이미 촛불과 태극기의 광장에서는 ‘혁명’ ‘아스팔트 위…

    • 2017-03-10
    • 좋아요
    • 코멘트
  • [동아광장/양승함]대통령부터 승복해야

    [동아광장/양승함]대통령부터 승복해야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에 대한 헌법재판소 심판이 수일 내로 다가오면서 사회적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탄핵에 대한 찬성과 반대 여론이 첨예하게 대립된 데다가 헌재 결정에 불복할 조짐도 있기 때문이다. 만일 결정에 대한 불복 현상이 일어난다면 이는 탄핵 문제 자체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

    • 2017-03-07
    • 좋아요
    • 코멘트
  • [동아광장/이우영]기업이 돌아오게 하자

    [동아광장/이우영]기업이 돌아오게 하자

    ‘왜 어떤 나라는 가난하고, 어떤 나라는 잘사는가? 무엇이 이런 차이를 만드는가?’ 작년 말 출간한 정병석 교수의 ‘조선은 왜 무너졌는가’에서 외국인들의 눈에 비친 가난할 수밖에 없었던 조선의 경제 제도, 그리고 당시 일본을 방문한 조선 통신사들의 행적에서 교훈을 찾았다. 18…

    • 2017-03-04
    • 좋아요
    • 코멘트
  • [동아광장/장영수]대선 걱정에 헌재 불복한다는 사람들

    [동아광장/장영수]대선 걱정에 헌재 불복한다는 사람들

    헌법재판소가 2월 27일 최후변론까지 마쳐 이제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탄핵 결정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2004년 노무현 대통령 탄핵심판과 달리 이번 탄핵심판은 소추 사유가 복잡했을 뿐만 아니라 진행 과정에서 논란도 많았다. 그러나 지금은 헌재 결정에 대한 불복이 벌써부터 거론될 정도로…

    • 2017-03-02
    • 좋아요
    • 코멘트
  • [동아광장/최진석]리더십의 조건

    [동아광장/최진석]리더십의 조건

    지금 독일은 잘나가고 있다. 때마침 모 방송사에서 독일 정치의 리더십을 조명하는 프로그램을 방영하기에 주의를 기울여 보았다. 나는 특히 그들 리더십을 이루는 핵심적인 요인이 무엇인가를 알고 싶었다. 왜냐하면, 어떻게 말하더라도 리더십은 그 나라의 정치 수준을 결정짓는 기둥이기 때문이다…

    • 2017-02-28
    • 좋아요
    • 코멘트
  • [동아광장/김용하]기본소득제, 다시 고민해야 할 때

    [동아광장/김용하]기본소득제, 다시 고민해야 할 때

    최근 한 대선 후보가 기본소득제 도입을 주장했다. 모든 국민에게 연간 30만 원, 아동 청소년 노인 장애인 등 특수계층 2800만 명에게는 추가로 연간 100만 원을 지급하되, 매년 이에 필요한 43조 원은 정부예산 구조조정과 증세로 충당하겠다는 것이다. 국가가 전 국민에게 아무런 조…

    • 2017-02-25
    • 좋아요
    • 코멘트
  • [동아광장/김진현]이 땅에서의 삶에 대한 묵시록적 성찰

    [동아광장/김진현]이 땅에서의 삶에 대한 묵시록적 성찰

    2016, 2017년에 걸쳐 대한민국은 역사적 기록을 만들고 있다. 이 땅에 조상들이 정착한 이후 최대의 기록을 세우는 중이다. 하필이면 융성과 다산을 의미하는 붉은 닭의 정유년으로 이어진 조류인플루엔자(AI) 때문에 닭과 오리 가금류 3300만 마리, 즉 국내에서 키우는 가금류의 2…

    • 2017-02-24
    • 좋아요
    • 코멘트
  • [동아광장/하준경]부채세대의 등장과 베이비붐세대의 노후

    [동아광장/하준경]부채세대의 등장과 베이비붐세대의 노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청년세대의 고통이 커지고 있다. 미국과 영국에서는 주택 구매를 포기한 월세세대가 등장했고, 일본에서는 물욕을 버린 사토리(득도)세대에 이어, 빈곤세대라는 말까지 나왔다. 우리나라도 비슷하다. 특이한 점은 우리 젊은이들은 빚을 많이 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연애 결혼…

    • 2017-02-21
    • 좋아요
    • 코멘트
  • [동아광장/박지순]4차 산업혁명과 근로시간의 미래

    [동아광장/박지순]4차 산업혁명과 근로시간의 미래

    근로자와 기업들은 대통령 선거가 본격화하기 전에 근로시간 제도의 개선을 위한 근로기준법 개정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했다. 장시간 근로에 대한 지속적인 문제 제기가 있었고, 연장 근로와 휴일 근로에 대한 근로기준법의 모호한 규정 때문에 노사 간 법적 분쟁이 다수 발생하고 있다는 점에서 관…

    • 2017-02-18
    • 좋아요
    • 코멘트
  • [동아광장/박정자]좌파, 한국 젊은이들의 패션이 되다

    [동아광장/박정자]좌파, 한국 젊은이들의 패션이 되다

    색깔론이 아니라 그냥 있는 그대로의 현상을 말해 보자면 현재 한국은 거의 전적으로 사회주의 국가다. 영유아 보육비를 국가가 보조하고 온 국민이 저렴한 의료 혜택을 받고 있는데 “육아의 모든 책임을 엄마에게 뒤집어씌우느냐” “젊은이들이 결혼할 수 있도록 국가가 대책을 마련하라”고 목소리…

    • 2017-02-17
    • 좋아요
    • 코멘트
  • [동아광장/신세돈]경제위기는 과연 오는가

    [동아광장/신세돈]경제위기는 과연 오는가

    정국만큼이나 뜨겁게 거론되는 단어는 아마도 ‘경제위기’일 것이다. 굳이 ‘4월 위기설’이 아니더라도 정치권을 비롯해 너나없이 한국 경제가 백척간두의 위기에 처해 있다며 해법을 쏟아낸다. ‘미증유의 위기 봉착’이라는 경총이나 ‘1997년 혹은 2008년 위기보다 더 심각하다’는 전경련은…

    • 2017-02-16
    • 좋아요
    • 코멘트
  • [동아광장/권영민]거짓말의 정치

    [동아광장/권영민]거짓말의 정치

    ‘사내는 우비와 거짓말을 갖고 다녀야 한다’는 말이 있다. 어렸을 때 어른들로부터 들었던 속담이다. 갑작스러운 곤란에 부닥쳤을 때 거기서 벗어날 수 있는 방편이 남자에게 필요하다는 뜻이다. 세상을 살아가는 데에 거짓말도 때로는 필요하다고 가르치는 이런 속담이 어디서 비롯되었는지 알 수…

    • 2017-02-14
    • 좋아요
    • 코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