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고구려가 중국서 두 번 운다

Posted August. 11, 2005 03:05,   

日本語

CCTV 촬영에 필요한 라이트가 뜨거운 열기를 뿜으며 벽면을 비추다 보니 1500여 년 세월을 지켜 온 벽화 표면에 습기가 찬 것. 특히 벽화 바로 앞에 세워져 있는 에어컨 근처의 습기가 심했다. 그러나 중국인 관리인은 무심하게 카메라를 하루 수백 차례 돌린다고 말할 뿐 습기엔 아무런 관심도 기울이지 않았다.

중국 내 고구려 유적이 지난해 7월 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UNESCO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후 무분별한 관광과 고구려사의 중국사 편입이라는 중국 정부의 정치적 목적의 홍보물로 이용당하면서 신음하고 있다.

중국 당국은 2003년부터 광개토대왕비에 씌워 놓은 유리보호각의 출입문을 6월 30일부터 개방했다. 누구나 비석 바로 앞까지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게 된 것. 문화재 전문가들은 비석을 유리 속에 가둬 놓음으로써 공기의 자연스러운 흐름을 차단한 것도 문제지만, 폐쇄된 공간에 수많은 관광객이 드나들 경우 사람들의 입김 때문에 비석의 부식이 가속화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비석을 자세히 살펴본 서영수(단국대 교수) 고구려연구회 회장은 비석이 갈라지는 현상을 막기 위해 갈라진 틈새에 본드를 주입했는데 그 본드가 흘러나와 비문을 검붉게 물들이고 있다면서 심지어 시멘트로 바른 흔적까지 보인다고 말했다.

비석 앞엔 동전과 지폐가 어지럽게 널려 있다. 고구려 전성기의 웅혼한 천하관이 담긴 역사적 비석이 관광객들의 세속적 소원을 비는 대상으로 취급되고 있는 셈이다.

동북아의 피라미드로 손꼽히는 장수왕릉(장군총)은 급증하는 관광객의 발길에 짓밟혀 사면에서 무덤을 지지해 주는 호석 가운데 하나가 빠졌다. 이 때문에 동북 사면이 심하게 침하된 상태다.

장수왕릉보다 규모가 2배나 큰 태왕릉은 능을 덮고 있던 돌 틈새로 잡초가 무성하게 자라면서 무덤의 돌멩이들이 계속 무너져 내리고 있다.

유네스코 문화유산으로 등재되지 못한 고구려 유적들의 훼손은 더욱 심각하다. 랴오닝() 성 랴오양() 시 교외의 고구려 백암성(연주산성)은 인근 석회암 채석장이 100여 m 앞까지 파고들어 왔지만 중국 당국은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고 있다.



권재현 confetti@donga.com