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환경재앙엔 국경이 없건만 각국은 논쟁만 (일)

환경재앙엔 국경이 없건만 각국은 논쟁만 (일)

Posted April. 21, 2010 02:59,   

日本語

올 연말 멕시코 유명 휴양지 칸쿤에 세계인의 시선이 모아진다. 11월 29일 시작되는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제16차 당사국 총회 때문이다. 과연 올해 회의는 지난해 절반의 성공에 그친 코펜하겐 회의를 넘어설 수 있을까. 미국을 비롯한 당사국들은 온실가스배출량을 법으로 규제하자는 의견을 표명했다. 규제에 반감을 보여 오던 중국과 인도 등도 입장을 바꾸는 등 겉보기에는 희망적이다.

그러나 구속력 있는 합의가 나올 가능성은 여전히 희박해 보인다. 이달 초 독일 본에서 열린 준비회의에 참석하고 돌아온 프랑스 협상대표 폴 왓킨슨 씨는 한마디로 불신으로 가득 차 있었다. 몇몇 국가는 코펜하겐 합의를 아예 없었던 일로까지 생각하고 있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이보 더부르 UNFCCC 사무총장은 이번 회의에서 이렇다 할 결론이 나오지 못할지라도 전혀 놀라지 않을 것이라고 역설적으로 말하기도 했다.

논쟁에 발목 잡힌 기후변화 대응

지난해 중반만 해도 코펜하겐 회의가 지구를 위기에서 벗어나게 할 것이라는 기대가 많았다. 코펜하겐에 희망이라는 단어를 넣어 호펜하겐(hope+copenhagen)이라는 말까지 나왔다. 정작 이렇다 할 결실이 없자 지구촌의 기후변화 대응은 표류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터진 이른바 기후 게이트 사건은 그렇지 않아도 표류하고 있는 기후변화 노력에 찬물을 끼얹었다. 영국 이스트잉글리아대 기후연구소(CRU)에 있던 1000여 건의 e메일과 문서가 해킹되면서 연구자들이 입맛에 맞는 결과만 채용한다는 주장이 제기된 사건이다. 기후변화와 관련한 논쟁도 더 뜨거워졌다. 문제는 논쟁이 정치 이슈화하면서 환경문제에 대한 대중의 신뢰를 떨어뜨리고 있다는 점이다. 여론조사기관 갤럽의 최근 조사결과에 따르면 미국 성인의 48%가 기후변화 위협이 과장됐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보다 7%포인트나 늘어난 것이다.

하지만 지구촌 곳곳에선 이미 암세포처럼 기후변화의 고통이 퍼지고 있다. 동아일보 기자들이 찾아간 방글라데시 페루 베트남 호주의 피해 현장에서는 식수 부족, 해수 범람 피해, 기후 난민의 등장, 생물의 멸종이 진행되고 있었다. 이런 피해는 이미 국경을 넘어서 지구 공통의 골칫거리가 되고 있었다. 박용하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국가기후변화적응센터장도 이미 국내에서도 산업 문화 생활 측면에서 이상기후가 감지되고 있다며 전 지구적 차원의 대응에 동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탄소 사회가 대안

전문가들은 우선 저탄소 사회로 나가려는 노력을 전 세계가 공유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미 친환경건축물을 짓고 스마트그리드(지능형 전력망)를 보급하는 일부터 신재생에너지나 인공 광합성 기술 개발 등 다양한 논의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공장이나 자동차 등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를 붙잡아 땅속에 저장하는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기술(CCS)이 대표적인 사례다.

기술적 해결책에 머물지 말고 전 지구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요구도 많다. 영국 변호사 출신 환경활동가 폴리 히긴스는 생태계를 대규모로 파괴하는 행위인 에코사이드(ecocide)를 대량학살, 전쟁범죄 등과 함께 국제범죄로 지정하자고 주장했다.



김규태 김용석 kyoutae@donga.com nex@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