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

    날짜선택
    • [알립니다]제28회 인촌상 수상자 발표

      재단법인 인촌기념회와 동아일보사는 2014년 제28회 인촌상 수상자를 다음과 같이 선정했습니다. ▽교육=안병영(安秉永·73) 연세대 명예교수 ▽언론·문화=한글학회 ▽인문·사회=김경동(金璟東·78) KAIST 초빙교수 ▽과학·기술=유진녕(柳振寧·57) LG화학 기술연구원 …

      • 2014-08-26
      • 좋아요
      • 코멘트
    • 인촌상 영광의 얼굴들

      인촌상 영광의 얼굴들

      《 재단법인 인촌기념회와 동아일보사는 25일 인촌상 수상자를 발표했다. 28회째를 맞은 올해 인촌상은 교육, 언론·문화, 인문·사회, 과학·기술 등 4개 부문에서 탁월한 업적을 이룬 인사와 학회가 수상자로 선정됐다. 심사는 부문별로 권위 있는 대학교수 등 외부 전문가 4, 5명씩이 참…

      • 2014-08-26
      • 좋아요
      • 코멘트
    • G20 문화계 리더들, 한국문화 五感체험

      G20 문화계 리더들, 한국문화 五感체험

      프랑스 캐나다 미국 러시아 등 주요 20개국(G20)의 문화계 리더들이 한국 문화를 체험하고 문화 교류를 하는 제5회 문화소통포럼(CCF)이 31일부터 사흘 동안 열린다. 이 포럼은 2010년 서울에서 G20 정상회의가 열린 것을 기점으로 그해부터 한국이미지커뮤니케이션연구원(CI…

      • 2014-08-05
      • 좋아요
      • 코멘트
    • 한국학자 30명 “日 집단적 자위권 행사 반대” 성명

      최근 열린 ‘마루야마 마사오 탄생 100주년 기념 국제학술회의’에서 한국 학자 30명이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행사에 반대하는 공동성명을 냈다. 마루야마 마사오(丸山眞男·1914∼1996)는 생전 일본 군국주의를 비판했던 대표적인 정치 사상가다. 박충석 이화여대 명예교수, 김홍우 서…

      • 2014-07-29
      • 좋아요
      • 코멘트
    • [우먼 동아일보] 집으로 가는 길을 잃고 거울 속에 숨은 낯선 나를 보는 꿈, 무슨 뜻일까요?

      [우먼 동아일보] 집으로 가는 길을 잃고 거울 속에 숨은 낯선 나를 보는 꿈, 무슨 뜻일까요?

      With Specialist 정신과 의사 김현철의 현몽우답 꿈은 내면의 심리 상태를 반영한다. 그래서 많은 이들이 불길한 내용의 꿈을 꾸고 나면 기분이 가라앉고 혹시 안 좋은 일이 일어나는 것은 아닐까 불안해한다. 김현철 정신과 전문의가 내려주는 명쾌한 꿈풀이는 심리적 불안을 해소할 …

      • 2014-07-17
      • 좋아요
      • 코멘트
    • 남창희 교수 “집단적 자위권 냉정히 대응” 학술지 발표

      남창희 교수 “집단적 자위권 냉정히 대응” 학술지 발표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행사가 과연 우리나라에 독(毒)이기만 할까? 한미일 3각 동맹을 어떻게 관리하느냐에 따라 오히려 우리 안보에 도움이 될 수도 있다는 분석이 학계 일부에서 제기되고 있다. 남창희 인하대 교수(정치외교학)는 최근 한국국제정치학회 학술지인 ‘국제정치 논총’에 발표…

      • 2014-07-17
      • 좋아요
      • 코멘트
    • “19세기말 조어도-독도 영토편입 주저했던 日, 청일-러일전쟁 승리후 태도 바꿔 강제편입”

      “19세기말 조어도-독도 영토편입 주저했던 日, 청일-러일전쟁 승리후 태도 바꿔 강제편입”

      일본 정부가 19세기 말 조어도(釣魚島·중국명 댜오위다오, 일본명 센카쿠 열도)의 영토 편입을 스스로 보류한 사실이 국내 학자에 의해 새로 밝혀졌다. 이는 조어도와 마찬가지로 무주지(無主地) 선점론을 적용한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을 반박할 수 있는 중요한 논거가 될 것으로 보인다. …

      • 2014-07-10
      • 좋아요
      • 코멘트
    • 韓日학자들 “아베의 집단적 자위권 행사 반대” 성명 내기로

      韓日학자들 “아베의 집단적 자위권 행사 반대” 성명 내기로

      한일 양국 학자들이 참가하는 ‘마루야마 마사오(丸山眞男·1914∼1996) 탄생 100주년 기념’ 국제 학술회의에서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행사를 반대하는 성명이 채택된다. 최근 일본 내각의 ‘해석 개헌’으로 한일 간 긴장이 고조되자 양국 지식인들이 행동에 나선 것이다. 아산정책연구…

      • 2014-07-09
      • 좋아요
      • 코멘트
    • 4·19 등 외국인이 찍은 근현대사 동영상 첫 공개

      4·19 등 외국인이 찍은 근현대사 동영상 첫 공개

      1960년 4월 19일 서울 경복궁 담벼락. 몰려 앉은 남녀노소의 얼굴에 웃음이 가득하다. 누가 농담이라도 건넨 듯 환하게 미소 짓는 사람들의 모습만 보면 흡사 나들이를 나온 것 같다. 하지만 불과 몇 시간 뒤 경찰은 인근 경무대 앞에서 시민들을 향해 무차별 사격을 퍼부었다. 고…

      • 2014-07-03
      • 좋아요
      • 코멘트
    • 남한산성 세계유산 등재, ‘군사 방어 기술 집대성’높은 평가

      남한산성 세계유산 등재, ‘군사 방어 기술 집대성’높은 평가

      남한산성 세계유산 등재 경기도에 위치한 남한산성이 한국의 11번째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됐다. 카타르 도하에서 열리고 있는 제 38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22일 ‘남한산성’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최종 등재하기로 결정했다. 남한산성은 다양한 군사 방어술을 집대성해 지은 …

      • 2014-06-23
      • 좋아요
      • 코멘트
    • 朝 홍대용-淸 엄성 ‘天涯知己’ 배경은…

      朝 홍대용-淸 엄성 ‘天涯知己’ 배경은…

      조선의 홍대용(1731∼1783)과 중국 항저우 출신 한족 선비 엄성(嚴誠·1732∼1767·사진)의 우정은 천애지기(天涯知己)라 불리며 한중 지식인 교류사의 모범 사례로 꼽힌다. 천애지기는 멀리 떨어져 있지만 서로를 알아주는 각별한 친구라는 뜻이다. 홍대용은 1766년 초 조선 …

      • 2014-05-21
      • 좋아요
      • 코멘트
    • “연구윤리 위반때 책임묻는 검증시효 5년이 적당” 36.7%

      “연구윤리 위반때 책임묻는 검증시효 5년이 적당” 36.7%

      우리 학계에서 가장 심각한 연구윤리 위반 사항으로 ‘표절’이 뽑혔다. 또 연구윤리 위반이 발생했을 때 연구자의 책임을 물을 수 있는 5년 정도의 검증 시효 기간을 두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이 많았다. 한국인문학총연합회 사무차장을 맡고 있는 류동춘 서강대 교수(중국문화학)가 국내 인문…

      • 2014-05-21
      • 좋아요
      • 코멘트
    • “非정통 역사서 환단고기-단기고사 재조명을”

      “고구려의 첫 수도 홀본(졸본)은 중국이 아닌 동몽골에 있는 지명이다.” 13일 서울 서대문구 통일로 동북아역사재단 대회의실에서 열리는 ‘제1회 상고사 학술대회’에서 최기호 울란바토르대 석좌교수가 발표할 ‘언어학으로 본 한국역사 용어의 왜곡 문제’에 포함된 내용이다. 최 교수는 …

      • 2014-05-13
      • 좋아요
      • 코멘트
    • 임정 수립 95주년 기념 ‘카이로 선언’ 주제 학술대회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95주년을 기념해 한민족 ‘독립의 문’으로 불리는 카이로선언을 주제로 한 학술대회가 개최된다. 단국대와 광복회, 독립기념관 주최로 13일 오후 1시 반부터 서울 용산구 임정로 백범김구기념관 대회의실에서 열리는 ‘대한민국임시정부와 카이로선언’ 학술대회다. 학술대…

      • 2014-04-07
      • 좋아요
      • 코멘트
    • 20세기초 한국의 등대는 일제 침탈의 등불이었다

      20세기초 한국의 등대는 일제 침탈의 등불이었다

      깜깜한 밤 바닷가에 홀로 서서 어둠을 밝히는 등대는 주로 낭만적 이미지로 여겨져 왔다. 하지만 한국의 등대들이 20세기 초 일본 제국주의의 첨병으로 조성됐음을 아는 이는 많지 않다. 제주 제주시 애월읍에서 23일 문을 여는 아시아퍼시픽해양문화연구원(APOCC)이 개관을 앞두고 등대…

      • 2013-11-14
      • 좋아요
      • 코멘트
    • 0.999…와 1의 차이 ‘심오한 수학의 세계’

      0.999…와 1의 차이 ‘심오한 수학의 세계’

      0.999…와 1의 차이 0.999…와 1의 차이가 화제다. 최근 한 포털사이트에는 '0.999…는 1인가?'라는 게시물이 올라왔다. 0.999…는 소수점에서 9가 무한히 반복되어 계속 붙는 상태다. 이 게시물은 먼저 '0.999…라는 소수점에서 9가 계속 되풀이되더라도 1보다…

      • 2013-10-30
      • 좋아요
      • 코멘트
    • 大同과 小康과 少康, 그 차이를 아시나요

      大同과 小康과 少康, 그 차이를 아시나요

      동아시아 유교문화권에서 최고의 이상사회를 지칭하는 대동(大同). 예기(禮記)에 묘사된, 나와 남의 구별을 뛰어넘어선 보편적 인류애가 넘치는 사회를 말한다. 요순시대가 이에 해당한다. 이와 달리 신분 세습과 재산 사유화, 전쟁이 있지만 성군의 통치로 삼강오륜의 질서를 확립한 상태를 소강…

      • 2013-07-22
      • 좋아요
      • 코멘트
    • ‘당원주권 정당 vs 시민참여 정당’ 논쟁 학계로 불붙어

      ‘당원주권 정당 vs 시민참여 정당’ 논쟁 학계로 불붙어

      최근 민주당 내에서 ‘당원 주권 정당’과 ‘시민 참여 정당’을 놓고 대립하는 가운데 정치권의 논쟁이 학계에까지 옮겨붙는 양상이다. 21일 강원 춘천시 강원대에서 열리는 한국사회학회 전기사회학대회에서 한상진 서울대 명예교수(68)가 최장집 고려대 명예교수(70)를 학술적으로 비판하…

      • 2013-06-19
      • 좋아요
      • 코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